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감호,강간치상,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

사건번호:

90감도85

선고일자:

199006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보호감호시설에의 수용기간이 길어서 부당하다는 상고이유의 적부(소극) 나. 감호사건만이 상고된 경우 피고 사건의 범죄사실 인정에 관한 채증법칙위반 등을 상고이유로 함의 가부(소극)

판결요지

가. 사회보호법 제20조 제1항에 의하여 법원은 보호감호청구가 이유있다고 인정할 때에는 판결로서 감호를 선고하는 것이고 보호감호시설에의 수용기간은 7년을 초과할 수 없도록 법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판결에 그 기간을 명시하는 것이 아니며 이 수용기간이 길어서 부당하다는 것을 이유로 하여서는 적법한 상고이유로 삼을 수가 없다. 나. 피감호청구인이 항고심판결 중 감호사건에 관한 부분에 대하여만 상고를 하고 피고사건에 관한 부분에 대하여는 상고를 포기한 경우에는 공소범죄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항소심판결에 채증법칙을 어기거나 심리를 미진한 위법이 있다는 사유를 들어 감호사건에 관한 상고이유로 삼을 수 없다.

참조조문

사회보호법 제7조, 제20조 제1항, 제20조 제7항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90.2.27. 선고 89감도219 판결(공1990,831) / 나. 대법원 1990.2.9. 선고 89감도205 판결(공1990,693), 1990.6.8. 선고 90감도83 판결

판례내용

【피감호청구인】 【상 고 인】 피감호청구인 【변 호 인】 변호사 백낙민 【원심판결】 광주고등법원 1990.4.6. 선고 90노30,90감노1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피감호청구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사회보호법 제20조 제1항에 의하여 법원은 보호감호청구가 이유있다고 인정할 때에는 판결로서 감호를 선고하는 것이고, 보호감호시설에의 수용기간은 7년을 초과할 수 없도록 법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판결에 그 기간을 명시하는 것이 아니며 이 수용기간이 길어서 부당하다는 것을 이유로 하여서는 적법한 상고이유로 삼을 수가 없는 것이다 ( 당원 1990.2.27. 선고 89감도219 판결 참조). 따라서 논지는 이유없다. 국선변호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이 사건에 있어서와 같이 피감호청구인이 항소심판결 중 감호사건에 관한 부분에 대하여만 상고를 하고 피고사건에 관한 부분에 대하여는 상고를 포기한 경우에는 공소범죄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항소심판결에 채증법칙을 어기거나 심리를 미진한 위법이 있다는 사유를 들어 감호사건에 관한 상고이유로 삼을 수 없는 것이고( 당원 1990.2.9. 선고 89도205 판결참조), 감호사건에 관하여는 원심의 사실인정에 소론과 같은 심리미진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고 피고인에게 재범의 위험성이 있다고 인정한 원심의 조처도 수긍이 되므로 논지도 이유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덕주(재판장) 윤관 배만운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보호감호 기간과 상고이유에 대한 대법원 판단

이 판례는 보호감호 처분의 기간을 정하지 않고 선고하는 것이 위헌인지, 그리고 범죄사실에 대한 상고를 포기한 경우 보호감호 처분에 대한 상고이유로 범죄사실 인정의 오류를 주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기간 미정의 보호감호 처분은 위헌이 아니며, 범죄사실에 대한 상고를 포기한 경우 그 인정의 오류를 보호감호 상고이유로 삼을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보호감호#기간미정#위헌성#상고이유제한

형사판례

보호감호 기간, 판결에 꼭 써야 할까요?

범죄 예방을 위한 보호감호 선고 시, 판결에 수용기간을 구체적으로 적어야 할 필요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최대 수용기간은 법률에 정해져 있으므로, 판결문에 기간을 명시하지 않아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보호감호#수용기간 명시#불필요#상고기각

형사판례

징역형과 보호감호, 이중처벌일까? 그리고 보호감호 기간 계산은 어떻게?

징역형과 보호감호는 함께 선고될 수 있으며, 사회보호법 개정 전 확정된 보호감호 처분이라도 개정 후 재심에서 다시 보호감호 처분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보호구금 기간은 감호기간에 반드시 산입해야 한다.

#징역형#보호감호#병과#사회보호법

형사판례

죄를 저지른 사람에게 보호감호를 선고할 때, 이전 판결에 대한 불만을 어떻게 다룰까요?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재범 위험성 때문에 보호감호 처분을 받은 사람이 감호 처분에 대해서만 불복하여 상고할 경우, 유죄 판결 자체에 대한 이의는 제기할 수 없다.

#보호감호#상고#유죄판결#별개

형사판례

죄 인정하고 감호만 다투면, 사실관계는 못 따른다!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보호감호 처분을 받은 사람이 유죄 판결은 받아들이고 보호감호 처분에 대해서만 상고하는 경우, 유죄 판결의 사실관계에 대한 이의는 제기할 수 없다.

#유죄판결#보호감호#상고#사실관계

형사판례

보호감호와 형의 실효, 그리고 검사의 청구 범위에 대한 대법원 판결 해설

보호감호 기간에도 형의 실효는 진행되며, 법원은 검사가 청구한 보호감호 유형에 대해서만 판단해야 한다.

#보호감호#형실효#심판범위#보호감호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