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수금

사건번호:

89다카27420

선고일자:

199108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가집행선고부 제1심판결에 기한 압류 및 전부명령 후 항소심 계속중에 채권액 중 일부금원을 지급받고 소송을 백지화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항소각하의 판결이 선고, 확정된 경우, 채권자가 수령한 전부금 중 합의에 의한 채권액을 공제한 나머지는 부당이득이 된다고 본 사례 나.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의 기초가 된 가집행선고부 판결이 상급심판결에 의하여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취소된 경우, 그 취소부분에 관한 집행채권자의 부당이득반환의무 유무(적극) 다.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 송달 후에 채권자와 채무자가 한 위 "가"항과 같은 합의의 효력 유무(적극)

판결요지

가. 가집행선고부 제1심판결에 기한 압류 및 전부명령 후 항소심 계속중에 채권액 중 일부금원을 지급받고 소송을 백지화 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항소각하의 판결이 선고, 확정된 경우, 채권자가 수령한 전부금 중 합의에 의한 채권액을 공제한 나머지는 부당이득이 된다고 본 사례 나.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이 집행법상 적법하게 발부되어 채무자 및 제3채무자에게 송달되면 집행채권에 관하여 변제의 효과가 발생하고 강제집행절차는 종료하나,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의 기초가 된 가집행선고부 판결이 상급심판결에 의하여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취소된 경우에는 그로 인하여 위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에 의한 강제집행이 이미 종료된 것 자체에는 아무런 변동을 가져오지 아니하면서도 그 취소된 부분에 관하여는 집행채권자가 부당이득을 한 것이 되어 이를 반환할 의무를 진다. 다.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 송달 후에 그 강제집행의 당사자인 제3채무자의 참여 없이 채권자와 채무자가 위 "가"항과 같이 합의한 것이 이미 발하여진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이나 그에 의한 강제집행자체를 취소 변경하는 것에 해당하여 그 효력이 없는 것이라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가.나.민법 제741조 / 가.나.다. 구 민사소송법 (1990.1.13. 법률 제420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제564조

참조판례

나. 대법원 1983.1.26. 선고 82마854 판결(공1983,573), 1984.2.13. 선고 84그4,5 판결(공1984,574), 1984.9.28. 선고 84그36 판결(공1984,1792)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겸 피상고인】 주식회사 태은 소송대리인 변호사 홍순표 【피고, 피상고인 겸 상고인】 이마산업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송명관 외 1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89.9.12. 선고 89나19042 판결 【주 문】 각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상고인 각자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1. 원고의 상고이유 및 피고의 상고이유 제1, 2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가 소외 주식회사 태은협력(이하 소외회사라고 한다)을 상대로 한 액면 금 15,660,000원의 약속어음금청구소송의 제1심인 부산지방법원 86가단1868 사건에서 소외회사는 피고에게 금 15,660,000원 및 이에 대한 1985.12.1.부터 1986.4.17.까지는 연 6푼, 그 다음날부터 완제일까지는 연 2할 5푼의 각 비율에 의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는 내용의 가집행을 허용하는 판결을 선고 받고, 1986.8.19. 이를 채무명의로 하여 부산지방법원 86타12469, 12470호로서 소외 회사의 소외 한국유리공업 주식회사(이하 한국유리라 한다)에 대한 용역비 채권 중 금 17,216,557원에 관하여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의 결정을 받은 다음 위 한국유리를 상대로 전부금청구소송을 제기하여 1988.7.15. 위 한국유리로부터 위 전부금 및 그 지연손해금으로 금23,431,026원을 지급받은 사실은 당사자 사이에 다툼이 없고, 거시증거를 종합하면 소외회사는 위 약속어음금청구사건이 항소심에 계속중이던 1986.10.16 피고와의 사이에 소외인이 소외 회사로부터 위 약속어음을 편취하여 피고에 대한 금 4,500,000원의 차임의 지급을 위하여 이를 배서양도한 사정을 고려하여 피고가 소외 회사로부터 금 4,500,000원을 지급받고 위 약속어음을 소외 회사에 반환하되 차후 위 소송은 백지화 하기로 합의하였고, 이에 따라 부산지방법원 항소심에서는 소외회사와 피고 사이에 이루어진 위 합의를 항소취하의 합의로 보고 더 이상 항소를 유지할 이익이 없다는 이유로 1986.12.11.항소각하의 판결을 선고하였는데 소외회사가 이에 불복하지 아니하여 그 무렵 위 판결이 확정된 사실, 소외회사는 원고가 전부금으로 지급받은 금 23,431,026원 중 위 합의한 금 4,500,000원을 초과하는 부분은 부당이득이 된다고 보아 그 반환청구권을 1988.7.29. 원고에게 양도하고 1988.9.1. 피고에게 이를 통지한 사실이 인정된다고 한 다음, 위 합의에 의하여 소외 회사가 피고에게 지급하기로 한 금원은 위 금 4,500,000원과 이에 대하여 위 부산지방법원 86가단1868 판결에 의하여 인정된 1985.12.1.부터 1986.4.17.까지 연 6푼, 1986.4.18.부터 전부금을 지급받은 1988.7.15.까지 연 2할 5푼의 각 비율에 의한 지연손해금이라고 판시하였다. 기록에 대조하여 살펴보면 위 사실인정과 판단은 이를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소론주장과 같은 경험칙이나 채증법칙의 위배 또는 심리미진으로 사실을 오인한 위법 또는 변론주의에 위배하였거나 증거없이 지연손해금 약정사실을 인정한 위법이 있다 할 수 없으므로 이 부분에 관한 원고 및 피고의 상고논지는 어느 것이나 모두 이유없다. 2. 피고의 상고이유 제3점에 대하여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이 집행법상 적법하게 발부되어 채무자 및 제3채무자에게 송달되면 집행채권에 관하여 변제의 효과가 발생하고 강제집행절차는 종료하는 것임은 소론과 같다. 그러나 이 사건에서처럼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의 기초가 된 가집행선고부판결이 상급심판결에 의하여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취소된 경우에는 그로 인하여 위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에 의한 강제집행이 이미 종료된 것 자체에는 아무런 변동을 가져오지 아니하면서도 그 취소된 부분에 관하여는 집행채권자가 부당이득을 한 것이 되어 이를 반환할 의무를 지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위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송달 후에 그 강제집행의 당사자인 위 한국유리의 참여 없이 피고와 소외회사가 판시와 같이 합의한 것이 이미 발하여진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이나 그에 의한 강제집행자체를 취소 변경하는 것에 해당하여 그 효력이 없는 것이라고 할 수 없다.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피고가 수령한 전부금 중 위 합의에 의한 피고의 채권액을 공제한 나머지는 부당이득이 된다고 판시한 것은 옳고 그 이유에 아무런 모순이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3. 그러므로 각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최재호(재판장) 윤관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남의 물건 압류당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

