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속살인,야간주거침입절도

사건번호:

91도1

선고일자:

199203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경찰에서의 임의성 없는 심리상태가 검찰에서 자백할 때에도 계속되었다는 등의 이유로 검사작성의 제1회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을 부인한 사례

판결요지

검사 작성의 피고인에 대한 제1회 피의자신문조서의 기재는 그 자백 내용에 있어 그 자체에 객관적 합리성이 없고 검사 앞에서 조사 받을 당시는 자백을 강요당한 바 없다고 하여도 경찰에서의 자백이 폭행이나 신체구속의 부당한 장기화에 의하여 임의로 진술한 것이 아니라고 의심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어서 경찰에서 피고인을 조사한 경찰관이 검사 앞에까지 피고인을 데려간 경우 검사 앞에서의 자백도 그 임의성이 없는 심리상태가 계속된 경우라고 할 수밖에 없어 검사 작성의 피고인에 대한 제1회 피의자신문조서는 증거능력이 없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형사소송법 제309조, 제312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2.6.8. 선고 82도850 판결(공1982,661), 1983.9.27. 선고 83도1953 판결(공1983,1638), 1984.5.15. 선고 84도472 판결(공1984,1059)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변호사 이융복 【원심판결】 광주고등법원 1990.10.25. 선고 90노48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검사의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검사 작성의 피고인에 대한 제1회 피의자신문조서의 기재는 그 자백 내용에 있어 그 자체에 객관적 합리성이 없고 검사 앞에서 조사 받을 당시는 자백을 강요당한 바 없다고 하여도 경찰에서의 자백이 설시한 바와 같은 폭행이나 신체구속의 부당한 장기화에 의하여 임의로 진술한 것이 아니라고 의심할 만한 이유가 있어서 경찰에서 피고인을 조사한 경장 심영택이 검사 앞에 까지 피고인을 데려간 이 사건의 경우 검사 앞에서의 자백도 그 임의성이 없는 심리상태가 계속된 경우라고 할 수밖에 없어 위 검사 작성의 피고인에 대한 제1회 피의자신문조서는 증거능력이 없다고 판단하였는바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그대로 수긍이 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자백의 임의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또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이 증거의 취사에 관한 채증법칙을 위배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으며 원심이 현장검증신청을 받아들이지 아니하였다고 하여 원심판결에 심리미진의 위법이 있다고도 할 수 없다. 그리고 원심판결 이유의 문맥에 의하면 증인 김재수의 증언과 검사 및 사법경찰관사무취급 작성의 김재수에 대한 각 진술조서의 각 기재는 공소사실을 인정하기에 부족한 증거로 판단하였음이 분명하여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은 이유불비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어느 것이나 이유 없으므로 검사의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재성(재판장) 이회창 배만운 김석수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경찰의 가혹행위, 검찰 자백까지 오염시키다.

경찰 수사 단계에서 고문 등으로 강요된 자백 이후, 검찰 조사에서 고문 없이 같은 내용을 자백하더라도, 그 자백은 여전히 효력이 없다.

#고문#자백#증거능력#임의성

형사판례

경찰의 고문, 검찰 조사에서도 영향 미칠까? - 자백의 임의성

과거 수사기관에서 고문 등으로 강요된 자백을 한 사람이 이후 검찰 조사에서 고문 없이 같은 내용을 자백하더라도, 이전 고문의 심리적 영향이 남아있다면 검찰에서의 자백 역시 증거로 사용할 수 없다.

#고문#자백#증거능력#임의성

형사판례

강압에 의한 자백, 증거로 쓸 수 있을까? - 자백의 임의성

수사 과정에서 고문이나 협박 등으로 강요된 자백은 증거로 사용할 수 없으며, 이러한 강압적인 분위기가 법정까지 이어진 경우 법정에서의 자백 또한 증거능력이 없다. 자백의 임의성을 입증할 책임은 검사에게 있다.

#강요된 자백#증거능력#임의성#검사 입증책임

형사판례

자백, 진짜 내 뜻이었을까? - 자백의 임의성

법원은 피고인의 자백이 강압이나 속임수 없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졌는지(임의성)를 판단할 때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하며, 증거 조사 방법이나 증거 능력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자백#임의성#판단기준#가혹행위

형사판례

검사 앞 자백의 신빙성, 법원은 어떻게 판단할까요?

피고인이 검사 앞에서 자백했지만, 그 자백이 강압에 의한 것이라는 의심이 들고, 다른 증거도 부족하여 유죄 판결을 뒤집은 사례입니다.

#자백 임의성#증거 부족#유죄 판결 파기#파기환송

형사판례

경찰 앞 자백, 법정에서 뒤집으면 증거 안될 수 있다?!

검사가 아닌 경찰 등 수사기관 앞에서 한 자백은 법정에서 부인할 경우 증거로 사용할 수 없다는 판례입니다.

#경찰 자백#증거능력#법정 부인#형사소송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