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임

사건번호:

90도1702

선고일자:

1990101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부동산 매도인이 중도금까지 받은 후 제3자 앞으로 근저당권설정등기를 경료해 주었으나 그 등기전에 매수인이 처분금지가처분을 해 놓은 경우 배임죄의 성립 여부(적극)

판결요지

배임죄에 있어서 ‘재산상 손해를 가한 때'라 함은 현실적으로 손해를 가한 경우뿐만 아니라 손해발생의 위험을 초래한 경우도 포함되는 것이므로 염전의 2분지 1 지분을 매도하고 계약금과 중도금을 받은 자가 잔금과 상환으로 이전등기절차를 하여줄 임무에 위배하여 제3자 앞으로 근저당권설정등기를 하였다면 비록 피해자가 위 근저당권설정등기를 하기 전에 처분금지가처분을 해 두었다 하더라도 배임죄의 성립에 아무런 영향을 미칠 수 없다.

참조조문

형법 제355조 제2항

참조판례

대법원 1969.9.30. 선고 69도1001 판결, 1973.1.16. 선고 72도2494 판결, 1989.11.28. 선고 89도1309 판결(공1990,184)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서울형사지방법원 1990.6.12. 선고 90노405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형사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배임죄에 있어서 ‘재산상 손해를 가한 때'라 함은 현실적인 손해를 가한 경우뿐만 아니라 손해발생의 위험을 초래한 경우도 포함되는 것이므로( 당원 1989.11.28.선고 89도1309 판결 등 참조) 원심이 확정한 바와 같이 피고인이 피해자에게 이 사건 염전의 2분지 1지분을 매도하고 계약금과 중도금을 받고서도 잔금과 상환으로 이전등기절차를 하여 줄 임무에 위배하여 은행 앞으로 이 사건 염전에 대하여 근저당권설정등기를 하였다면 비록 피해자가 위 근저당권설정등기를 하기 전에 처분금지가처분을 해두었다 하더라도 그것만으로 피해지가 매수한 위 지분부분에 대하여 실행발생의 위험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볼 수는 없다 할 것이므로 이러한 가처분은 이 사건 배임죄의 성립에 아무런 영향을 미칠 수 없다 하겠다( 당원 1969.9.30. 선고 69도1001 판결 ; 1973.1.16. 선고 72도2494 판결 등 참조). 그런데도 원심이 이와 다른 견해에서 피해자가 이 사건 염전에 대하여 처분금지가처분을 하여 둔 뒤에 피고인이 이를 은행에 근저당설정등기를 한 것으로는 피해자에게 재산상의 손해를 입혔다고는 볼 수 없다는 이유로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한 것은 배임죄에 있어서의 재산상 손해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할 것이다. 이점을 지적하는 주장은 이유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여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우만(재판장) 김덕주 윤관 배만운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빌린 돈 담보로 잡힌 부동산, 마음대로 팔아도 배임죄? (대법원 2020. 6. 18. 선고 2019도14340 전원합의체 판결 관련)

빚을 갚기 위해 담보를 제공하기로 약속했더라도, 다른 사람에게 먼저 담보물을 처분하더라도 배임죄로 처벌할 수 없다.

#담보제공약속#제3자처분#배임죄#불성립

형사판례

땅 샀는데 잔금 안 내고 다른 데 돈 빌려준다고 담보로 잡히면 배임죄일까?

부동산 매매계약 후 매수인이 잔금을 치르기 전에 소유권을 먼저 이전받고 해당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을 받았더라도, 매도인에게 잔금을 지급하기로 한 약속을 어기지 않았다면 배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부동산 매매#매수인 담보 설정#배임죄#잔금 지급

형사판례

돈 빌려주고 담보 설정했는데, 빌린 사람이 담보를 팔아버렸다면? 배임죄일까?

돈을 빌려주고 채무자가 담보로 제공한 동산(예: 자동차)에 저당권을 설정했는데, 채무자가 그 담보를 다른 사람에게 팔아버린 경우, 채무자에게 배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담보#배임죄#저당권#채권

형사판례

돈 빌려주고 담보 받았는데, 빌린 사람이 담보를 멋대로 처분했다면? 배임죄일까?

돈을 빌려준 채권자에게 빚진 사람(채무자)이 빚을 갚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자신의 동산(예: 선박)을 담보로 제공했는데, 채무자가 그 담보물을 다른 사람에게 팔아버린 경우 배임죄가 되는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배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양도담보#담보물 처분#배임죄#불성립

형사판례

부동산 증여 후 마음대로 처분하면 배임죄?

부동산을 증여하기로 서면 약속한 후 제3자에게 처분하면 배임죄가 성립한다.

#부동산 증여#배임죄#서면 약정#제3자 처분

형사판례

주식 양도담보 설정자가 담보물을 처분해도 배임죄가 될까?

돈을 빌리면서 주식을 담보로 제공한 사람이 그 주식을 처분하더라도 배임죄로 처벌할 수 없다.

#양도담보#배임죄#주식 처분#타인의 사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