빚진 사람(채무자)이 아닌 다른 사람(제3자)의 물건을 압류하여 경매한 경우, 돈을 받아간 채권자는 그 제3자에게 부당이득을 반환해야 하고, 채권자가 압류 당시 그 물건이 제3자의 것임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경우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도 진다. 미래에 얻을 수 있었던 수익(일실이익)에 대한 손해배상은 그 개연성이 입증되어야 하고, 압류된 물건 값을 넘는 손해는 특별한 사정으로 보아 채권자가 그 사정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때만 배상해야 한다.

#타인 소유 동산#압류#경매#채권자 책임

민사판례

배당 잘못됐을 때, 누가 돈 돌려받을 수 있을까?

돈을 나눠주는 배당 과정에서 잘못 배당된 경우, 받을 권리가 없는 사람은 받은 돈을 돌려줘야 한다. 배당표가 확정되었다 하더라도 실제 권리관계와 다르면 부당이득으로 봐서 돌려받을 수 있다.

#배당#부당이득반환청구권#배당표 확정#권리관계

민사판례

부당이득 반환, 돈 썼어도 돌려줘야 할까?

정당한 이유 없이 다른 사람의 재산이나 노력으로 이득을 얻어 손해를 입혔다면, 그 이득이 돈일 경우, 사용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돌려줘야 할 의무가 있다.

#부당이득#반환#사용 여부 무관#재개발조합

민사판례

횡령금으로 갚은 빚, 돌려줘야 할까? 부당이득 반환 책임에 대해 알아보자

횡령한 돈으로 빚을 갚았을 때, 빚을 받은 사람이 횡령 사실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경우, 받은 돈을 돌려줘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악의"나 "중과실"이 있는 경우 부당이득으로 봅니다.

#횡령#부당이득#반환#악의

민사판례

돈 받았는데 소송 결과가 뒤바뀌면? 돌려줘야 할까?

돈을 받을 권리(채권)가 압류된 경우, 채무자가 원래 채권자에게 가지고 있던 항변 사유를 새로운 채권자에게도 주장할 수 있다. 또한, 가집행으로 돈을 받았더라도 나중에 판결이 뒤집히면 받은 돈을 돌려줘야 한다.

#채권압류#항변권#가집행#부당이득반환

민사판례

착오 송금, 돌려받을 수 있을까? - 부당이득 반환 청구

돈을 보낼 곳을 잘못 지정해서 엉뚱한 사람에게 돈이 입금되었을 경우, 돈을 잘못 받은 사람은 법률상 아무런 근거 없이 이익을 얻은 것이 되므로 돈을 잘못 보낸 사람에게 부당이득을 반환해야 합니다.

#잘못입금#부당이득반환청구권#예금반환청구권#횡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