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후보등록무효등

사건번호:

91다14727

선고일자:

199207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갑이 대한불교조계종의 중앙종회의원으로서 그 임기중 종회장에의 출입권, 선거권 등이 있음의 확인을 구하는 청구는 종회의원의 지위에 대한 현존하는 법률관계의 확인청구라고 볼 것이고, 갑이 종회장 출입조차 하지 못하고 징계에 의하여 승려의 지위마저 부인되고 있다면 위 종단을 상대로 그 지위의 확인을 구할 이익이 있다고 한 사례 나. 갑이 종단이나 그 총무원장 등을 상대로 가처분신청이나 소송등을 제기한 것이 사욕을 도모하고 종단의 법통을 해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종단의 호계위원회법에 피징계인이 위원회에 출석하여 변명과 증언을 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는데도 갑에게 출석통지를 아니하였다면 위 종단이 갑에 대하여 한 체탈도첩의 징계가 무효라고 한 사례

판결요지

가. 갑이 대한불교조계종의 중앙종회의원으로서 자신에게 그 임기중 중앙종회장에의 출입권, 의원선서권, 발언권, 표결권, 중앙종회가 실시하는 각종 선거에서 선거권, 피선거권이 있다는 확인청구는 그러한 것이 모두 중앙종회의원의 지위에서 파생되는 각종 권능들이어서 이를 결국 위 중앙종회의원으로서의 지위확인을 구하는 취지의 현존하는 법률관계에 대한 확인청구라고 볼 것이고, 아울러 갑이 중앙종회의원의 지위를 부인당하여 회의장에 출입조차 하지 못하였고 나아가 체탈도첩의 징계로 인하여 중앙종회의원 자격의 전제가되는 승려의 지위마저 부인되고 있다면 위 종단을 상대로 그 지위의 확인을 구할 이익이 있다고 한 사례. 나. 갑이 소속 종단의 총무원장 등을 상대로 직무집행정지가처분신청이나 임명무효확인소송을 제기한 것은 위 총무원장 등이 총무원법상의 자격요건을 갖추지 못하였고, 특히 위 총무원장은 계율을 범한 사실이 있다고 믿고 이를 시정하기 위한 목적에서 한 것으로서 위 종단의 승니법에 정한 불법, 부당한 개인의 사욕을 도모하기 위하여 종단의 법통을 침해코자 허위사실을 유포, 조작한 것이라고 볼 수 없고, 갑이 위 종단을 상대로 갑의 중앙종회의원 입후보등록취소의 효력정지가처분신청 및 그 본안소송을 제기한 것은 위 종단에서 종단법규에 의한 근거도 없이 마음대로 갑의 중앙종회의원 입후보등록을 취소시키고 중앙종회의원으로서의 지위를 인정치 아니하므로 자신의 지위와 권리를 지키기 위하여 부득이 이에 이르게 된 것이지, 사욕을 채우고 종단을 해하기 위하여 위 각 제소행위에 이르게 된 것이 아니며, 또한 위 종단의 호계위원회법에 피징계인은 위원회 회의장에 출석하여 변명과 증언을 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는데도 갑에게 출석통지를 아니하여 자신을 변호할 기회를 박탈하였다면 위 종단이 갑에 대하여 한 체탈도첩의 징계가 무효라고 한 사례.

