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임결정효력정지등가처분

사건번호:

90다8893

선고일자:

199108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국가공무원법 제66조 및 사립학교법 제55조, 제58조 제1항 제4호가 위헌인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공무원의 집단행위를 금지한 국가공무원법 제66조 제1항은 헌법상의 평등권, 집회결사의 자유,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 중립성 등의 보장 조항에 위반되지 아니하며 국가공무원법 제66조를 준용하는 근거가 되는 사립학교법 제55조 및 면직사유를 규정한 제58조 제1항 제4호는 근로자의 근로기본권을 규정한 헌법 제33조 제1항, 법률유보에 관한 일반규정인 헌법 제37조 제2항, 평등에 관한 규정인 헌법 제11조 제1항에 위반되지 아니한다.

참조조문

국가공무원법 제66조 제1항, 사립학교법 제55조, 제58조 제1항 제4호, 헌법 제11조 제1항, 제21조 제1항, 제31조 제4항, 제33조 제1항, 제37조 제2항

참조판례

대법원 1990.7.24. 선고 90도618 판결(공1990,1829), 1990.9.11. 선고 90도1356 판결(공1990,2114), 1991.8.27. 선고 90다8909 판결(동지) 헌법재판소 1991.7.22. 선고 89헌가106 결정(관보 제11893호,26면)

판례내용

【신청인, 상고인】 【피신청인, 피상고인】 학교법인 거창대성고등학회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종철 【원심판결】 마산지방법원 1990.8.17. 선고 90나22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신청인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공무원의 집단행위를 금지한 국가공무원법 제66조 제1항이 헌법상의 평등권, 집회결사의 자유,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 중립성 등의 보장조항에 위반되지 아니한다고 함이 당원의 견해 이다( 당원 1990.9.11. 선고 90도1356 판결; 1990.7.24. 선고 90도618 판결 등 참조). 그리고 국가공무원법 제66조의 준용근거가 되는 사립학교법 제55조 및 면직사유를 규정한 제58조 제1항 제4호는 근로자의 근로기본권을 규정한 헌법 제33조 제1항, 법률유보에 관한 일반규정인 헌법 제37조 제2항, 평등에 관한 헌법 제11조 제1항에 위반되지 아니한다 ( 헌법재판소 1991.7.22. 자 89헌가106 결정 참조). 주장은 이유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준(재판장) 최재호 윤관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공무원의 집단행위 금지, 합헌!

공무원의 파업 등 집단행위를 금지하는 국가공무원법 조항은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

#공무원#집단행위 금지#위헌 여부#합헌

형사판례

교사들의 집단행동, 법 위반일까?

교사가 교육 개혁을 위해 전교조 활동을 하더라도, 국가공무원법상 집단행위 금지 조항을 위반한 것이므로 처벌받는다. 이러한 금지 조항은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

#교사#전교조#국가공무원법 위반#집단행위 금지

민사판례

공무원의 집단행위 금지, 헌법에 어긋나지 않아

공무원의 집단행위를 금지하는 국가공무원법 조항은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대법원 판결.

#공무원#집단행위 금지#합헌#국가공무원법

형사판례

공무원의 집단행위 금지, 합헌!

공무원의 집단행위를 금지하는 국가공무원법 조항은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공무원#집단행위 금지#합헌#국가공무원법 제66조

형사판례

교사들의 모임, 노동운동일까? - 공무원의 집단행동에 대한 기준

교사들이 결성한 협의회 활동(보충수업 반대, 교련 탈퇴 촉구 등)이 국가공무원법상 금지된 노동운동이나 공무 외 집단행위에 해당하지 않아 무죄라는 판결.

#교사#교원단체#국가공무원법#노동운동

형사판례

공무원의 집단행위와 정당행위

이 판례는 지방공무원의 집단행위가 정당한 것으로 인정될 수 있는지, 그리고 지방공무원법상 집단행위 금지 조항이 헌법에 위배되는지 여부를 다룹니다. 간단히 말해, 공무원의 집단행위는 원칙적으로 금지되며, 이 사건에서 피고인들의 행위는 정당행위로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공무원의 집단행위를 금지하는 법률 조항은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지방공무원#집단행위#정당행위#위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