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90다카27969
선고일자:
199010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제3자 소유인 별개의 독립된 건물을 채무자 소유 건물의 부합물로 경락받은 경우 경락인이 그 소유권을 취득하는지 여부(소극)
채무자 소유의 대지와 건물에 대한 경매절차에서 경락인이 위 대지와 건물을 경락받으면서 위 대지 상에 있으나 제3자 소유인 별개의 독립된 건물을 채무자 소유 건물의 부합물로 경락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그 소유권을 취득할 수 없다.
민법 제100조 , 제256조 , 제358조
대법원 1974.2.12. 선고 73다298 판결(공1974,7756)
【원고, 상고인】 이병기 【피고, 피상고인】 유현모 【원심판결】 인천지방법원 1990.7.13. 선고 89나476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은, 소외 심충기 소유이던 인천 북구 십정동 400의10 토지상에는 위 소외인 소유의 세멘벽돌조 세멘트기와지붕 단층주택 59.5평방미터 이외에 별개 독립된 건물로서, 세멘벽돌조 슬래브 및 기와지붕 2계건 1충 94.4평방미터, 4층 94.4평방미터의 이 사건 건물이 건립되어 있는바, 이 사건 건물은 피고의 부인 소외 망 유승태가 신축하여 그 소유를 위한 법정지상권을 취득한 이래 주거용으로 점유하다가 위 소외 망인이 사망함으로써 피고가 상속한 건물인 사실을 인정하고, 소외 합자회사 남한목재가 위 심충기 소유의 대지와 건물에 대하여 임의경매신청을 하여 진행된 경매절차에서 원고가 위 대지와 건물을 경락받으면서 이 사건 건물을 위 건물의 부합물로 경락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이 사건 건물은 위 건물의 부합물도 아니고 종물도 아니므로 원고는 그 소유권을 취득할 수 없다고 판시하였는바, 기록에 의하면 원심의 위와 같은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사실 오인이나 법리오해의 위법은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우동(재판장) 이재성 윤영철 김용준
민사판례
건물에 설치된 렌탈 물건이 건물에 부합된 경우 건물 소유자가 그 소유권을 갖지만, 단순히 건물의 상용에 공하여진 물건이라면 건물 낙찰자가 선의취득 요건을 갖추어야 소유권을 취득한다.
민사판례
경매로 낙찰받은 건물에 붙어있는 다른 건물들이 경매 목적물에 포함되지 않았더라도, 그 건물들이 주된 건물에 부합된 것으로 판단되면 낙찰자의 소유가 된다. 부합 여부는 경매 목록에 포함되었는지가 아니라, 그 건물이 주된 건물 없이 독립적인 가치를 가지는지에 따라 판단된다.
민사판례
원래 경매 대상이었던 건물이 다른 건물과 합쳐져서 더 이상 독립적인 건물이 아니게 되면, 원래 건물에 대한 경매는 진행할 수 없고, 합쳐진 새 건물에서 원래 건물이 차지하는 지분에 대해서만 경매를 진행해야 한다.
상담사례
경매 낙찰 건물 내 물건의 소유권은 부합물은 무조건 낙찰자에게, 상용물은 원소유주가 낙찰 대상 건물주면 낙찰자에게, 제3자면 낙찰자가 선의취득 요건(경매물건 포함, 낙찰자의 선의·무과실, 점유)을 충족해야 취득합니다.
민사판례
건물을 경매로 사면 건물과 함께 토지 임차권도 넘어오지만, 임대인 동의 없이는 임차권을 주장할 수 없다. 단, 임차인 변경이 임대인에 대한 배신행위가 아니라는 특별한 사정이 있다면 임대인 동의 없이도 임차권을 주장할 수 있다.
상담사례
토지 경매로 땅을 낙찰받아도, 저당권 설정 대상이 아니었던 지상 건물의 소유권은 원래 주인에게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