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소득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0누1168

선고일자:

199005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소유자의 책임과 계산하에 다른 사람을 고용하여 경작하는 토지가 양도소득세의 비과세대상인 자경농지에 포함되는지 여부(적극) 나. 납부독촉이 없는 가산금부과처분에 대한 취소소송의 적부(소극)

판결요지

가. 양도소득세 비과세대상인 구 소득세법(1988.12.26. 법률 제401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 제6호(라)목에서 규정하는 "자기가 경작하는 토지" 라 함은 자기가 직접 논·밭을 갈고, 가꾸고, 수확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의 책임과 계산하에 다른 사람을 고용하여 경작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나. 국세징수법 제21조가 규정하는 가산금은 국세가 납부기한까지 납부되지 않는 경우, 미납분에 관한 지연이자의 의미로 부과되는 부대세의 일종으로서 과세권자의 가산금확정절차없이 국세를 납부기한까지 납부하지 아니하면 위 법규정에 의하여 가산금이 당연히 발생하고 그 액수도 확정된다고 할 것이고, 다만 그에 관한 징수절차를 개시하려면 독촉장에 의하여 그 납부를 독촉함으로써 가능한 것이고 그 가산금납부독촉이 부당하거나 그 절차에 하자가 있는 경우에는 그 징수처분에 대하여 취소소송에 의한 불복이 가능할 뿐이라 할 것이므로 과세관청인 피고가 이 사건 가산금을 확정하는 어떤 행위를 한 바가 없고, 다만 원고에게 양도소득세 등의 납세고지를 하면서 납기일까지 납부하지 아니하면 납기후 1개월까지는 가산금 563,520원을 징수하게 된다는 취지를 고지하였을 뿐, 납부기한 경과후에 그 납부를 독촉한 사실이 없다면 원고가 취소를 구하는 이 사건 가산금 부과처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것이므로 이 부분의 취소청구는 부적법하다.

참조조문

가. 구 소득세법 (1988.12.26. 법률 제401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 제6호, 동법시행령 (1988.12.31. 대통령령 제1256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4조 제3항 / 나. 국세징수법 제21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85.12.24. 선고 85누145 판결(공1986,341), 1988.2.23. 선고 87누1022 판결(공1988,615), 1990.2.27. 선고 89누4567 판결(공1990,818) / 나. 대법원 1986.10.28. 선고 86누147 판결(공1986,3139), 1988.9.20. 선고 85누635 판결(공1988,1339)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김자범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세중 【피고, 상고인】 강남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89.12.21. 선고 89구5753 판결 【주 문】 1. 원심판결 중 가산금부과처분에 대한 피고 패소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에 대한 원고의 소를 각하한다. 2. 피고의 나머지 상고를 기각한다. 3. 위 각하부분에 관한 소송비용은 원고의, 상고기각부분에 관한 상고비용은 피고의 각 부담으로 한다. 【이 유】 피고의 상고이유를 본다. 구 소득세법(1988.12.26. 법률 제401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 제6호 (라)목 및 같은법시행령(1988.12.31. 대통령령 제1256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4조 제3항에 의하면 취득한 때로로부터 양도할 때까지 8년이상 계속하여 자기가 경작한 토지로서 농지세의 과세대상이 되는 토지의 양도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득은 비과세 양도소득으로 되어 있는바, 위 제5조 제6호 (라)목에서 규정하는 "자기가 경작하는 토지"라함은 자기가 직접 논, 밭을 갈고, 가꾸고 수확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의 책임과 계산하에 다른 사람을 고용하여 경작하는 경우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 당원 1985.12.24. 선고 85누145 판결; 1988.2.23. 선고 87누1022 판결; 1990.2.27. 선고 89누4567 판결 각 참조). 위와 같은 취지에서 원고의 이 사건 토지의 양도로 인한 소득은 비과세소득이라고 판시한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소론과 같은 자경농지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으니 논지는 이유없다. 다만 직권으로 살피건대, 국세징수법 제21조가 규정하는 가산금은 국세가 납부기한까지 납부되지 않는 경우, 미납분에 관한 지연이자의 의미로 부과되는 부대세의 일종으로 과세권자의 가산금확정절차없이 국세를 납부기한까지 납부하지 아니하면 위 법규정에 의하여 가산금이 당연히 발생하고 그 액수도 확정된다고 할 것이고, 다만 그에 관한 징수절차를 개시하려면 독촉장에 의하여 그 납부를 독촉함으로써 가능한 것이고 그 가산금납부독촉이 부당하거나 그 절차에 하자가 있는 경우에는 그 징수처분에 대하여 취소소송에 의한 불복이 가능할 뿐이라 할 것이다 ( 당원 1989.10.28. 선고 86누147 판결; 1988.9.20. 선고 85누635 판결 각 참조). 기록에 의하면, 피고가 이 사건 가산금을 확정하는 어떤 행위를 한 바가 없고, 다만 1988.8.18. 원고에게 이 사건 양도소득세등의 납세고지를 하면서 납기일인 1988.8.31.까지 납부하지 아니하면 납기후 1988.9.30.까지는 가산금 563,520원을 징수하게 된다는 취지를 고지하였을 뿐, 납부기한 경과 후에 그 납부를 독촉한 사실이 없으므로 원고가 취소를 구하는 이 사건 가산금부과처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것이므로 원고의 위 가산금부분의 취소청구는 부적법하다고 할 것이다. 그런데 원심은 피고의 이 사건 가산금부과처분까지도 취소하고 있으니 이는 위법이어서 파기를 면치 못한다. 이 부분은 당원이 파기자판하기에 충분하므로 원심판결 중 가산금부과처분에 대한 피고 패소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에 대한 원고의 소를 각하하기로한다. 결국 피고의 상고는 위에서 직권으로 파기자판하는 부분외는 이유없으므로 기각하며, 상고기각된 부분에 관한 상고비용 및 파기자판부분의 소송비용은 각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회창(재판장) 배석 김상원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농지 양도소득세, 자경 입증 책임은 누구에게? 그리고 기준시가는 어떻게 정해지나요?

