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징금부과처분취소재결처분취소

사건번호:

91누13700

선고일자:

199212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면허받은 장의자동차운송사업구역에 위반하였음을 이유로 한 행정청의 과징금부과처분에 의하여 동종업자의 영업이 보호되는 결과는 사업구역제도의 반사적 이익에 불과하기 때문에 그 과징금부과처분을 취소한 재결에 대하여 처분의 상대방 아닌 제3자는 그 취소를 구할 법률상 이익이 없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면허받은 장의자동차운송사업구역에 위반하였음을 이유로 한 행정청의 과징금부과처분에 의하여 동종업자의 영업이 보호되는 결과는 사업구역제도의 반사적 이익에 불과하기 때문에 그 과징금부과처분을 취소한 재결에 대하여 처분의 상대방 아닌 제3자는 그 취소를 구할 법률상 이익이 없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행정소송법 제12조, 자동차운수사업법 제4조 제2항

참조판례

대법원 1992.4.28. 선고 91누10220 판결(공1992,1745)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대구운수주식회사 원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서윤홍 【피고, 피상고인】 경상북도지사 【피고보조참가인】 【원심판결】 대구고등법원 1991.11.20. 선고 90구548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원고들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처분 등의 직접 상대방이 아닌 제3자라도 당해 처분 등의 취소를 구할 법률상의 이익이 있는 경우에는 취소소송의 원고적격이 인정된다고 할 것( 행정소송법 제12조 참조)이나, 여기서 법률상의 이익이라 함은 당해 처분 등의 근거가 되는 법규에 의하여 보호되는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이익을 말하므로, 단지 간접적이거나 사실적, 경제적인 이해관계를 가지는데 불과한 경우에는 행정소송을 제기할 법률상의 이익이 없다고 할 것이다( 당원 1991.12.13. 선고 90누10360 판결, 1989.5.23. 선고 88누8135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고들은 장의자동차운송사업자인 피고보조참가인이 원고들의 사업구역에 상주하여 영업함으로써 그 면허받은 사업구역에 위반하였음을 이유로 한 청도군수의 과징금부과처분을 취소하는 이 사건 재결은 피고보조참가인의 불법행위를 조장하는 것으로서 동종운송사업자인 원고들에게 막대한 손해를 주는 것이라는 이유로 그 취소를 구하나, 위 과징금부과처분의 근거가 된 자동차운수사업법 제4조 제2항, 같은법시행규칙(1991.9.27. 교통부령 제96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조 제4항이 자동차운송사업면허를함에 있어서 사업구역을 정하도록 하고, 그 운송사업자로 하여금 면허받은 사업구역외에 상주하여 영업할 수 없다고 규정한 것은 각 지역 국민의 편익을 위한 것이고, 사업구역 위반으로 인한 과징금부과처분에 의하여 다른 사업구역의 동종업자의 영업이 보호되는 결과가 되더라도 그것은 면허의 조건으로 부가되는 사업구역제도의 반사적 이익에 불과하며, 이 사건 재결은 원고들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절차가 아니라 위 과징금부과처분으로 인한 피고보조참가인의 권익침해를 구제하기 위한 절차로서 그 내용도 증거불충분 등을 이유로위 과징금부과처분을 취소하는 것일 뿐, 피고 보조참가인으로 하여금 원고들의 사업구역에 상주하면서 영업하여도 좋다는 것이 아니어서, 이로써 원고들에게 직접적으로 어떤 불이익을 주는 것이 아님은 물론, 이 사건 재결을 취소한다고 하여 원고들에게 직접적으로 어떤 이익이 생기는 것도 아니라는 이유로, 원고들에게 이 사건 재결의 취소를 구할 법률상의 이익이 없다고 판단하여 이 사건 소를 각하하였다.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법률상의 이익에 관한 법리오해가 있다고 할 수는 없으며, 원고들 소송대리인이 내세우는 판례들은 이 사건과 사안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과징금부과처분의 취소재결을 쟁송의 대상으로 하는 이 사건에는 적절치 아니하다. 또한, 원심판결은 위 과징금부과처분이나 이 사건 재결자체의 위법여부에 관하여는 아무런 판단도 하지 아니한 채, 원고적격 내지 소의 이익의 유무에 관한 판단과 관련하여 그 전제로서 위 과징금부과처분과 이 사건 재결의 내용 및 경위를 설시하고 있을 뿐임이 명백하므로, 원심판결에 위 과징금부과처분이 위법하다는 판단이 있음을 전제로 하여 거기에 소론과 같은 관련법규의 해석과 증거의 취사선택을 그르친 이유모순 또는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는 상고이유는 받아 들일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원고들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장의차 사업구역, 행정구역 변경 후 어떻게 될까?

김제시와 김제군이 행정구역 변경 후, 기존 사업자에게 사업구역 선택권을 줬음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선택하지 않아 새로운 사업자에게 남은 지역의 면허를 발급한 것은 적법하다.

#행정구역 변경#장의차 운송 사업#면허#재량권

일반행정판례

장의차 사업구역 축소, 정당할까? - 사정변경과 공익을 위한 행정처분 변경

충남 전역에서 장의차 운송 사업을 하던 업체의 사업구역을 청양군으로 축소한 처분은 공익을 위한 정당한 행정처분으로, 재량권 남용이 아니다.

#장의차#사업구역 축소#재량권#공익

일반행정판례

화물차 증차 허가, 기존 사업자도 취소 소송 가능할까?

기존 화물차 운송업자가 같은 지역 내 화물차 증차 허가에 대한 취소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며, 행정청은 증차 허가 시 관련 법규와 절차를 준수해야 한다는 판결.

#화물차 증차#허가 취소 소송#기존 운송업자#소송 제기 자격

상담사례

내 구역에 본사 직영점이?! 가맹점 영업지역, 보호받을 수 있을까요?

가맹본부가 계약서 조항을 내세워 가맹점 영업지역에 직영점을 설치하려 할 경우, 해당 조항은 무효일 가능성이 높고 가맹사업법 위반 소지가 있으며, 가맹점주는 직영점 개설 금지 가처분 신청 등 적극적인 대응을 통해 권리를 보호해야 한다.

#가맹점#영업지역 보호#본사 직영점#가맹사업법

일반행정판례

사업구역 외 운행, 과징금 부과는 부당할 수도 있어요!

버스 회사가 사업구역이 아닌 곳에서 승객의 요청으로 운행했을 경우, 단순히 승객 편의를 위한 것이라면 과징금을 부과할 수 없다.

#사업구역외 운행#과징금#승객 편의#위법

일반행정판례

경쟁 업체 허가에 대한 기존 업체의 소송, 가능할까요?

이미 분뇨 수집·운반업 허가를 받아 영업 중인 사업자가 관할 구청이 새로운 경쟁업체에 허가를 내준 것에 대해 취소소송을 제기했는데, 대법원은 기존 사업자에게도 소송을 제기할 자격(원고적격)이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분뇨수집운반업#경쟁업체 허가#취소소송#원고적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