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철거등

사건번호:

90다카23448

선고일자:

199011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도시재개발법상 재개발조합의 법률관계가 공법상 권리의무 관계인지 여부(적극) 나. 재개발조합의 정관에 조합원의 건축물 등 지상물에 관한 철거의무를 규정한 경우 민사소송법에 의한 건물철거청구의 가부(소극)

판결요지

가. 도시재개발법상의 재개발조합의 법률관계는 공법상의 권리의무관계이므로 조합이 설립된 뒤에 특히 사법상의 계약에 의하여 취득하는 권리의무를 제외하고 위 조합이 재개발사업을 시행하는데 필요하여 취득하는 권리와 부담하는 의무는 도시재개발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발생 부담한다. 나. 재개발조합의 정관에 조합원은 사업시행구역 내에 있는 자기소유의 건축물 등 지장물을 30일 이내에 철거하여야 한다고 규정하였어도 이로써 원고조합과 조합원간에 철거에 관한 사법상의 권리의무가 발생하는 합의가 있었다고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공법상의 어떤 권리의무를 설정하는 효력이 있다고 할 수 없으므로, 조합이 도시재개발법 제36조에 정한 행정대집행의 방법에 의하여 건물을 철거하지 않고 민사소송의 방법으로 위 건물의 철거를 구할 수는 없다.

참조조문

도시재개발법 제36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9.5.23. 선고 88다카17822 판결(공1989,994)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홍제 9구역 1지구 주택개량 재개발조합 소송대리인 변호사 강용구 외 1인 【피고, 피상고인】 유근복 외 4인 피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신호양 【원심판결】 서울민사지방법원 1990.6.12. 선고 90나665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도시재개발법 제9조, 제17조, 제18조의 규정에 의하여 도시재개발사업을 시행하기 위하여 재개발사업구역 내의 토지 및 건물의 소유자들로 구성된 재개발조합의 법률관계는 공법상의 권리의무관계로 보아야할 것이므로 조합이 설립된 뒤에 특히 사법상의 계약에 의하여 취득하는 권리의무를 제외하고 위 조합이 재개발사업을 시행하는데 필요하여 취득하는 권리와 부담하는 의무는 도시재개발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발생 부담한다고 할 것이다 ( 당원 1989.5.23. 선고 88다카17822 판결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고조합의 정관에 조합원은 사업시행구역 내에 있는 자기 소유의 토지를 사업시행에 제공하고 사업시행구역 내에 있는자기소유의 건축물 등 지장물을 30일 이내에 철거하여야 한다고 규정하였어도 이로써 원고조합과 조합원간에 철거에 관한 사법상의 권리의무가 발생하는 합의가 있었다고 볼수 없을 뿐만 아니라(특히 이 사건에 있어서 피고들은 재개발사업에 반대하여 조합원으로 강제가입된 것으로 보인다) 공법상의 어떤 권리의무를 설정하는 효력이 있다고 할 수 없고, 이는 도시재개발법 제36조에규정한 사업시행자는 재개발구역안의 건축물 또는 공작물의 소유자에게 그 철거 또는 이전을 요구할 수 있다는 뜻을 주의적으로 표현한 것에 불과하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원고조합이 위 법 제36조에 정한 행정대집행의 방법에 의하여 원판시 건물을 철거하지 않고 민사소송의 방법으로 위 건물의 철거를 구할 수는 없다 고 판시하고 있는바,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으므로 논지는 이유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관(재판장) 김덕주 배만운 안운만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재건축 조합 탈퇴와 건물 철거, 정당한가?

재건축조합 조합장이 탈퇴 의사를 밝힌 조합원의 건물을 법원의 가처분 결정에 따라 철거한 행위는 업무로 인한 정당행위로 무죄 판결.

#재건축#조합장#건물철거#정당행위

민사판례

재개발 구역 내 토지 소유권과 건물 철거

재개발구역 안에 있는 땅 주인이라도 재개발조합이 새로 지은 건물을 부수고 땅을 돌려달라고 할 수 없다.

#재개발#토지 인도 청구#건물 철거#조합

민사판례

재건축조합 탈퇴? 그거 마음대로 안됩니다!

재건축조합원은 마음대로 조합을 탈퇴할 수 없고, 조합 규약에 따라 재건축을 위해 자신의 부동산 소유권을 조합에 이전해야 할 의무가 있다.

#재건축조합#탈퇴불가#소유권이전의무#조합규약

민사판례

재개발조합 설립과 관련된 법적 분쟁 해결 가이드

재개발조합 설립 인가 후에는 조합설립결의의 하자를 이유로 민사소송으로 그 무효확인을 구할 수 없고, 행정소송으로 조합설립인가처분의 취소를 구해야 한다. 또한, 무허가건축물 소유자는 원칙적으로 재개발조합의 조합원이 될 수 없다. 단, 조합 정관으로 자격을 부여할 수는 있다. 조합장/임원 선임·해임은 사법상의 문제이므로 민사소송으로 다툴 수 있다.

#재개발조합#설립인가#조합설립결의#무효확인소송

민사판례

재개발조합 설립 인가, 어떻게 다퉈야 할까?

재개발조합 설립 인가를 받은 후에는 조합 설립 결의 자체의 하자를 이유로 민사소송으로 무효 확인을 구할 수 없고, 행정소송으로 조합 설립 인가처분의 취소를 구해야 합니다. 만약 조합 설립 결의의 무효 확인을 구하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면, 법원은 이를 행정소송으로 보고 행정법원으로 이송해야 합니다.

#재개발조합#설립인가#조합설립결의#무효확인소송

민사판례

재개발 무허가 건물, 누구 소유일까? 소유권 분쟁 시 해결 방법!

재개발 지역 내 무허가건물의 실제 소유권을 둘러싼 개인 간 분쟁이 발생할 경우, 조합이 아닌 분쟁 당사자를 상대로 민사소송(소유권확인소송, 조합원 지위 확인소송 등)을 제기하는 것이 적법하다.

#재개발#무허가건물#소유권분쟁#민사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