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고무효확인등

사건번호:

91다6740

선고일자:

199111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여러 가지 징계해고사유가 있을 때 피징계자에게 내려진 징계해고처분이 적정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판결요지

피징계자에게 여러가지의 징계해고사유가 있을 때 그 징계해고처분이 적정한지의 여부는 그 사유 하나씩 떼어서 또는 그 중 일부의 사유만 가지고 판단할 것이 아니라 전체의 사유에 비추어 사회통념상 근로계약을 계속시킬 수 없을 정도로 근로자에게 책임이 있는지 여부에 의할 것이다.

참조조문

근로기준법 제27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승원여객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광년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0.1.11. 선고 90나2972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피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1. 피징계자에게 여러 가지의 징계해고사유가 있을 때 그 징계해고처분이 적정한지의 여부는 그 사유 하나씩 떼어서 또는 그 중 일부의 사유만 가지고 판단할 것이 아니라 전체의 사유에 비추어 사회 통념상 근로계약을 계속시킬 수 없을 정도로 근로자에게 책임이 있는 것인지 여부에 의할 것임은 피고가 주장하는 바와 같다. 그런데 원심판결 이유를 보면, 원심은 원고에 대하여 인정된 수 개의 징계사유에 관하여 다른 징계사유를 외면한 채 각 사유별로 또는 일부 사유별로만 보아 이 사건 징계처분이 징계권을 남용한 것이라고 판시한 것이 아니라, 각 사유의 발생시기, 발생경위 그 비위의 정도, 사유발생 후의 수습경위 등을 살핀 다음 이러한 모든 사정을 참작하여 볼 때 원고에게 인정되는 수 개의 징계사유를 전체적으로 고려해 보더라도 징계해고처분은 그 징계권을 남용한 것이라는 취지로 판시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원심판결은 소론과 같은 위법을 저지른 것이 아니며 원심판결의 취지를 오해한 데서 나온 주장에 지나지 아니한다. 또한 피고가 원고의 버스운행정지 사태에 관련된 행위에 대하여 해고사유를 규정한 취업규칙 제13조 제3호 (정당한 사유없이 사업장을 이탈하였을 때)에 해당된다고 주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원심이 이에 관하여 판단하지 않고 취업규칙 제57조 제11호 (불법적인 집회로 회사에 악영향을 끼쳤을 때)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판단하였다 하더라도 판결결과에 영향이 있는 잘못이라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없다. 2. 원심판결 이유를 보면, 원심은 원고의 1989.6.27. 교통사고를 일으키고 피고에게 시말서를 제출한 행위에 관하여 단체협약 제30조의 규정 때문에 징계사유 자체가 될 수 없다고 판시한 것이 아니고 오히려 징계사유를 정한 피고의 취업규칙 제57조 제13호 (시말서를 3회 이상 제출한 자) 제1호 (본 규칙을 수회 위반한 자) 에 해당함을 인정한 다음, 그 비위의 정도에 비추어 볼때 원고에 대한 징계로서 해고처분까지 할 정도의 사유가 될 수 없다는 취지로 판시한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원심이 위 단체협약 제30조의 취지를 오해하였다는 피고의 주장은 원심판결을 정해하지 아니한 데서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그 밖에 원심이 인정한 사실관계 즉 버스운행정지 사태와 관련하여 원고는 그 주동자가 아니라 단순 가담자에 불과하다는 것, 원고가 일으킨 교통사고가 중대한 사고에 해당하지 아니하다는 것 등의 인정은 수긍되고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을 어긴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없다. 이상의 이유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영철(재판장) 박우동 김상원 박만호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직장에서 해고될 때, "정당한 이유"가 뭘까요? 😥

직장에서의 보통해고는 "사회통념상 고용 관계를 계속할 수 없을 정도로 근로자에게 책임 있는 사유"가 있어야 정당하며, 이는 회사와 근로자의 상황에 따라 종합적으로 판단된다.

#해고#정당한 이유#보통해고#사회통념

일반행정판례

징계 여러개면 어떻게 다뤄야 할까요? 부당해고 판단 기준

회사가 여러 가지 이유로 직원을 징계했을 때, 부당하다고 생각하는 직원이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하면, 법원은 회사가 주장한 모든 징계 사유를 살펴봐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중앙노동위원회가 일부 사유만 인정하더라도, 법원은 모든 사유를 검토해 징계가 정당했는지 판단해야 합니다.

#부당해고#징계사유#구제신청#노동위원회

일반행정판례

부당해고?! 징계해고는 언제 정당할까?

수협 직원들의 업무 부당처리 및 횡령에 대한 징계시효와 해고의 정당성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징계시효가 지났더라도 '고의의 업무 부당처리'가 입증되면 징계할 수 있지만, 이 사건에서는 고의성이 입증되지 않았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횡령을 저지른 직원의 해고는 정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수협#해고#징계시효#고의

일반행정판례

부당해고? 정당한 해고? 해고의 정당성 판단 기준 알아보기

회사가 직원을 해고하려면, 그 직원이 계속 일하기 어려울 정도로 심각한 잘못을 저질러야 하고, 그 잘못의 심각성은 여러 가지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판단해야 합니다.

#해고#정당성#심각한 잘못#종합적 고려

민사판례

징계해고, 정당한 이유가 있어야 합니다!

회사가 직원을 징계해고하려면 단순히 징계 사유에 해당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사회 통념상 근로계약을 유지하기 어려울 정도로 직원에게 책임 있는 사유가 있어야 합니다. 또한, 징계위원회를 열기 전에 직원에게 충분한 시간을 주어 변명과 증거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징계해고#정당성#사회통념#근로계약

일반행정판례

무단결근, 상사 폭행… 징계해고는 정당할까?

택시기사가 무단결근, 운송수입금 미달, 상사 폭행 등의 이유로 해고되었는데, 법원은 이 해고가 노조활동을 탄압하기 위한 부당해고가 아니라 정당한 해고라고 판결했습니다.

#징계해고#정당#무단결근#운송수입금 미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