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89다카7266
선고일자:
199005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환지예정지에 대한 매매가 수량을 지정하여 한 매매가 아니라고 본 사례
환지예정지에 대한 매매가 수량을 지정하여 한 매매가 아니라고 본 사례
민법 제574조
대법원 1977.7.4. 선고 77다811 판결
【원고, 피상고인】 한상만 외 2인 원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박천식 【피고, 상고인】 김성복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종순 【원 판 결】 서울고등법원 1989.2.27. 선고 88나38305 판결 【주 문】 원판결의 예비적 청구에 관한 부분 중 피고 패소부분을 파기하여,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고들이 1981.8.1. 피고로부터 당시 성남시 하대원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내의 환지예정지였던 성남시 성남동 39부럭 13롯드 161.2평, 같은 부럭 14롯드 63.4평, 같은 부럭 15롯드 227.4평 환지예정지 면적합계452평을 평당 금 400,000원으로 쳐 매수한 사실과 1982.4.22. 위 환지예정지 중 위 39부럭 13롯드(종전 토지 성남동 1173대 161평)는 성남동 30의6 대162.4평(권리면적 106.8.평)으로 환지확정되었고 이 토지는 이와 같은 환지확정전에 이미 원고들 명의로 종전토지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되었었는데 위 권리면적을 초과하는 과도면적 55.6평(162.4 -106.8)에 대한 청산금 18,279,560원(328,769원 ×55.6)을 원고들이 납부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이 사건 매매계약의 목적물이 위 39롯드의 13 환지예정지161.2평이 포함된 452평으로 확정되고 매매대금도 평당 금400,000원으로 결정된 이상, 비록 토지구획정리사업 주체와의 관계에서는 환지확정 당시의 토지소유자인 원고들이 청산금을 납부할 의무가 있다 할지라도 원고들과 피고 사이에는 위 청산금 중 위 매매계약상의 환지예정지 면적으로 되어 있는 161.2평에 관하여 부과된 청산금 17,885,033원 ((161.2 -106.8.) × 328,769원)은 피고가 이를 부담하여야 할 성질의 것이라 할 것이므로 원고들이 이를 납부하였으니 피고는 법률상 원인없이 위 금액 상당의 이득을 얻고 원고들에게 동액 상당의 손해를 가하였다고 볼것이라 하여 피고는 원고들에게 위 금원 및 그 인용의 지연손해금을 지급하여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환지처분의 공고가 있은 후에 확정된 청산금은 환지확정 당시의 종전토지의 소유자에게 있음을 당연하고 더구나 원심도 원고의 주청구원인인 원·피고들간에 이 사건 계쟁부동산 매매계약을 체결함에 있어 장차 환지처분이 공고되는 때에 종전토지에 관하여 부과될 청산금을 피고가 부담하기로 하는 약정을 하였다고 인정할 만한 증거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여기에다가 원심이 배척한 바가 없는 성립에 다툼이 없는 갑제4호증(영수증)과 원심이 채용하고 있는 갑제5호증(환지예정지 증명) 의 각 기재와 제1심 증인 한돈하의 증언에 의하여 인정할 수 있는 원고들 소유의 땅위에 있는 공장의 공장장으로 원고들의 부탁으로 이사건 계약을 주선하여 중개한 한돈하가 1981.9.17.자로 성남시장으로부터 발급받은 위 갑제5호증에 위 종전토지가 환지예정지로 지적되어 있음에 그 권리면적이 353㎡, 환지면적이 532.5㎡이어서 그 과도면적이 179.5㎡임이 바로 나타나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고들이 그 뒤인 1981.9.28. 아무런 유보없이 잔대금 88,800,000원을 피고에게 지급하고 환지확정 전인 같은해 10.24. 피고로부터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해 받은 사실 등을 보태어 보면, 위 매매계약서상의 위 지적의 표시와 이를 기초로 한 매매대금의 산정은 토지매매당사자들간에 대상토지를 특정하고 그 대금을 결정하기 위한 방편이었다고 보여질 뿐 그 자체가 수량을 지정하여 한 매매라고는 보기 어렵다. 이 사건 매매계약이 위 환지예정지 452평으로 그 수량을 지정하여 매매가 이루어진 것임을 전제로 하여 원심이 그 설시와 같이 판단하고 있는 것은 채증법칙의 위배 내지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하지 않을 수 없고 이는 현저히 사회정의와 형평에 반하는 중대한 법령위반에 해당된다 할 것이므로 이 점에 관한 상고논지는 이유있어 원심판결의 예비청구에 관한 부분 중 피고 패소분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법관의 의견이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주한(재판장) 이회창 배석 김상원
민사판례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생기는 환지예정지를 매매할 때, 미리 예상되는 청산금은 특별한 약속이 없으면 매수자가 부담한다. "과도면적 발생 시 잔금 조정" 특약은 예상된 면적의 변동에 대한 것이지, 청산금 부담 주체를 바꾸는 것은 아니다.
민사판례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환지예정지가 지정된 후, 예상하지 못했던 청산금이 발생했을 때, 이 청산금은 토지를 판 사람에게 돌아간다는 판결입니다.
민사판례
토지구획정리사업에서 환지예정지가 지정된 토지를 매매할 때, 계약서에 교부청산금을 제외한다는 특약이 없으면 청산금도 매매대상에 포함된다.
민사판례
토지구획정리사업 구역 내 환지예정지 일부가 사업구역에서 제외된 경우에도,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제외된 토지 역시 매매계약의 목적물에 포함된다고 본 판례입니다.
일반행정판례
토지구획정리사업 후 토지 면적이 늘거나 줄어 발생하는 청산금은 법 개정 전에는 환지계획 인가 시점, 개정 후에는 환지처분 시점의 땅값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한다. 계획 변경 등으로 환지처분이 법 개정 이후에 이뤄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환지처분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
민사판례
토지구획정리사업 후 면적이 늘어난 땅을 매매할 때, 늘어난 면적도 원래 약속했던 매매 대상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특별한 약정이 없다면 늘어난 면적까지 포함하여 소유권을 이전해야 하고, 손해배상도 늘어난 면적을 포함한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