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사기),사기

사건번호:

91도2202

선고일자:

199208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부동산매매목적물이 유언으로 재단법인에 출연된 사실을 숨기고 매도하여 대금을 교부받은 경우 사기죄의 성부

판결요지

부동산매매에 있어서 매매목적물에 관하여 유언으로 재단법인에 출연되었는지의 여부가 문제되고 다른 부동산에 관하여는 이미 위 유언이 유효하다는 판결까지 있었다면 이러한 사정들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매수인으로서는 매매계약의 체결 여부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매도인은 거래의 신의성실의 원칙상 매수인에게 이를 고지할 법률상의 의무가 있고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위와 같은 사실을 숨기고 매도하여 대금을 교부받았다면 이는 사기죄를 구성한다.

참조조문

형법 제347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6.9.9. 선고 86도956 판결(공1986,1333)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환송판결】 대법원 1991. .12. 선고 89도42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부동산매매에 있어서 매매목적물에 관하여 유언으로 재단법인에 출연되었는지의 여부가 문제되고 다른 부동산에 관하여는 이미 위 유언이 유효하다는 판결까지 있었다면 이러한 사정들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매수인으로서는 매매계약의 체결여부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매도인은거래의 신의성실의 원칙상 매수인에게 이를 고지할 법률상의 의무가 있다고할 것이고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위와 같은 사실을 숨기고 매도하여 대금을 교부받았다면 이는 사기죄를 구성한다고 할 것이다. 기록을 살펴본바, 원심이 그 거시증거들을 종합하여 원심판시 각 부동산은 소외 망 C가 유언으로 재단법인에 출연하여 상속인들의 상속재산에 속하지 않게 된 것으로서 그 중 일부 토지에 관하여는 유언집행자와 상속인들 사이에 소송까지 진행 중이었고, 재산상속인들의 대표자라고 자처하는 D가 일부 상속인을 대리할 권한이 없었으며, 피고인은 상속인들이 패소한 항소심소송을 수임하여 대리하는 과정에서 위와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이 부동산 매수인들에게 재산상속인들이 위 토지를 처분할 권한을 가지고 있어서 권리를 확보하는 데에 전혀 장애가 없고, 위 D가 상속인들의 대표자라고 말하여 그들을 적극적으로 기망하고 이에 기하여 피해자들과 매매계약을 체결하여 그 계약금 및 중도금 등을 교부받아 편취하였다는 범죄사실을 인정하고 이를 사기죄로 의율한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이나 사기죄에 있어서의 기망행위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판결한다. 대법관 박우동(재판장) 김상원 윤영철 박만호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상속받은 땅 팔았다고 사기죄? 꼭 그렇지만은 않아요!

다른 상속인들의 동의 없이 공동상속받은 땅을 매매하고 계약금을 받은 행위가 사기죄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원심(수원지방법원)은 사기죄를 인정했지만, 대법원은 기망행위와 피해자의 오인 사이의 인과관계가 불명확하고, 피고인에게 편취 의사가 있었는지 의심스럽다며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환송했습니다.

#공동상속#토지 매매#사기죄#대법원 판결 파기

형사판례

유증받은 땅 팔았는데 사기죄라고? 알고보니 함정이?!

유증(유언으로 재산을 물려받음) 받은 땅에 대해 다른 상속인이 상속재산분할 소송을 건 상태에서, 그 사실을 숨기고 땅을 판매한 행위가 사기죄에 해당하는지 여부. 단순히 소송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것만으로는 사기죄가 성립하지 않고, 유류분(상속인이 법적으로 보장받는 최소한의 상속분) 때문에 땅을 전부 소유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한다는 판결.

#유증#토지매매#사기죄#상속분쟁

형사판례

땅 팔 때 숨기면 안 되는 중요한 정보!

땅 주인이 자기 땅이 도시계획에 포함되어 나중에 정부에 팔리거나 수용될 거라는 걸 알면서도, 땅을 사려는 사람에게 이 사실을 알리지 않고 판매하면 사기죄가 될 수 있다.

#토지매매#도시계획#고지의무#사기죄

상담사례

유증받은 땅, 다른 사람 명의라면? 누가 소송해야 할까요?

유언집행자가 있는 경우, 유증받은 땅이 타인 명의로 등기되어 있더라도 상속인이 직접 소송할 수 없으며, 유언집행자가 소송을 진행해야 한다.

#유증#토지#등기#유언집행자

형사판례

돈 안 준다고 사기죄로 고소했는데 무고죄가 될까?

땅을 판매하고 소유권 이전등기까지 해줬는데, 매수인이 돈도 안 내고 다른 사람에게 땅을 팔아버렸습니다. 이에 매도인이 매수인을 고소했는데, 법원은 매수인의 행위가 범죄가 아니므로 매도인의 고소는 무고죄가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무고죄#토지매매#대금미지급#명의신탁

형사판례

내 돈 돌려줘! 사기죄, 누구에게 물어야 할까? (타인의 재산을 함부로 처분한 경우)

누군가를 속여서 다른 사람에게 재산 피해를 입히는 사기 사건에서 사기죄가 성립하려면, 속은 사람이 피해자의 재산을 처분할 권한이 있어야 하고, 속임수와 피해 사이에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있어야 합니다.

#사기죄#기망#피해자#처분권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