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령,배임

사건번호:

91도2390

선고일자:

199204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갑은 자금만 투자하고 을은 공사 시공 및 일체의 거래행위를 담당하는 내용의 동업계약을 체결하였다가 위 계약이 종료된 경우 그 정산과정에서 을이 한 제3자에 대한 채권양도행위가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로서 임무위배행위라고 할 수 없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동업자 갑은 자금만 투자하고 동업자 을은 노무와 설비를 투자하여 공사를 수급하여 시공하고 그 대금 등을 추심하는 등 일체의 거래행위를 담당하면서 그 이익을 나누어 갖기로 하는 내용의 동업계약이 체결되었다가 그 계약이 종료된 경우 위 공사 시공 등 일체의 행위를 담당하였던 을이 자금만을 투자한 갑에게 투자금원을 반환하고 또 이익 또는 손해를 부담시키는 내용의 정산의무나 그 정산과정에서 행하는 채권의 추심과 채무의 변제 등의 행위는 모두 을 자신의 사무이지 자금을 투자한 갑을 위하여 하는 타인의 사무라고 볼 수는 없다고 보아 을의 제3자에 대한 채권양도행위를 배임죄에 있어서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로서의 임무위배행위라고 할 수 없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형법 제355조 제2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수원지방법원 1991.6.13. 선고 90노98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검사의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거시증거에 의하여 피고인이 소외 B로 판시 국민주택의 위생난방설비공사를 도급받아 시공하면서 같은 달 15. 피해자 C와의 사이에 위 C는 공사비를 대고 피고인은 작업을 맡아 위 공사를 완공한 다음 이익금을 반분하기로 하는 동업계약을 체결하고 위 공사를 진행하다가 자금부족으로 이를 포기하게 되어 위 B로 부터 판시와 같은 그 정산금의 일부로 받은 금 6,500,000원 가운데 금 5,000,000원을 위 B로 하여금 피고인의 채권자에게 지급하도록 한 사실 등을 인정하고, 이 사건에 있어서와 같이 동업자의 1인이 자금만 투자하고 다른 동업자가 노무와 설비를 투자하여 공사를 수급하여 시공하고 그 대금 등을 추심하는 등 일체의 거래행위를 담당하면서 그 이익을 나누어 갖기로 하는 내용의 동업계약이 체결되었다가 그 계약이 종료된 경우 위 공사시공 등 일체의 행위를 담당하였던 동업자가 자금만을 투자한 동업자에게 투자금원을 반환하고 또 이익또는 손해를 부담시키는 내용의 정산의무나 그 정산과정에서 행하는 채권의 추심과 채무의 변제 등의 행위는 모두 공사시공 동업자 자신의 사무이지 자금을 투자한 다른 동업자를 위하여 하는 타인의 사무라고 볼 수는 없다고 보아 피고인의 위 채권양도행위를 배임죄에 있어서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로서의 임무위배행위라고 할 수는 없다고 판단하여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하였다. 기록에 대조 검토하여 볼 때 원심의 위 사실인정은 옳다고 여겨지고, 또 피고인과 위 C가 소론이 주장하는 바와 같은 위임 또는 고용관계나 그 밖에 피고인이 동인의 재산보존행위에 협력하는 관계에 있었다고 보여지지 아니하므로 위 원심의 판단 또한 정당하며 거기에 소론이 주장하는 배임죄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최재호(재판장) 윤관 김주한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동업자, 마음대로 돈 쓰면 횡령죄?

동업자가 동업재산이나 그 매각대금을 마음대로 사용하면, 자신의 지분이 얼마든 상관없이 횡령죄로 처벌받는다. 손익분배가 아직 안 됐어도 마찬가지다.

#동업재산#횡령죄#지분 무관#전액 처벌

형사판례

동업자에게 돈 맡겼다가 떼였나요? 횡령죄 성립할 수 있습니다!

동업자가 공동사업 자금으로 마련한 나무를 팔아서 받은 돈을 마음대로 쓰면 횡령죄가 된다.

#동업#입목#매각대금#횡령죄

형사판례

동업자 횡령, 얼마나 처벌받을까?

동업 관계에서 아직 수익과 손실을 정산하지 않은 상태에서 동업자가 동업 재산을 마음대로 사용한 경우, 횡령죄가 성립하며 횡령액은 동업자가 마음대로 쓴 돈 전체입니다. 단순히 동업자에게 돌아갈 몫만 횡령액으로 계산하는 것은 잘못입니다.

#동업#재산횡령#횡령액#전체

형사판례

동업 파탄 후 자산 처분, 횡령죄일까?

동업 관계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동업자산을 혼자 처분했다고 횡령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건에서, 대법원은 횡령의 고의가 있었는지 제대로 판단하지 않았다며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다시 재판하도록 했습니다.

#동업자산#단독처분#횡령죄#고의

형사판례

동업자금 횡령, 어디까지 유죄일까?

건설 사업 시행사와 시공사가 동업계약을 맺고 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시행사 대표가 동업자금(부가가치세 환급금, 분양대금 등)을 회사 운영자금 등에 사용한 경우, 그 사용처가 동업과 관련된 비용이라면 횡령죄에서 요구하는 '불법영득의사'가 없을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즉, 동업자금을 다른 용도로 사용했더라도 동업을 위한 것이라면 횡령이 아닐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동업자금#횡령#불법영득의사#대법원

형사판례

돈 받아 처리해주기로 했는데 내 돈이야? 네 돈이야?

다른 사람의 일을 처리해주고 받은 돈을 마음대로 써도 횡령죄가 되는가? 돈을 받은 목적, 당사자 간 합의 내용, 정산 절차 유무 등에 따라 횡령죄 성립 여부가 달라진다.

#횡령죄#위탁금#소유권#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