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0.04.25

형사판례

부동산 미등기 전매, 무죄일 수도 있다?

부동산 투기는 사회적으로 큰 문제입니다. 특히 '미등기 전매'는 시장 질서를 어지럽히는 주요 원인 중 하나죠. 등기 없이 부동산을 사고파는 행위를 말하는데, 세금 회피나 투기 목적으로 악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부동산등기특별조치법에서는 미등기 전매를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대법원 판결을 보면, 단순히 등기 없이 부동산을 되팔았다고 해서 무조건 처벌받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핵심은 **"최초 매매계약과 전매계약이 모두 유효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

사건의 개요

피고인은 A에게서 땅을 매매하기로 계약한 후, 소유권 이전 등기를 하기 전에 B에게 다시 팔았습니다. 검찰은 이를 미등기 전매로 보고 부동산등기특별조치법 위반 혐의로 기소했습니다. 1심과 2심 법원은 유죄를 선고했지만, 대법원은 파기환송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부동산등기특별조치법 제2조 제2항에서 말하는 '미등기 전매'는 **"최초 매매계약의 잔금을 치른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등기를 하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되파는 행위"**라고 해석했습니다. 단순히 계약만 하고 잔금을 치르지 않은 상태에서 되판 것은 미등기 전매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이죠.

또한, 대법원은 중요한 판단 기준을 하나 더 제시했습니다. 바로 **"최초 매매계약과 전매계약 모두 유효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만약 두 계약 중 하나라도 무효라면 미등기 전매로 처벌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대법원 1997. 4. 22. 선고 96도3338 판결)

이 사건에서는 최초 매매계약 당시 토지거래허가를 받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내의 땅은 허가를 받아야만 매매계약이 유효하게 성립합니다. 따라서 허가를 받기 전의 매매계약은 '유동적 무효' 상태에 있는 것이죠. 대법원은 원심이 이 부분을 제대로 심리하지 않은 것을 지적하며 사건을 다시 판단하라고 돌려보냈습니다.

관련 법 조항

  • 부동산등기특별조치법 제2조 제2항: 제1항의 경우에 부동산의 소유권을 이전받을 것을 내용으로 하는 계약을 체결한 자가 제1항에 정하여진 날 이후 그 부동산에 대하여 다시 제3자와 소유권이전을 내용으로 하는 계약이나 제3자에게 계약당사자의 지위를 이전하는 계약을 체결하고자 할 때에는 그 제3자와 계약을 체결하기 전에 먼저 체결된 계약에 따라 소유권이전등기를 신청하여야 한다.

  • 부동산등기특별조치법 제8조 제1호: 조세부과를 면하려 하거나 다른 시점간의 가격변동에 따른 이득을 얻으려 하거나 소유권 등 권리변동을 규제하는 법령의 제한을 회피할 목적으로 제2조제2항의 규정에 위반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 1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이처럼 부동산 미등기 전매는 복잡한 법리적 판단이 필요한 문제입니다. 단순히 등기 여부만으로 판단할 수 없고, 관련 법 조항과 판례를 꼼꼼히 살펴봐야 합니다. 부동산 거래 시에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신중하게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공매 부동산 미등기 전매, 처벌될까? - 부동산등기 특별조치법 위반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공매로 부동산을 낙찰받은 후 잔금 납부 전에 매수자를 변경하는 것은 단순한 계약 당사자 지위 이전으로, 부동산등기 특별조치법 위반이 아니다. 또한, 타인 명의로 부동산을 매수한 경우, 실제 매수인은 부동산등기 특별조치법 위반죄의 주체가 될 수 없다.

#공매#전매#부동산등기특별조치법#계약당사자지위이전

형사판례

부동산 미등기 전매, 돈 받았다고 죄가 더 무거워질까?

등기 없이 부동산을 되판 경우, 되팔아서 번 돈은 몰수할 수 없다.

#부동산#미등기전매#몰수#불가

형사판례

부동산 미등기 전매와 조세 포탈, 별개의 죄?

등기 없이 부동산을 판 행위와 그 과정에서 세금을 내지 않은 행위는 별개의 범죄로 처벌받는다.

#미등기전매#조세포탈#실체적 경합#별개의 죄

형사판례

토지 미등기 전매와 토지거래 신고의무

토지를 등기하기 전에 다시 파는 경우에도 최초 매도인은 여전히 토지 거래 신고 의무를 지닌다.

#토지#미등기전매#신고의무#매도인

형사판례

부동산 이중매매, 언제 처벌받을까?

부동산 이중매매로 처벌받으려면, 첫 번째 매수인이 매매 대금 등 자신의 의무를 모두 이행하고, 그 후에 같은 부동산을 다른 사람에게 또 판 경우여야 합니다. 단순히 계약만 두 번 했다고 처벌되는 것은 아닙니다.

#부동산 이중매매#처벌 요건#반대급부 이행 완료#등기의무 발생 시점

민사판례

등기 없이 전매해도 괜찮을까? 그리고 저당권 해결하면 보상받을 수 있을까?

등기 없이 부동산을 전매해도 '타인의 권리 매매'가 아니며, 매수인이 부동산의 저당권을 갚았다면 매도인에게 돈을 돌려달라고 요구할 수 있습니다.

#등기전 전매#저당권 소멸#구상권#타인의 권리 매매(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