강제추행[인정된죄명:성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위반(업무상위력등에의한추행)]

사건번호:

2018도17656

선고일자:

2019013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공소사실의 기재 중 범죄 일시의 변경과 공소장변경의 필요 여부

판결요지

참조조문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4항, 제298조

참조판례

대법원 2013. 12. 12. 선고 2013도9515 판결, 대법원 2017. 1. 25. 선고 2016도17679 판결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강경훈 외 5인 【원심판결】 수원지법 2018. 10. 23. 선고 2018노3062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수원지방법원 본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가. 재심청구의 사유가 있는 경우 그러한 사유는 원심판결에 대한 상고이유로 할 수 있다(형사소송법 제383조 제3호, 제420조 제5호). 나. 기록에 의하면 다음 사실을 알 수 있다. 1) 이 사건 주위적 공소사실의 요지는, 피고인이 2013. 9. 초순경 오후 무렵 군포시 이하 주소를 알 수 없는 교회 주차장에 주차된 승합차 안에서, 피해자에게 ‘안수기도를 해주겠다’고 말하고 갑자기 피해자의 가슴을 쓰다듬는 등으로 강제로 추행하였다는 것이다. 피고인은 수사기관에서부터 추행한 사실 자체가 없다는 취지로 주장하였다. 제1심은 피고인이 ‘안수기도’를 내세워 피해자를 추행한 사실은 인정되지만, ‘피해자의 항거를 곤란하게 할 정도의 폭행 또는 협박’으로 추행하였다거나, ‘피해자가 실질적으로 항거할 수 없을 정도로 기습적으로 유형력을 행사’하여 추행하였음을 인정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위 공소사실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하였다. 2) 이에 검사는 항소함과 아울러 원심에서 예비적 공소사실을 추가하는 내용의 공소장변경허가를 신청하였다. 추가된 공소사실 요지는 피고인이 위 일시, 장소에서 피해자에게 안수기도를 해준다고 빙자하고 안수기도의 범위를 넘어서 갑자기 피해자의 가슴을 쓰다듬는 등으로 추행하였다는 것이다. 피고인은 예비적 공소사실에 대해서도 추행한 사실 자체가 없다는 취지로 주장하였다. 원심은 제1회 공판기일에서 공소장변경을 허가하고 소정의 절차를 거쳐 같은 날 변론을 종결한 후 그 선고기일에, 심판범위 변경으로 인하여 제1심판결을 파기하되 주위적 공소사실에 관한 제1심의 무죄 결론을 유지하면서 예비적 공소사실은 유죄로 인정된다고 판단하여 피고인에 대하여 징역 6월, 이수명령 40시간 등을 선고하였다. 3) 피고인은 상고심에서 사선변호인을 새로이 선임하였고, 변호인은 상고이유서에 피고인이 2013. 7. 5. 출국하여 2013. 10. 1. 입국하였다는 내용의 ‘출입국에 관한 사실증명’을 첨부하여 위 자료를 대법원에 처음으로 제출하면서 피고인이 무죄라고 다투고 있다. 2. 이러한 사실관계에 비추어 살펴보면, 피고인은 2013. 9. 초경 국내에 부재하였다고 볼 여지가 있고, 그 경우 위 무렵 피해자를 위계로 추행하였다는 예비적 공소사실은 성립할 수 없게 되므로, 원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기 어렵다. 이 점을 지적하는 취지의 상고이유 주장은 정당하다. 위와 같은 이유로 원심판결 중 예비적 공소사실 부분을 파기하여야 하는데, 예비적 공소사실 부분을 파기하는 이상, 주위적 공소사실을 포함한 원심판결 전부가 파기되어야 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범죄의 일시는 공소사실의 특정을 위한 것이지 범죄사실의 기본적 요소는 아니므로 그 일시가 다소 다르다 하여 공소장변경의 절차를 요하는 것은 아니나, 범죄의 시일이 그 간격이 길고 범죄의 인정 여부에 중대한 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피고인의 방어에 실질적 불이익을 가져다 줄 염려가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공소장변경절차를 밟아야 한다(성폭력 범행 일시의 공소장변경에 관한 대법원 2017. 1. 25. 선고 2016도17679 판결 등 참조). 환송 후 원심은 위의 법리에 유념하여 심리·판단할 필요가 있음을 덧붙여 둔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조희대(재판장) 김재형 민유숙(주심) 이동원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공소시효와 공소장 변경, 꼭 알아야 할 상식!

공소시효가 지난 범죄에 대해서는 처벌할 수 없다는 원칙을 재확인한 판례입니다. 특히, 공소장 변경이나 법원의 사실 인정으로 범죄의 법정형이 바뀌어 공소시효 완성 여부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변경된 법정형을 기준으로 공소시효가 지났다면 면소판결을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공소시효#강간#면소판결#공소장변경

형사판례

공소장 변경과 경합범에서의 파기 범위

아동 성범죄 사건에서 피해자 진술의 불명확성으로 인해 범행 일시 특정이 어려운 상황에서, 검사가 공소장 변경을 신청했으나 법원이 이를 기각하고 무죄를 선고한 것에 대해 대법원은 공소장 변경을 허용해야 한다고 판단하고 원심을 파기 환송했습니다. 또한, 경합범 관계에 있는 범죄 일부에 대해 무죄가 선고되고 검사의 상고가 인정된 경우, 유죄 부분도 함께 파기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습니다.

#공소장변경#경합범#파기환송#아동성범죄

형사판례

검사의 공소장 변경과 항소심의 의무

검사가 항소심에서 공소장을 변경하여 사건의 핵심 내용이 바뀌었다면, 항소심 법원은 제1심 판결을 파기하고 새롭게 심리해야 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시위 도중 교통방해 혐의로 기소된 피고인에 대한 공소장의 시간과 장소가 변경되었는데, 항소심이 이를 단순 정정으로 보고 새롭게 심리하지 않은 것을 대법원이 잘못이라고 판단했습니다.

#공소장변경#항소심#심리#파기환송

형사판례

공소사실 변경과 피고인의 방어권 보장

재판 중 검사가 공소사실을 변경하더라도, 그 변경이 피고인의 방어권 행사에 실질적인 불이익을 주지 않는다면 재판을 잠시 멈추지 않아도 된다.

#공소사실 변경#공판절차 정지#방어권#실질적 불이익

형사판례

공소장 변경, 피고인의 방어권은 어디까지?

검사가 공소장을 변경했을 때 법원은 피고인에게 변경된 내용을 충분히 알리고 방어할 기회를 줘야 합니다. 이를 어기면 판결에 영향을 미치는 위법이 될 수 있습니다.

#공소장 변경#피고인 방어권#절차적 위법#환송

형사판례

검찰의 엉성한 공소장 작성, 피고인 방어권 침해 논란!

범죄의 일시를 명확히 특정하지 않은 공소사실은 피고인의 방어권을 침해하며, 피고인이 법정에서 공소사실을 부인하면 경찰/검찰 단계에서의 자백이 담긴 피의자신문조서는 증거로 사용할 수 없다.

#공소사실 특정#피의자신문조서 증거능력#방어권#자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