농지 양도로 발생한 소득에 대해 세금을 면제받으려면 8년 이상 직접 농사를 지었다는 사실을 납세자가 증명해야 하며, 세금 계산의 기준이 되는 기준시가는 정해진 산정방식에 따라 계산되므로 토지의 개별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판결입니다.

#농지#양도소득세#비과세#자경

세무판례

8년 이상 경작한 농지 양도세 비과세, 핵심은 '양도계약 당시'와 '자기 책임 경작'!

8년 이상 경작한 농지를 팔 때 양도소득세를 내지 않으려면, **땅을 팔기로 계약한 당시**에 농지여야 하고, **스스로 농사를 짓는 책임을 졌다면 직접 농사일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판결입니다.

#농지#양도소득세#비과세#8년 경작

세무판례

농지 양도소득세, 직접 농사 안 지어도 비과세 받을 수 있을까?

남을 고용해서 농사를 지어도 농지 양도소득세가 면제될 수 있다.

#농지#양도소득세#비과세#직접경작

세무판례

8년 이상 자경농지 양도소득세 감면과 과세처분에 대한 소송 이야기

8년 이상 경작한 농지의 양도소득세 감면 요건, 도시계획 편입 시점, 그리고 기존 과세처분 후 증액 재처분 시 기존 처분의 효력에 대한 판결입니다.

#자경농지#양도소득세#감면요건#도시계획

세무판례

농지 소재지에 살지 않아도 자경농지로 인정될 수 있을까?

농지 소재지에 살지 않고 다른 직업을 가진 사람이라도, 직접 농사짓지 않고 다른 사람을 고용해서 농사를 지어도, 본인의 책임과 비용으로 농사를 지었다면 '자경농지'로 인정될 수 있다.

#자경농지#다른 직업#비거주#고용경작

세무판례

8년 이상 농사지은 땅 팔았는데 세금 감면 못 받았다고요?

8년 이상 농사를 지었다고 주장하며 양도소득세 감면을 신청했지만, 실제로 농사일에 상시 종사하거나 절반 이상 본인 노동력을 투입하지 않아 감면 혜택을 받지 못한 사례입니다. 법원은 관련 법령이 위임입법의 한계를 벗어나지 않았고, 세무서의 과세 처분이 정당하다고 판결했습니다.

#양도소득세 감면#직접 경작#8년#위임입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