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등기법위반

사건번호:

90도2954

선고일자:

199102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권리관계에 대하여 전혀 알지 못하는 부동산의 등기권리자(의뢰인)의 부탁에따라 법무사가 그 권리관계나 등기의무자에 관하여 전혀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받은 보증서를 가지고 소유권전등기를 한 경우 법무사와 보증인이 부동산등기법 제186조의2 위반죄의 공범이 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부동산등기법 제49조 소정의 보증의 의미는 현재 등기를 신청하는 사람과 등기부상의 명의자(등기의무자)가 사실상 같은 사람이라는 것에 관하여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를 다하여 확인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므로, 권리관계에 대하여 전혀 알지 못하는 부동산의 등기권리자(의뢰인)로부터 소유자(등기의무자)에게서 부동산을 매수하였으나 등기필증을 분실하였으니 보증을 세워서 소유권이전등기신청을 해달라는 부탁을 받은 법무사가 위 부동산의 권리관계나 등기의무자에 관하여 전혀 모르는 사람에게 보증을 서 달라고 요구하여 보증서를 작성하게 하여 이를 교부 받아 이전등기를 하였다면, 이는 위 법무사와 보증인이 위 부동산에 관한 등기의무자를 알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공모하여 같은 법조에 의한 보증을 한 경우에 해당하여 같은 법 제186조의2에 의한 처벌을 면할 수 없다.

참조조문

부동산등기법 제49조, 제186조의2, 형법 제30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7.5.26. 선고 86도2293 판결(공1987,1105), 1989.6.13. 선고 88도1835 판결(공1989,1100)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이명희 【원심판결】 서울형사지방법원 1990.11.28. 선고 90노606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피고인의 상고이유 제1점과 국선변호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기록을 살펴보면 원심의 사실인정은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어긴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사실이 원심이 인정한 바와 같다면 피고인을 부동산등기법 제186조의2, 제49조 위반으로 의율처단한 원심의 조처에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부동산등기법 제49조 소정의 보증의 의미는 현재 등기를 신청하는 사람과 등기부상의 명의자(등기의무자)가 사실상 같은 사람이라는 것에 관하여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를 다하여 확인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므로 ( 당원 1987.5.26. 선고 86도2293 판결 참조), 피고인이 원심이 인정한 바와 같이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권리관계에 대하여 전혀 알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의뢰인(등기권리자) 김주화로부터 소유자(등기의무자) 신봉문에게서 이 사건 부동산을 매수하였으나 등기필증을 분실하였으니 보증을 세워서 소유권이전등기신청을 해달라는 부탁을 받고, 위 부동산의 권리관계나 등기의무자에 관하여 전혀 모르는 공소외 강정희에게 보증을 서달라고 요구하여 보증서를 작성하게 하여 피고인이 이를 교부 받아 이전등기를 하였다면, 이는 피고인과 위 강정희가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등기의무자가 누구인가에 관하여 잘 알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공모하여 부동산등기법 제49조의 규정에 의한 보증을 한 경우에 해당하여 같은 법 제186조의2에 의한 처벌을 면할 수 없다 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논지는이유 없다. 피고인의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피고인에게 벌금형이 선고된 이 사건에서 양형부당을 이유로 하여서는 적법한 상고이유로 삼을 수 없는 것이므로 논지도 이유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회창(재판장) 이재성 배만운 김석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법무사와 보증인의 책임은 어디까지일까? 등기 신청 과정에서의 주의의무에 대해 알아보자

법무사와 보증인은 등기 신청 시 본인 확인 의무를 지지만, 상황에 따라 그 의무의 정도가 달라지며, 특히 등기권리자의 확인 보장이 있는 경우 보증인의 의무는 경감 또는 면제될 수 있다.

#법무사#보증인#등기신청#본인확인의무

형사판례

가짜 보증서로 등기하면 실제 소유자와 일치해도 불법!

실제 소유권과 일치하더라도 거짓 보증서를 이용한 등기는 불법이며, "법을 몰랐다"는 변명은 통하지 않는다.

#거짓 보증서#등기#부동산 특별조치법 위반#유죄

민사판례

옛날 토지 소유권 확인서, 보증인과 공무원의 책임은 어디까지?

옛 부동산 특별조치법에 따라 토지 등기를 할 때 필요한 보증서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작성한 보증인과 담당 공무원의 책임에 대한 판결입니다. 보증인은 신청인이 주장하는 내용을 제대로 확인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공무원 역시 단순히 보증서만 믿고 등기를 처리해서는 안 됩니다. 만약 이를 어겨 손해가 발생하면 책임을 져야 합니다.

#토지등기#보증서#보증인#공무원

민사판례

옛날 방식으로 등기했는데, 알고 보니 거짓말이었네? - 등기 말소 소송 이야기

과거 특별조치법으로 등기를 했더라도, 등기할 때 필요한 보증서 내용이 거짓이면 등기의 효력이 없어진다는 판결입니다. 특히, 매매로 등기했지만 실제로는 증여받았다고 주장하면 보증서 내용이 거짓임을 스스로 인정한 것으로 봐서 등기는 무효가 됩니다.

#특별조치법#등기#효력#명의신탁

민사판례

등기필증 없을 때 부동산 등기하려면? 본인 확인 필수!

부동산 등기필증을 잃어버렸을 때 등기 신청서나 위임장에 대한 공증은 반드시 본인이 직접 받아야 하며, 대리인이 대신 받을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등기관은 이를 확인할 의무가 있으며, 확인되지 않으면 등기 신청을 거부해야 합니다.

#등기필증#멸실#공증#본인

민사판례

등기필증과 등기관의 주의의무, 그리고 국가 배상 책임

등기관이 등기필증 없이 접수된 근저당권 설정 등기 신청을 부당하게 처리하여 후순위 근저당권자가 손해를 입은 경우, 국가가 배상 책임을 진다.

#등기관 과실#근저당권 순위변경#국가배상책임#등기필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