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행문부여에대한이의

사건번호:

89다카24339

선고일자:

199003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이미 발생한 지연손해금채권 양도사실에 관한 증거의 가치판단을 잘못한 채증법칙위배의 위법이 있다 하여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판결요지

채권양도 당시 원금 및 이미 발생하고 또 앞으로 발생할 지연손해금채권 전부를 양도한 것인데도 증거의 가치판단을 그르쳐서 이미 발생한 지연손해금 부분은 양도되지 않았다고 잘못 인정한 채증법칙위배의 위법이 있다하여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187조, 민법 제449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부산직할시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인규 【피고, 상고인】 신홍성 외 1인 피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박영도 외 1인 【원심판결】 대구고등법원 1989.7.26. 선고 89나1842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대구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소외 이동우가 원고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제1심법원은 1985.1.12. 원고에 대하여 위 이동우에게 금 200,000,000원 및 이에 대한 1983.2.18.부터 완제일까지 연 5푼의 비율에 의한 지연손해금의 지급을 명하는 판결을 선고하였고, 항소심법원은 1986.6.17. 위 제1심판결을 변경하여 원고에 대하여 위 이동우에게 금 270,352,302원 및 이에 대한 1983.2.18.부터 완제일까지 연 5푼의 비율에 의한 지연손해금의 지급을 명하는 판결을 선고하였으며, 위 항소심판결은 확정된 사실, 그런데 위 이동우는 1심판결이 선고된 후인 1985.1.21. 1심판결에서 인용된 금 200,000,000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 중 지연손해금 부분에 관하여는 아무런 언급이 없이 그 원금 200,000,000원 중 금 30,000,000원을 피고 신홍성에게, 나머지 금 170,000,000원을 피고 신홍성에게 각 양도하고는 그무렵 채무자인 원고에게 채권양도사실을 통지함에 있어서도 지연손해금 부분에 대하여는 아무런 언급이 없이 다만 피고 송 성규에게 금 30,000,000원을, 피고 신홍성에게 금 170,000,000원을 양도하였다고만 통지하였고 항소심판결이 선고된 1986.6.17. 그 판결에서 인용된 금 270,352,302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 중 지연손해금 부분에 대하여는 아무런 언급이 없이 이미 양도한 금 200,000,000원을 제외한 나머지 금 70,352,302원을 피고 신홍성에게 양도하고 그 무렵 이를 원고에게 통지함에 있어서도 지연손해금 부분에 대하여는 아무런 언급이 없이 다만 피고 신홍성에게 금 70,352,302원을 양도하였다고만 통지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원심이 믿지 않는 을제1호증의 기재와 원심증인 이동우의 증언 이외에는 위 채권양도 당시 이미 변제기에 도달한 지연손해금도 아울러 양도하였다고 인정할만한 증거가 없으므로, 채권양도일 이후의 지연손해금 부분에 피고들에게 양도된 것이지만 그 나머지 부분인 각 채권양도 이전에 이미 발생한 지연손해금 부분은 피고들에게 양도되지 아니하였을 뿐만아니라 그 채무자인 원고에게 통지되지 아니하였다고 판시하고 있다. 그러나 원심이 채용한 갑제2호증의 1내지 3(각 채권양도통지서), 을제2호증(공증인증서), 을 제3호증(공정인증서)의 각 기재만에 의한다면 소외 이동우가 피고들에게 양도하고 원고에게 양도통지한 채권에는 원고에 대한 손해배상청구사건의 승소금액 중원금과 채권양도 이후의 지연손해금 이외에 채권양도 이전에 이미 발생한 지연손해금이 포함되어 있는 지 여부가 불분명하지만 위 서증 등의 기재에 위 서증의 작성자인 원심증인 이동우가 증언을 합쳐보면 위 이동우는 채권양도 당시 원금과 이미 발생하고 또 앞으로 발생한 지연손해금 채권전부를 피고들에게 양도하고 그 뜻을 원고에게 통지하였음이 명백하다. 원심이 위 갑제2호증의 1내지3, 을제2,3호증을 증거로 채용하면서도 위 서증들의 작성명의인인 위이동우의 잔술을 내용으로 하는 을 제1호증의 기재와 동인의 증언을 아무런 합리적인 이유의 설시도 없이 배척하여, 채권양도 이전에 이미 발생한 지연손해금 부분은 피고들에게 양도되지도 아니하였을 뿐만 아니라 원고에게 통지되지 아니하였다고 단정하였음은 증거의 가치판단을 잘못한 채증법칙위배의 위법이 있다 할 것이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만운(재판장) 김덕주 윤관 안우만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돈 떼먹으면 이자 폭탄? 지연손해금 계산, 이것만 알면 된다!

돈을 빌려주고 못 받았을 때 발생하는 지연손해금은 원금과는 별개의 청구로 봐야 하며, 항소심에서 불이익 변경 금지 원칙을 적용할 때에도 원금과 지연손해금을 따로따로 판단해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지연손해금#원금#별개청구#불이익변경금지원칙

상담사례

빌린 돈, 갑자기 모르는 사람이 달라고 한다면? 🤔 (feat. 지연이자)

빌린 돈의 상환일을 정하지 않았더라도, 채권양도 통지를 받기 전까지는 새 채권자에게 원금 및 지연이자 지급 의무가 없으며, 소송 중 통지받았다면 통지 다음 날부터 지연이자가 발생한다.

#채권양도#지연이자#이행기#채권양도 통지

민사판례

돈 안 갚으면 생기는 지연손해금, 그 지연손해금에도 지연손해금이 붙는다고?!

이미 확정된 지연손해금에도 채권자가 이행을 청구하면 그때부터 또 지연손해금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이 경우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에 따른 높은 이율(연 12%)이 아닌, 민법상 이율(연 5%)이 적용됩니다.

#지연손해금#지체책임#이율#민법

민사판례

빚 갚으려고 다른 채권 양도했는데, 원래 빚은 바로 없어질까? 그리고 소송에서 이기면 언제부터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을까?

돈을 갚아야 하는 채무자가 빚 대신 다른 채권(돈 받을 권리)을 넘겨줬다고 해서 바로 빚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며, 채무자가 빚의 존재 자체를 다투다가 1심에서 이겼지만 2심에서 졌다면, 2심 판결 전까지는 높은 이율의 지연손해금을 물릴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채권양도#채무소멸#지연손해금#이율

형사판례

돈 받았으면 내놔야지! 채권 양도 후 추심금 소유권은 누구에게?

채권을 다른 사람에게 양도한 후, 양도 사실을 채무자에게 알리기 전에 양도인이 직접 돈을 받았다면, 그 돈은 양수인의 것이고, 양도인은 양수인을 위해 그 돈을 보관하는 사람으로 봐야 한다. 따라서 양도인이 그 돈을 마음대로 쓰면 횡령죄가 된다.

#채권양도#양도인 추심#횡령죄#양수인 소유권

상담사례

돈 빌려줬는데, 채권이 두 사람에게 양도됐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돈을 빌려준 후 채무자가 제3자에게 받을 채권을 양도받았다면, **확정일자 있는 증서로 채무자에게 먼저 통지한 사람이 채권을 가져가므로**, 이중양도 시 돈을 받지 못할 수 있지만, 원래 채무자에게는 여전히 돈을 청구할 수 있다.

#채권양도#확정일자#채무자 통지#이중양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