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자)

사건번호:

88다카26543

선고일자:

199003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여명기간 동안 성인여자 2인의 개호가 필요하다고 인정한 사례

판결요지

원고(여자)가 이 사건 사고로 인하여 양하지완전마비 및 능동적인 배뇨, 배변능력의 상실 등의 후유증이 있는 외에도 상지에 매우 경미한 운동능력만 남아있어 스스로 식사를 할 수 없는 등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이 거의 없게 되었다면 그 여명기간 동안까지 그의 일상생활을 도와줄 개호인으로 성인여자 2인이 필요하다고 본 원심의 판단은 수긍할 수 있고 이 경우 성인여자 2인이 농촌일용노동에 종사하여 받을 수 있는 하루의 임금을 기준으로 그 개호에 소요된 비용 및 장래의 개호에 필요한 비용을 산정함이 상당하다.

참조조문

민법 제763조, 제393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7.2.24. 선고 86다카2366 판결(공1987,529), 1987.12.8. 선고 87다카1332 판결(공1988,269), 1989.5.9. 선고 88다카23193 판결(공1989,907), 1989.10.10. 선고 88다카20545 판결(공1990,243)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금강운수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오성환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88.9.15. 선고 88나1404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제1점에 대하여, 원심이 원고가 이 사건 사고당시 농촌에 거주하고 있는 사실을 인정하여 이 사건 사고로 인하여 얻을 수 없게 된 장래의 수입을 여자의 농촌일용노동노임에 의하여 산정한 것은 옳고 원고가 농촌에 거주한다 하여도 최저임금인 도시일용노동노임만 인정하여야 한다든가 원고가 이 사건 사고당시 대학입학종합반에 적을 두고 있었던 사정에 비추어 장차 농촌일용노동에 종사할 개연성이 없다고 보아야 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2. 제2점에 대하여, 원심은 거시증거에 의하여 원고는 이 사건 사고로 인한 양하지 완전마비 및 능동적인 배뇨, 배변능력의 상실 등의 후유증으로 그 여명기간까지 그의 일상생활을 도와줄 개호인으로 성인여자 2인이 필요하고 실제로 이 사건 이후 원심변론종결일까지 그 정도의 개호를 해 온 사실을 인정하여 성인여자 2인이 농촌일용노동에 종사하여 받을 수 있는 하루의 임금을 기준으로 그 개호에 소요된 비용 및 장래의 개호에 필요한 비용을 산정하였는 바, 기록에 비추어 볼때 원심의 위 사실인정은 옳다고 여겨지며 원심이 채용한 연세대학교부속 세브란스병원장의 신체감정촉탁결과 및 사실조회회보결과에 의하면, 원고는 경척추골절 및 경수손상으로 인하여 원심이 위에서 예시하고 있는 장애 이외에도 상지에 매우 경미한 운동능력만 남아 있어 스스로 식사를 할 수 없는 등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으므로 원심의 위 판단은 이를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채증법칙위반의 위법이나 개호의 필요성 및 상당성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제3점에 대하여, 기록에 비추어 볼 때 원심이 이 사건 사고의 발생에 있어서 원고 자신의 과실을 15퍼센트에 불과하다고 판단한 데에 잘못이 있다고 보여지지 아니한다. 4. 논지는 모두 채용할 수 없으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회창(재판장) 김상원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교통사고 후 간병인이 몇 명 필요할까?

교통사고로 장애를 입은 경우, 간병인이 필요한지, 몇 명이나 필요한지를 법원이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간병에 필요한 시간을 기준으로 하루 8시간을 넘으면 간병인 1명으로 인정합니다.

#교통사고#간병인#인정기준#간병시간

민사판례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필요한 간병인 인정 기준은?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간병이 필요할 때, 법원은 간병인이 몇 명 필요한지 어떻게 판단할까요? 이 판례는 간병 필요 시간을 하루 8시간 기준으로 계산하여 간병인 수를 정한다는 기준을 제시합니다.

#교통사고#후유증#간병인#인정기준

민사판례

다리 절단 사고 후 간병비 청구, 법원은 인정할까?

교통사고로 다리를 절단하고 다른 다리도 움직이지 못하게 된 사람이 혼자서 생활하기 어려워 간병인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판결.

#교통사고#다리 절단#강직#개호 필요성

민사판례

교통사고 후유증, 간병이 필요할까? 법원은 어떻게 판단할까?

교통사고로 정신적 장해를 입은 피해자는 신체적 장해가 없더라도 타인의 감독이나 보호가 필요하다면 개호비를 받을 수 있다. 법원은 의사의 감정 결과에 구애받지 않고 피해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개호 필요성을 결정한다.

#교통사고#정신적 장해#개호#개호비

민사판례

머리 다친 후 간병이 필요할 때, 누가? 얼마나?

교통사고로 머리를 다쳐 혼자 생활하기 어려운 사람에게는 가족의 도움도 '개호'로 인정되어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예상되는 치료비는 재판 종료 시점에 이미 치료 기간이 지났다면 실제로 치료받지 않았으면 배상받을 수 없다.

#머리부상#개호#손해배상#가족 도움

민사판례

교통사고 손해배상, 쟁점 정리!

교통사고로 다리를 잃은 피해자에게 필요한 간병비(개호비), 의족(의지) 구입비, 보험사로부터 받은 치료비 공제, 지연이자 계산에 대한 대법원의 판단입니다.

#교통사고#개호비#의족#보험금 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