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도상해

사건번호:

91도2267

선고일자:

199111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합동절도범행 도중에, 공범 중 1인이 체포면탈의 목적으로 피해자를 폭행하여 상처를 입게 함으로써 추적을 할 수 없게 한 경우의 강도상해의 성부(적극)

판결요지

피고인들이 합동하여 절도범행을 하는 도중에, 사전에 구체적인 의사연락이 없었다고 하여도, 피고인이 체포를 면탈할 목적으로 피해자를 힘껏 떠밀어 콘크리트바닥에 넘어뜨려 상처를 입게 함으로써 추적을 할 수 없게 한 경우, 폭행의 정도가 피해자의 추적을 억압할 정도의 것이었던 이상 피고인들은 강도상해의 죄책을 면할 수 없다.

참조조문

형법 제331조 제2항, 제335조, 제337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4.2.28. 선고 83도3321 판결(공1984,658), 1984.10.10. 선고 84도1887 판결(공1984,1829), 1988.2.9. 선고 87도2460 판결(공1988,546)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주재황 외 2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8.16. 선고 91노220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 후 구금일수 중 40일을 본형에 산입한다. 【이 유】 피고인 및 변호인들의 상고이유를 함께 본다. 원심이 유지한 제1심판결 채용증거를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판시와 같이 피고인과 원심공동피고인 1, 2, 3 등은 봉고승합차량을 타고 다니면서 행인의 재물을 탈취할 것을 공모하고 합동하여 원심판시 범행일시 및 장소에서 그 곳을 지나가는 피해자 유금순을 범행대상으로 지목하고 위 차량을 세운 후 원심 공동피고인 1, 2는 위 차량안에서 대기하거나 위 차량주위에서 망을 보고 피고인과 위 윤용선은 위 차량에서 내려 위 피해자에게 다가가서 위 윤용선이 위 피해자가 들고 있던 가방을 나꿔채고 피고인은 위 피해자를 힘껏 떠밀어 콘크리트바닥에 넘어져 상처를 입게 함으로써 추적을 할 수 없게 한 사실 이 인정되는바, 피고인들 사이에 사전에 피해자를 밀어 넘어뜨려서 반항을 억압하기로 하는 구체적인 의사연락이 없었다고 하여도 합동하여 절도범행을 하는 도중에 피고인이 체포를 면탈할 목적으로 위 피해자에게 폭행을 가하여 상처를 입혔고 그 폭행의 정도가 피해자의 추적을 억압할 정도의 것이었던 이상 피고인들은 강도상해의 죄책을 면할 수 없는 것이다. 위와 같은 취지로 판단한 원심판결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이 주장하는 것과 같이 증거없이 사실을 인정하거나 심리미진, 이유불비 또는 강도죄에 있어서의 폭행·협박에 관한 법리오해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없으므로 논지는 모두 이유없다. 또 소론 중 양형부당은 징역 10년 미만의 형이 선고된 이 사건에 있어서는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없으므로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 후 구금일수 중 40일을 본형에 산입키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만운(재판장) 이회창 이재성 김석수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절도하다 들켰는데, 이게 강도상해가 된다고?

절도를 시도하다가 미수에 그쳤더라도, 그 과정에서 폭력을 행사하여 상해를 입히면 강도상해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절도미수#폭행#상해#강도상해죄

형사판례

강도가 도주 중 피해자를 다치게 하면 어떤 죄일까요?

강도가 훔친 물건을 가지고 피해자와 함께 도주하다가 1시간 20분 후에 피해자를 다치게 한 경우에도 강도상해죄가 성립한다.

#강도상해죄#시간 간격#도주#상해

형사판례

절도범이 폭행까지 한다면? 준강도죄, 폭행의 정도는? 강도상해죄

절도범이 도망치는 과정에서 폭행을 하면 준강도죄, 그 폭행으로 인해 상대방의 생활기능에 장애가 생기면 강도상해죄가 성립한다.

#절도#폭행#준강도#상해

형사판례

훔친 물건 돌려달라는 말에 폭행을? 이것도 강도상해죄!

훔친 물건을 들고 도망가다 붙잡히기 직전이나 붙잡힌 직후, 벗어나기 위해 폭행을 하면 단순 폭행이 아닌 강도상해죄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절도#도주#폭행#강도상해죄

형사판례

가방 날치기, 단순 절도일까? 강도일까?

소매치기처럼 보이는 '날치기'도 피해자의 반항을 억압할 정도의 힘을 썼다면 강도죄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단순히 잡아당기는 수준을 넘어 피해자가 끌려가거나 다치는 등의 상황이 발생했다면 강도죄가 성립됩니다.

#날치기#강도죄#절도죄#피해자 반항 억압

형사판례

날치기, 절도인가 강도인가? 그 애매한 경계선

차량을 이용한 날치기 과정에서 피해자가 우연히 다쳤을 경우, 피해자의 반항을 억압하려는 목적이 없었다면 강도치상죄가 아닌 절도죄로 봐야 한다.

#날치기#상해#강도치상죄#절도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