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용지협의취득확인등

사건번호:

91누3871

선고일자:

199210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도시계획사업의 시행자가 그 사업에 필요한 토지를 협의취득하는 행위가 행정처분인지 여부(소극) 나. 서울특별시의 시영아파트에 대한 분양불허의 의사표시가 행정처분인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가. 도시계획사업의 시행자가 그 사업에 필요한 토지를 협의취득하는 행위는 사경제주체로서 행하는 사법상의 법률행위에 지나지 않으며 공권력의 주체로서 우월한 지위에서 행하는 공법상의 행정처분이 아니므로 행정소송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나. 서울특별시의 “철거민에 대한 시영아파트 특별분양 개선지침”은 서울특별시 내부에 있어서의 행정지침에 불과하며, 그 지침 소정의 사람에게 공법상의 분양신청권이 부여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어서 서울특별시의 시영아파트에 대한 분양불허의 의사표시는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으로 볼 수 없다.

참조조문

행정소송법 제2조, 제19조

참조판례

나. 대법원 1989.4.25. 선고 88누5389 판결(공1989,835), 1989.12.26. 선고 87누1214 판결(공1990,402), 1991.11.26. 선고 91누3109 판결(공1992,336)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서울특별시장 외 1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4.4. 선고 90구759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도시계획사업의 시행자가 그 사업에 필요한 토지를 협의취득하는 행위는 사경제주체로서 행하는 사법상의 법률행위에 지나지 않으며 공권력의 주체로서 우월한 지위에서 행하는 공법상의 행정처분이 아니므로 이는 행정소송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이 사건 토지에 관한 협의취득의 존재확인을 항고소송으로 구하는 피고 서울특별시장에 대한 소를 부적법하다고 본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서울특별시의 “철거민에 대한 시영아파트 특별분양 개선지침”은 서울특별시 내부에 있어서의 행정지침에 불과하며, 그 지침 소정의 사람에게 공법상의 분양신청권이 부여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어서 서울특별시의 시영아파트에 대한 분양불허의 의사표시는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 당원의 견해이고,(당원 1989.4.25. 선고 88누5389 판결; 같은 해 12.26. 선고 87누1214 판결; 1991.11.26. 선고 91누3352 판결 등 참조), 또 현행 행정소송법상 의무이행소송은 인정되지 않으므로, 같은 취지의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으며 그 밖의 논지는 모두 본안에 관한 것이어서 받아들일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만운(재판장) 이회창 김석수 최종영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시영아파트 분양, 내 권리일까?

서울시의 철거민 대상 시영아파트 특별분양 지침은 단순한 내부 지침일 뿐, 법적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므로 분양 불허는 행정소송으로 다툴 수 없다.

#시영아파트#분양불허#행정소송#내부지침

일반행정판례

서울시 시영아파트 특별분양 거부, 소송으로 다툴 수 있을까?

서울시의 철거민 시영아파트 특별분양 지침은 단순한 내부 지침일 뿐, 법적인 권리를 주는 것이 아니므로 분양 거부는 행정소송으로 다툴 수 없다.

#시영아파트#특별분양#거부#행정소송

민사판례

공공사업 시행자의 토지 협의취득과 위탁 가능성에 대한 고찰

이 판례는 민간 사업자가 도시계획사업을 시행하면서 토지를 협의로 매입할 때, 지자체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지켜야 할 법적 요건은 무엇인지에 대해 다룹니다. 특히, 지자체가 단순히 민간 사업자의 대리인으로서 토지를 매입하는 것이 아니라, 공공사업 시행자로서 직접 토지를 매입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도시계획사업#협의취득#지자체 역할#민간사업자

민사판례

도시계획사업, 땅 주인 동의 없으면 사업 못한다?!

도시계획사업 시행자는 정해진 기간 안에 사업 부지 내 토지를 사거나 수용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사업 허가가 효력을 잃는다. 토지 소유자가 사업에 동의하지 않으면, 사업 시행자는 반드시 협의 매수 또는 수용 절차를 거쳐야 한다.

#도시계획사업#토지 미취득#실시계획 인가 실효#협의 매수

일반행정판례

공공용지 무상양도 요구? 안돼요! ❌

담당 공무원의 허위 공문서 작성으로 주택건설사업계획승인 조건에 공공용지 무상양도 내용이 포함되었으나, 이후 지자체가 유상매입 절차를 진행하도록 통지한 것은 행정처분이 아니다. 즉, 행정기관의 모든 행위가 행정소송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며, 국민의 권리 의무에 직접적인 변동을 주는 행위만이 행정처분으로 인정된다.

#행정처분#허위공문서#주택건설사업계획승인#유상매입

일반행정판례

협의취득한 건물, 강제철거 할 수 있을까? (행정대집행과 사법상 계약)

국가가 공익사업을 위해 토지를 협의 매수할 때, 건물 소유자가 건물 철거에 동의했더라도 국가가 마음대로 강제 철거(행정대집행)를 할 수는 없다.

#협의취득#건물철거#행정대집행#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