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철거및토지인도

사건번호:

91다21299

선고일자:

199109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토지의 소유자와 그 지상 건물의 소유자가 대지와 건물을 함께 매도하여 일정액씩 나누어 갖기로 합의한 바가 있다고 하여 대지소유자가 건물의 철거 등을 요구하지 않기로 하는 묵시적인 합의가 이루어진 것이라고는 볼 수 없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토지의 소유자인 원고와 그 지상 건물의 소유자인 피고가, 위 토지와 건물을 함께 대금 125,000,000원에 타에 매도하되 그 토지대금을 금 75,000,000원으로, 그 건물대금을 금 50,000,000원으로 하여 이를 나누어 갖기로 합의한 사실은 인정되지만, 위 합의의 경위 등에 비추어 보면 이와 같은 합의로써 원고가 피고에 대하여 위 건물의 철거 등을 요구하지 않기로 하는 묵시적인 합의까지 이루어진 것이라고는 볼 수 없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민법 제105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심규철 【피고, 상고인】 피고 1 외 1인 피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송영욱 【원심판결】 수원지방법원 1991.5.17. 선고 90나4461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1. 피고들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한 판단. 관계증거(특히 을 제4호증의 기재내용과 제1심증인 1 및 제1심증인 2의 각 증언)를 기록과 대조하여 검토하여 보면, 피고 2의 아버지인 망 소외 1이 원고에게 이 사건 토지에 대한 2분의1지분의 소유자 명의를 신탁하였다는 피고들의 주장을 배척하고, 이 사건 토지가 전부 원고의 소유라고 사실을 확정한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이 심리를 제대로 하지 아니한 채 증거에 대한 판단을 유탈하는 등 채증법칙을 위반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원심의 전권에 속하는 증거의 취사선택과 사실의 인정을 비난하는 것에 귀착되므로 받아들일 수 없다. 2. 같은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한 판단. 이 사건 토지의 소유자인 원고가 그 토지 위에 건립된 이 사건 건물에 살면서 위 토지를 점유하고 있는 피고 2에게 위 건물에서의 퇴거를 청구하고 있는 이 사건에 있어서, 위 피고가 이 사건 토지를 점유할 만한 정당한 권원이 자신에게 있음을 주장ㆍ입증하지 못하는 한 위 토지를 불법점유하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밖에 없는바, 원고가 과거에 위 피고의 아버지인 위 망 소외 1로 하여금 이 사건 토지를 점유ㆍ사용하게 하였다고 하더라도, 그렇다고 하여 이 사건 토지를 점유할 만한 정당한 권원이 없는 점에 대한 입증책임이 원고에게있는 것이라고는 볼 수없으므로, 위 피고가 이 사건 토지를 점유할 만한 정당한 권원이 있음을 주장ㆍ입증하지 못하는 한 위 피고의 위 토지에 대한 점유는 불법한 것이라고 본 원심의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이 입증책임을 전도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논지도 이유가 없다. 3. 같은 상고이유 제3점에 대한 판단. 원심은, 이 사건 토지의 소유자인 원고와 이 사건 건물의 소유자인 피고 문종호가, 위 토지와 건물을 함께 대금 125,000,000원에 타에 매도하되 그 토지대금을 금 75,000,000원으로, 그 건물 대금을 금 50,000,000원으로 하여 이를 나누어 갖기로 합의한 사실은 인정되지만, 이와 같은 합의로써 원고가 피고들에 대하여 이 사건 건물의 철거 등을 요구하지 않기로 하는 묵시적인 합의까지 이루어진 것이라고는 볼 수 없다고 판단하고 있는바, 관계증거들에 나타난 위 합의의 경위 등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이 법률행위의 해석을 그르친위법이 있다고 볼수 없으므로, 논지도 이유가 없다. 5. 그러므로 피고들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피고들의부담으로 하기로 관여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관(재판장) 최재호 김주한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땅과 함께 산 미등기 건물, 철거해야 할까요? 법정지상권 이야기

땅과 그 위에 있는 등기되지 않은 건물을 함께 샀지만 땅에 대해서만 소유권 이전 등기를 마친 경우, 건물 소유자는 법정지상권을 주장할 수 없다.

#미등기 건물#법정지상권 불인정#토지 경매#건물 철거

민사판례

내 건물에서 나가라고? 땅 주인이라도 안 돼요!

토지 소유주라 하더라도, 그 토지 위에 있는 건물의 소유주에게 건물에서 나가라고(퇴거) 요구할 수 없다. 건물 철거와 토지 인도 청구는 가능하다.

#토지소유권#건물소유권#퇴거청구#건물철거

민사판례

땅 주인과 건물 주인이 다를 때, 건물 철거 약속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땅 사용권이 없는 건 아닙니다!

땅과 건물 주인이 같다가 땅 주인만 바뀌는 경우, 보통은 건물 주인이 땅을 계속 쓸 수 있는 권리(관습상 법정지상권)가 생깁니다. 하지만 땅 주인이 바뀌기 전에 건물을 철거하기로 합의했다면 이 권리가 생기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만, 단순히 철거에 합의한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땅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겠다"는 의사**가 합의 내용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관습상 법정지상권#철거 합의#토지 사용 의사#건물 경매

민사판례

건물과 땅 주인이 달라졌을 때, 건물을 철거해야 할까요? - 관습법상 법정지상권 이야기

땅과 건물 주인이 같았다가 매매로 주인이 달라지는 경우, 보통은 건물 주인이 땅을 계속 쓸 수 있도록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을 인정하지만, 매매 당시 땅 사용에 관한 다른 약속(특약)이 있었다면 법정지상권은 인정되지 않는다는 판례입니다.

#법정지상권#특약#매매#토지

민사판례

땅 주인이 건물 철거를 요구할 수 있을까? - 관습상 법정지상권과 신의칙 이야기

땅과 건물을 함께 갖고 있던 사람이 땅만 팔았는데, 땅을 산 사람이 건물 주인에게 건물을 철거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판결입니다. 건물 주인은 관습적으로 건물을 유지할 권리가 있기 때문입니다.

#토지매매#건물철거#신의칙#관습상 법정지상권

민사판례

땅 샀는데 돈 안 주고 건물까지 지었어요?! - 계약 해지와 건물 철거, 정당할까요?

땅 매수자가 땅값을 제때 내지 않아서 땅 주인이 계약을 해지하고 건물 철거를 요구한 경우, 매수자가 계약 조건을 어기고 땅 주인의 권리 행사를 방해했다면 땅 주인의 요구가 신의칙에 위반된다고 볼 수 없다는 판례.

#토지매매#계약해제#건물철거#신의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