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법위반·도시계획법위반·국토이용관리법위반

사건번호:

90도1798

선고일자:

1990103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매수인이 토지를 미등기전매하는 경우 매도인의 당초의 거래에 대한 국토이용관리법 제21조의7 제1항 소정 신고의 기대가능성 유무(적극)

판결요지

국토이용관리법 제21조의7 제1항에 의하면 신고지역으로 지정된 구역안에 있는 토지 등의 거래계약을 체결하고자 하는 당사자는 공동으로 그 조항 소정의 신고를 하게 되어 있지 이전등기시에 하게 되어 있지는 않으므로 매수인이 토지를 미등기전매하는 경우라고 하여 매도인의 당초의 거래에 대한 신고의 기대가능성이 없다고 할 수는 없다.

참조조문

국토이용관리법 제21조의7 제1항, 형법 제12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A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B 【원심판결】 서울형사지방법원 1990.7.3. 선고 90노223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제1점에 대하여, 기록에 비추어 보면 산림법위반, 도시계획법위반의 점에 관한 제1심이나 원심의 사실인정은 수긍이 되고 거기에 채증법칙에 위배되는바 있다고 할 수 없고 설사 산림의 훼손이나 토지의 형질변경의 정도에 다소 차이가 있다고 하여도 이 사건 범죄의 성립에는 영향이 없다고 할 것이다. 또 사실관계가 그와 같다면 원심의 법률적용도 정당한 것이다. 따라서 원심판결의 이 부분에 채증법칙위반, 의율의 착오등이 있다고 주장하는 논지는 이유 없다. 제2점에 대하여, 국토이용관리법위반의 점에 관한 원심의 사실인정이나 법률적용도 정당하다. 국토이용관리법 제21조의7 제1항에 의하면 신고지역으로 지정된 구역 안에 있는 토지 등의 거래계약을 체결하고자 하는 당사자는 공동으로 그 조항 소정의 신고를 하게 되어 있지 이전등기시 하게 되어 있지는 않으며 그러므로 매수인이 토지를 미등기 전매하는 경우라고 하여 매도인의 당초의 거래에 대한신고의 기대가능성이 없다고 할 수는 없다. 논지도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덕주(재판장) 윤관 배만운 안우만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토지 거래 신고, 꼭 계약 전에 해야 할까요?

토지 거래 신고를 하지 않고 계약을 체결했더라도, 처음부터 신고를 안 하려고 한 것이 아니라면 처벌 대상이 아니다.

#토지거래#신고의무#처벌#고의성

형사판례

부동산 미등기 전매, 무죄일 수도 있다?

부동산을 등기하기 전에 되파는 미등기 전매죄가 성립하려면 최초 매매계약과 되파는 전매계약 모두 유효해야 합니다. 단순히 계약 날짜만 가지고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돈을 모두 지불한 날짜를 기준으로 60일 이내에 등기를 해야 합니다. 또한,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토지라면 허가를 받아야 계약이 유효하게 되므로, 이 부분도 확인해야 합니다.

#미등기전매죄#성립요건#잔금지급일#토지거래허가구역

민사판례

토지거래, 선매, 그리고 계약 해제에 관한 이야기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선매자가 지정되었다고 해서 기존 매매계약이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니며, 계약 해제를 위해서는 적법한 최고 절차를 거쳐야 하고, 이행제공은 단순한 준비만으로는 부족하다는 판결.

#토지거래허가구역#선매#계약해제#이행제공

일반행정판례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토지 미등기, 과징금 부과될까?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토지를 샀지만, 정부 허가 전에 등기를 신청하지 않았다고 해서 과징금을 낼 필요는 없다.

#토지거래허가구역#허가 전 등기#과징금#부과 불가

형사판례

땅 몰래 팔고 세금 안 내면 어떻게 될까?

등기 없이 토지를 되팔아 시세차익을 얻고, 마치 자신이 거래에 관여하지 않은 것처럼 꾸며 양도소득세를 내지 않은 행위는 조세 포탈에 해당한다.

#토지#미등기전매#양도소득세#조세포탈

생활법률

부동산 거래 신고, 어렵지 않아요! 핵심만 쏙쏙 정리!

부동산 매매, 분양, 입주권 등의 거래는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에 거래 당사자 정보, 계약 정보, 부동산 정보 등을 관할 시군구청에 신고해야 하며, 6억 이상 주택 또는 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 주택은 자금조달계획도 신고해야 하고, 외국인은 60일 이내 별도 신고해야 한다.

#부동산 거래 신고#실거래가#투기 방지#매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