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표등록무효

사건번호:

89후1325

선고일자:

199009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본건상표 ""와 인용상표 ""의 유사여부(적극) '명신왕'이라는 가공의 왕을 염두에 두고 만든 본건 상표의 요부

판결요지

가. 본건상표 ""중 사각형의 도안속에 있는 "명신"이라는 문자는 피심판청구인의 상호를 표기한 것으로 보이고 뒷부분의 "오징어"는 지정상품의 표시에 불과하여 결국 "왕"부분이 요부라고 할 것이고, 인용상표 도 그 요부는 "왕"이므로 두 개의 상표는 관념과 칭호가 유사하여 동종의 지정상품에 함께 사용할 때에는 상품출처에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 나. 상표의 동일, 유사여부를 판단함에는 그 상표소유자의 주관적 희망이나 의사를 표준으로 할 것이 아니라 그 상표의 외관상 거래계나 수요자에게 객관적으로 어떻게 인식될 것이냐에 의하여 판단할 것이므로 본건 상표를 만들 때 "명신왕"이라는 가공의 왕을 염두에 두고 만들었더라도 본건 상표를 객관적으로 살펴보면 "명신"은 단순히 출처를 표시한 것처럼 보이고 "왕" 부분이 자타상품의 구별을 위한 중심부분인 것으로 인식되는 것인 만큼 본건 상표의 요부가 특정한 왕인 '명신왕'이라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구 상표법 제9조 제1항 제7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심판청구인, 피상고인】 삼진물상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리사 문기상 외 1인 【피심판청구인, 상고인】 주식회사 명신상사 소송대리인 변리사 이세영 【원 심 결】 특허청 항고심판소 1989.6.30.자 87항당112 심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심판청구인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피심판청구인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결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심판청구인의 본건상표 ""와 심판청구인의 선출원상표인 을 대비 관찰하여 보면, 본건상표 중 사각형의 도안속에 있는 "명신"이라는 문자는 피심판청구인의 상호를 표기한 것으로 보이고 뒷부분의 "오징어"는 지정상품의 표시에 불과하여 결국 "왕" 부분이 요부라고할 것이고, 인용상표도 그 요부는 "왕"이므로 두개의 상표는 관념과 칭호가 유사하여 동종의 지정상품에 함께 사용할 때에는 상품출처에 혼동을 일으킬수 있다 고 판단하였는 바, 기록에 비추어 볼때 원심의 위 판단은 옳으며 거기에 심리미진, 이유불비 또는 상표의 유사성에 관한 법리의 오해와 같은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상표의 동일, 유사여부를 판단함에는 그 상표소유자의 주관적 희망이나 의사를 표준으로 할 것이 아니라 그 상표의 외관상 거래계나 수요자에게 객관적으로 어떻게 인식될 것이냐에 의하여 판단할 것이므로 본건 상표를 만들 때 "명신왕"이라는 가공의 왕을 염두에 두고 만들었다 하더라도 본건 상표를 객관적으로 살펴보면, "명신"은 단순히 출처를 표시한 것처럼 보이고 "왕" 부분이 자타상품의 구별을 위한 중심 부분인 것으로 인식되는 것인 만큼 본건 상표의 요부는 특정한 왕인 '명신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독자적인 주장에 불과하다. 논지는 이유없다. 이에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영철(재판장) 박우동 이재성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곰표' vs '양곰표', 상표권 분쟁에서 누가 이겼을까?

'곰표'라는 상표를 먼저 등록한 업체가, 나중에 '양곰표'라는 상표를 등록하고 실제 제품에는 '양' 그림과 '곰표국수'라는 글자를 함께 써서 판매하는 업체를 상대로 상표권 침해 소송을 제기하여 승소했습니다. 법원은 '양곰표국수'라는 표현이 '곰표국수'로 줄여 불릴 가능성이 있어 소비자들이 두 제품의 출처를 혼동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곰표#양곰표#상표권 침해#유사상표

특허판례

'라이온 킹' 상표 등록 실패! 기존 '라이온' 상표와 유사 판단

디즈니의 "THE LION KING" 상표가 기존에 등록된 "사자 도형, LION, 라이온" 상표와 유사하여 등록이 거절되었습니다. 또한, "THE LION KING"은 국내에서 충분한 식별력을 얻지 못했다고 판단되었습니다.

#라이온킹#상표#등록거절#유사상표

특허판례

'드레곤 카이저' 상표, 유사상표 논란에 휩싸이다!

"드레곤 카이저"라는 상표가 기존에 등록된 "Dragon Island, 용 도형" 및 "카이저 맨, KAISER MAN" 상표와 유사하여 등록이 거절된 사례. 상표의 일부만으로도 소비자들이 혼동할 수 있다는 점이 판결의 주요 근거.

#상표#드래곤 카이저#등록거절#유사상표

특허판례

루우판 vs. 루란, 상표권 분쟁 이야기

'루우판(LURAN)' 상표가 이미 등록된 '루란(LURAN, 루란)' 상표와 유사하여 상표 등록이 무효라는 판결입니다. 비슷한 글자와 발음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혼동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주요 이유입니다.

#상표#루우판#LURAN#루란

특허판례

ST. MICHAEL vs. MICHAEL'S PETS: 상표권 분쟁, 누구 말이 맞을까?

이미 등록된 상표 "MICHAEL'S PETS"와 유사하여 소비자 혼동 우려가 있으므로 "ST. MICHAEL" 상표 등록이 거절되었습니다. 다른 상품에 "ST. MICHAEL" 상표가 등록되었다 하더라도 이번 사건의 상표 등록이 허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ST. MICHAEL#상표등록거절#MICHAEL'S PETS#상표유사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 핵심은 '소비자 혼동'!

새로운 상표에 그림이 들어가 있어도, 핵심 단어가 기존 상표와 같다면 유사 상표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상표#유사#그림#핵심 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