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해치사

사건번호:

90도2869

선고일자:

199103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판결의 주문에서 부정기형을 선고하면서 그 이유에서 적용법조란에 소년법 제60조 제1항을 표시하지 아니한 조치의 위법 여부(소극)

판결요지

구체적인 범죄사실에 적용하여야 할 실체법규 이외의 법규에 관하여는 판결문상 그 규정을 적용한 취지가 인정되면 되고 특히 그 법규를 법률적용란에서 표시하지 아니하였다 하여 위법이라고 할 수 없다 할 것인바, 판결의 주문에서 부정기형을 선고하였다면 그 이유에서 적용법조를 표시하지 않았더라도 소년법 제60조 제1항에 따라 부정기형을 선고한 것이 명백하므로 위법이라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형사소송법 제323조 제1항, 소년법 제60조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1971.4.30. 선고 71도510 판결(집19①형161)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윤승영 【원심판결】 부산고등법원 1990.11.22. 선고 90노92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 후의 미결구금일수 중 55일을 본형에 산입한다. 【이 유】 피고인과 그 국선변호인의 상고이유를 함께 본다. 이 사건과는 별도로 추가기소된 범죄사실에 피고인이 관여한 바 없다는 사유는 이 사건의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하며, 피고인에 대하여 징역 10년보다 가벼운 형이 선고된 이 사건에 있어서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는 취지의 사유 또한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한다. 구체적인 범죄사실에 적용하여아 할 실체법규 이외의 법규에 관하여는 판결문상 그 규정을 적용한 취지가 인정되면 되고 특히 그 법규를 법률적용란에서 표시하지 아니하였다 하여 위법이라고는 할 수 없다 할 것인바, 원심이 지지한 제1심판결이 주문에서 피고인에 대하여 부정기형을 선고하고 있는 이상 그 이유에 있어서 적용법조를 표시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소년법 제60조 제1항에 따라 부정기형을 선고한 것이 명백하므로 이를 위법이라고까지는 할 수 없다. 그러므로 피고인의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후의 미결구금일수 중의 일부를 그 본형에 산입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만운(재판장) 이회창 배만운 김석수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소년범에게 부정기형을 선고하는 것이 차별인가요?

소년범에게 부정기형(최소 형량과 최대 형량을 정하는 형벌)을 선고하는 소년법 조항은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

#소년범#부정기형#합헌#평등권

형사판례

성인이 된 소년범에게 부정기형을 선고할 수 있을까?

항소심 선고 당시 이미 성인이 된 피고인에게 소년법상 부정기형을 선고한 것은 잘못이며, 정기형을 선고해야 한다.

#소년범#항소심#성인#부정기형

형사판례

소년범, 재판 중에 성인이 되면 어떤 형벌을 받을까?

범죄 당시에는 미성년자였지만 재판 진행 중 성인이 된 경우, 성인과 같은 형벌을 받게 된다.

#소년범죄#재판 중 성인#일반 형벌#정기형

형사판례

소년범에게 선고된 부정기형, 성년이 되면 바뀌나요?

항소심에서 소년범에게 부정기형을 선고한 후 상고심 진행 중 성인이 되더라도 원심(항소심)의 부정기형 선고는 유효하다.

#소년범#부정기형#상고심#성인

형사판례

소년범에게 무기징역? 사실은...

미성년자 범죄자에게 무기징역을 선고할 수 있는 죄를 저지른 경우, 법원은 무기징역을 선택한 후 감경하여 일정 기간의 징역형을 선고할 수 있다.

#소년범#무기징역#감경#유기징역

형사판례

미성년자에게 무기징역형 선택 후 감경 시 부정기형 선고 가능 여부

미성년자 범죄자에게 무기징역을 선고할 수 있는 범죄에서, 판사가 무기징역을 선택한 후 감경하여 유기징역형을 선고할 경우, 소년법에 따라 부정기형(최소 형량 ~ 최대 형량)을 선고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 성인과 마찬가지로 정기형(특정 형량)을 선고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미성년자#무기징역#감경#부정기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