참조조문

가. 민사소송법 제228조 / 나. 같은 법 제187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대한불교조계종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성기 외 1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4.4. 선고 90나112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제1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 종단 소속의 승려인 원고가 임기 1988.9.1.부터 1992.8.31.까지인 피고 종단의 제9대 중앙종회의원으로 당선되었는데도 중앙종회의장은 원고를 종회의원으로서의 선서조차 시키지 아니하고 퇴장시켰고 원고는 종회의원 명단에서도 빠지고 총무원 직원들의 저지로 그 회의장에 입장하지도 못한 사실, 원고가 피고 종단과 피고 종단의 총무원장 소외 1 및 규정부장 소외 2 등을 상대로 한 직무집행정지가처분신청 등 판시 소송제기행위를 하자 피고 종단이 이러한 제소행위를 불법부당한 개인의 사욕을 도모하기 위하여 종단의 법통과 교권을 침해코자 종단 내의 조정기관 또는 판정기관의 시정절차를 밟지 아니하고 허위사실을 유포, 조작하여 고의로 사직당국에 민, 형사상 제소를 일으키는 행위로 보아 원고를 판시와 같이 체탈도첩의 징계에 처한 사실 등을 확정한 다음 원고가 1988.9.1.부터 1992.8.31.까지가 임기인 피고 종단 중앙종회의원으로서 원고에게 동 임기 중 중앙종회장에의 출입권, 의원선서권, 발언권, 표결권, 중앙종회가 실시하는 각종 선거에서 선거권, 피선거권이 있다는 확인청구에 대하여 그러한 것이 모두 중앙종회의원의 지위에서 파생되는 각종 권능들이어서 이를 결국 원고의 중앙종회의원으로서의 지위확인을 구하는 취지로 못볼 바 아니라고 하고 이를 현존하는 법률관계에 대한 확인청구라고 봄과 아울러 위 인정과 같이 원고가 중앙종회의원의 지위를 부인당하여 회의장에 출입조차 하지 못하였고 나아가 위징계로 인하여 중앙종회의원 자격의 전제가 되는 승려의 지위마저 부인되고 있으므로 피고를 상대로 그 지위의 확인을 구할 이익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위와 같은 원심의 판단은 옳고 거기에 소론이 지적하는 바와 같은 확인의 소에 있어서 소의 대상과 확인의 이익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으므로 논지는 이유 없다. 2. 제2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고가 위 총무원장 서황룡 및 규정부장 정진길를 상대로 원심판시와 같은 직무집행정지가처분신청이나 임명무효확인소송을 제기한 것은 위 서황룡 및 위 정진길가 종무원법상의 자격요건을 갖추지 못하였고 특히 위 서황룡은 계율을 범한 사실이 있다고 믿어 의심치 아니하고 이를 시정하기 위한 목적에서 한 것으로서 피고 종단의 승니법에 정한 불법, 부당한 개인의 사욕을 도모하기 위하여 종단의 법통을 침해코자 허위사실을 유포 조작한 것이라고 볼 수 없고, 원고가 피고를 상대로 판시와 같이 원고의 중앙종회의원 입후보등록취소의 효력정지가처분신청 및 그 본안소송을 제기한 것은 피고 종단에서 종단법규에 의한 근거도 없이 마음대로 원고의 중앙종회의원 입후보등록을 취소시키고 중앙종회의원으로서의 지위를 인정치 아니하므로 자신의 지위와 권리를 지키기 위하여 부득이 이에 이르게 된 것으로서, 달리 사욕을 채우고 종단을 해하기 위하여 위 각 제소행위에 이르렀다고 인정할 증거가 없으며, 또한 피고 종단의 호계위원회법에 피징계인은 위원회 회의장에 출석하여 변명과 증언을 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는데도 그 판시와 같은 경위로 원고(원심이 피고라고 한 것은 착오로 보인다)에게 출석통지를 아니하여 자신을 변호할 기회를 박탈한 사실이 있다고 인정하였는바, 기록에 대조 검토하여 볼 때 원심의 위 사실인정은 옳고 그 인정과정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 위반의 위법이 있다할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최재호(재판장) 윤관 김주한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종친회 임원 지위 확인 소송, 승소 가능성은?

종친회 회원들이 이전 임원들의 임원 지위가 없음을 확인하는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경우, 그러한 소송이 회원들의 권리 보호에 효과적이고 적절한 방법이라면 확인의 이익이 인정된다는 판례입니다.

#종친회#임원 지위 확인 소송#확인의 이익#권리 보호

민사판례

종교 단체 분쟁, 종도의 총무원장 지위 부존재확인 소송은 가능할까?

단순한 종단 신도 자격으로는 총무원장 선출에 직접적인 법적 권리가 없으므로, 총무원장 지위 부존재 확인 소송을 제기할 자격(확인의 이익)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판결.

#확인의 소#확인의 이익#총무원장 지위#종도

민사판례

종중원의 권리, 함부로 제한할 수 없다!

종중(문중)은 종원(문중 구성원)을 마음대로 오랫동안 징계해서 투표권 등의 권리를 빼앗을 수 없다. 모든 종원에게 회의 참석 기회를 주지 않고 열린 총회 결정도 무효다.

#종중#종원#자격정지#무효

민사판례

종중 총회 결의, 무엇이 문제일까?

종중 총회 결의의 효력, 특히 종중원 자격이 없는 사람이 참여한 결의의 효력과 그 결의에 대한 무효 확인 소송의 요건에 대한 판례입니다. 종중원이 아닌 사람을 종중원으로 인정하거나 대표로 선임하는 결의는 무효이며, 소송을 제기하려면 소송으로 얻을 실질적인 이익이 있어야 합니다.

#종중#총회 결의#효력#무효 확인 소송

상담사례

상위 종중이 하위 종중원을 쫓아낼 수 있을까요? 🚫

상위 종중은 하위 종중원을 쫓아낼 수 없으며, 모든 종중원은 종중 내에서 평등한 권리를 가진다.

#종중#종원#자격박탈#불가능

상담사례

우리 종중 회장 선출, 제대로 된 걸까? - 종중원 자격과 회칙 이야기

종중 회장 선출 과정에서 친척인 준회원에게 투표권을 부여한 회칙의 효력과 그에 따른 회장 선출의 적법성에 대한 의문 제기 및 판례를 통한 확인 결과, 준회원 투표권 부여는 종중의 본질에 어긋나 선출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경우 무효일 가능성이 높다는 내용.

#종중#회장 선출#종원 자격#회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