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자)

사건번호:

91다34707

선고일자:

199211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교통사고로 인한 주관절골절탈구 환자에 대하여 전신마취를 하고 수술을 시행한 후 환자가 전격성간염으로 사망한 경우 교통사고와 사망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교통사고로 인한 주관절골절탈구 환자에 대하여 전신마취를 하고 수술을 시행한 후 환자가 전격성간염으로 사망한 경우 교통사고와 사망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고 본 사례.

참조조문

민법 제763조(제393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0.6.26. 선고 89다카7730 판결(공1990,1558)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이진수 외 2인 원고들 소송대리인 성심종합법무법인 담당변호사 강수림 외 3인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8.22. 선고 91나2361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제1심판결 이유를 인용하여, 피고가 그 소유의 판시 승용차를 운전하여 판시와 같이 1988.4.21. 23:50경 망 소외인의 오토바이와 교행하다가 피고 차량의 좌측 후사경 부분으로 망 소외인의 오토바이 좌측 핸들부분을 충격하여 땅에 넘어뜨려 그에게 좌주두분쇄골절 및 좌주관절탈구, 좌제5수지원위지골골절 등의 상해를 입힌 사실, 망 소외인은 그 무렵 판시 병원에 입원하여 국소마취를 한 후 제5수지 절단부분에 대한 수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전에 간기능검사를 하였는 바 정상이었던 사실, 그해 5.4. 위 병원 의사가 할로탄을 사용한 전신마취를 한 가운데 좌주관절골절탈구에 대한 수술을 시행한 후 망 소외인의 간기능에 이상이 생겨 급성전격성간염으로 사망한 사실을 각 인정한 다음, 전신마취로 인한 사망은 일반경험상 그 가능성이 있다 할 것이고 망 소외인에 대한 전신마취 등의 시술과정에서 의사들의 중대한 과실이 있었다고 인정되지 아니하므로 이 사건 사고와 망 소외인의 사망 간에는 인과관계가 있다 할 것이고 따라서 피고는 망 소외인이 사망함으로써 망 소외인 및 망 소외인의 가족들인 원고들이 입은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할 것이라고 판단하고, 이어서 망 소외인이 면허도없이 도로 중앙부분으로 교행하다가 사고를 당한 과실이 있는 사실을 인정하여 이 과실비율을 30%로 산정하였는바, 기록에 대조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위 인정 판단이나 과실상계의 비율은 정당하고 적정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로 인한 심리미진, 이유불비, 이유모순 등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2. 기록을 검토하여 보면 원심이 인정한 망 소외인이나 원고들에 대한 위자료의 산정은 적정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소론주장과 같이 그 액수가 과다하여 이유불비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교통사고 후 수술 중 마취 합병증으로 사망, 과연 교통사고 때문일까?

교통사고로 턱뼈 골절 등의 부상을 입은 피해자가 수술을 위해 전신마취를 받았고, 16일 후 마취 부작용으로 추정되는 간기능 부전으로 사망한 사건에서, 법원은 교통사고와 사망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즉, 교통사고가 없었다면 수술 및 마취도 필요 없었을 것이고, 따라서 사망에 이르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교통사고#전신마취#수술#사망

민사판례

교통사고 후 의료사고로 사망,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까?

교통사고 피해자가 병원 치료 중 의료사고로 사망한 경우, 교통사고 가해자와 병원은 공동불법행위 책임을 지며, 손해배상 합의는 예측 가능했던 손해에 대해서만 효력이 있다.

#교통사고#의료사고#사망#공동불법행위

민사판례

교통사고 후 의료사고로 사망, 누구 책임일까?

교통사고로 다쳐 병원 치료 중 의료사고로 사망한 경우, 교통사고 가해자와 병원 모두에게 배상 책임이 있다는 판결.

#교통사고#의료사고#공동불법행위#손해배상

민사판례

교통사고 후유증과 2차 사고로 인한 사망,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까요?

교통사고로 다친 사람이 그 사고 후유증 때문에 다른 사고로 사망했을 경우, 첫 번째 교통사고 가해자는 사망과 관계없이 피해자가 정상적으로 일할 수 있는 나이까지의 수입 손실을 배상해야 한다.

#교통사고#후유증#2차사고#사망

형사판례

교통사고 후유증, 의사의 과실로 사망까지 이어진 안타까운 사례

교통사고 환자를 진료한 의사가 적절한 검사를 하지 않아 환자의 상태 악화를 막지 못하고 사망에 이르게 한 경우, 의사의 과실과 사망 사이의 인과관계를 인정한 판례입니다. 다른 병원으로 옮긴 후 사망했더라도, 첫 번째 병원 의사의 과실이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한 중요한 판례입니다.

#교통사고#진단 미시행#의사 과실#사망

민사판례

전신마취 중 의료사고, 병원의 책임은 어디까지?

발목 수술을 위해 전신마취를 받던 환자가 기관지 경련으로 사망한 사건에서, 법원은 마취 전 의사의 환자 상태 확인 의무와 기관지 경련 예방 조치에 대한 심리가 미흡했다며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다시 재판하도록 했습니다.

#전신마취#사망#의료과실#주의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