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말소

사건번호:

89다카24629

선고일자:

1990060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공유대지의 분할등기시 공유자 중 1인의 지분이 종전보다 더 크게 기재된 경우 그 등기기재의 종전 등기부상의 지분비율을 초과하는 부분의 효력유무(소극)

판결요지

수인의 공유로 등기된 토지가 분할되는 경우에 종전 토지의 등기부상 공유관계가 그대로 전사되지 아니하고 공유자 중 1인의 지분이 종전보다 더 크게 기재되었다면 그 등기기재는 종전 등기부상의 지분비율을 초과하는 범위에서는 원인무효의 등기이다.

참조조문

민법 제268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강수헌 【피고, 피상고인】 곽성기 외 2인 【원 판 결】 청주지방법원 1989.7.26. 선고 89나696 판결 【주 문】 원 판결을 파기하여 사건을 청주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원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충북 보은군 삼승면 원남리 205의7 임야 1,338평(이하 이 사건 토지라고 한다)의 1/2 지분에 관하여 청주지방법원 보은등기소 1957.11.4. 접수 제2317호로 소외 김동욱 앞으로 소유권보존등기가 경로되고, 이어서 같은 등기소 같은 날 같은 접수번호로 소외 망 곽희준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된 사실, 이 사건 토지는 원래 위 김동욱의 소유이었던 같은 리 205의1 임야 10,209평에서 분할되어 나온 것이고, 소외 망 강학봉이 1946.1.23. 위 분할 전 임야 10,209평 전체를 위 김동욱에게서 매수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위 곽희준 명의의 지분소유권이전등기가 원인무효의 등기라는 점에 대하여는 위 등기가 적법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법률상 추정된다는 전제 아래 그 유효성을 다투는 원고가 위 등기의 불법경료사실을 입증하여야 할 것인데 이에 대한 입증이 없다는 취지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1989.7.12.자 원심 제3차 변론조서에 의하면 원고는 1989.6.19.자 준비서면을 진술하고 있는데 위 분할 전 임야 10,209평에 대하여 위에서 본 것 같이 위 김동욱 앞으로 소유권보존등기가 경료되고 이어서 위 곽 희준 앞으로 그 1/10 지분에 관하여 지분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되었던 것임에도 위 임야가 이 사건 토지를 포함한 9필지의 토지로 분할되어 전사되면서 9필지 전부에 관하여 위 곽희준이 1/2 지분권자로 기재되었다는 취지로 되어 있고 원고는 이에 대한 증거로 갑제1호증, 갑제12호증의1,2 갑제14호증의1 내지 8을 제시하고 있다. 만일 수인의 공유로 등기된 토지가 분할되는 경우에 종전 토지의 등기부상 공유관계가 그대로 전사되지 아니하고 공유자 중 1인의 지분이 종전보다 더 크게 기재되었다면 그 등기기재는 종전 등기부상의 지분비율을 초과하는 범위에서는 원인무효의 등기라고 볼 수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원판결은 위와 같은 원고의 주장에 대하여 아무런 판단도 없어 이 사건 원고의 청구를 배척하고 있는바, 이는 판단유탈의 위법이 있다고 할 것으로서 원판결을 파기하지 아니하면 현저히 정의와 형평에 반한다고 인정할 만한 중대한 법령위반이라고 할 것이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있다. 이에 다른 논점에 대한 판단의 필요없이 원판결을 파기하여 사건을 다시 심리 판단케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주한(재판장) 이회창 배석 김상원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땅 면적이 등기보다 넓고, 지분등기로 일부만 산 경우, 내 땅 맞을까?

등기부상 면적보다 실제 면적이 큰 토지를 매매할 경우 초과 부분 점유는 단순 점용으로 보기 때문에 시효취득이 어렵습니다. 또한, 토지 일부만 매매하고 지분등기를 받았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시효취득이 불가능합니다.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서는 각자 지분을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지만, 명의신탁 해지는 모든 지분권자가 함께 해야 합니다.

#토지#매매#점유#명의신탁

민사판례

등기부상 지분 합계가 100%를 넘으면 어떻게 될까요?

등기부에 기재된 지분의 합이 100%를 초과하는 경우, 등기부에 적힌 지분대로 각자 소유권을 가진다고 바로 추정할 수 없다. 어느 부분의 등기가 잘못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지분#등기#100% 초과#오류

민사판례

땅 지분, 잘못 등기해도 괜찮을까? 그리고 내 땅을 지키려면 어떤 소송을 해야 할까?

땅 일부를 살 때 편의상 전체 땅에 대한 지분으로 등기했더라도 실제 면적과 지분 비율이 달라도 등기는 유효하며, 다른 사람의 권리 관계를 확인하는 소송은 자신의 권리에 직접적인 위협이 있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토지#지분등기#면적 불일치#명의신탁

민사판례

토지 공유, 그 복잡한 분할 이야기

여러 사람이 한 필지의 땅을 공유하면서 각자 특정 부분을 사용하기로 약정하고, 등기는 편의상 전체 땅에 대해 공유지분등기를 한 경우, 특정 부분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는 사람은 공유물 분할을 청구할 수 없고, 명의신탁 해지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를 청구해야 합니다.

#구분소유적 공유관계#공유물 분할 청구 불가#명의신탁 해지#소유권이전등기 청구

민사판례

땅 일부를 샀는데, 등기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등기부상 공유로 되어 있는 임야의 특정 부분을 매수한 경우, 매수인은 매도인에게 해당 부분에 대한 지분이전등기를 청구할 수 있다.

#임야#지분이전등기#특정 부분 매수#공유

민사판례

등기부보다 많은 지분 이전등기, 어떻게 될까요?

실제보다 많은 땅 지분을 돌려달라고 소송을 걸었는데, 상대방이 실수로 소송 내용대로 땅을 넘겨주기로 해서 잘못된 판결이 나왔다면, 이 판결은 고칠 수 있다는 판례입니다.

#지분 과다이전#인낙조서 경정#판결 경정#민사소송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