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성년자의제강제추행

사건번호:

91도2713

선고일자:

1992012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의사의 소견서 등에 의하면 피고인의 범행시 심신미약의 상태라고 의심이 갈 뿐 아니라 그 항소이유서에 정신질환자라는 취지의 기재가 있음에도 원심이 심신장애 여부를 밝혀 봄에 이르지 아니하여 심리미진의 위법을 범했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의사의 소견서를 보면 피고인은 1989.1.부터 약 7개월 간 정신이상으로 국립정신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았고 1991.5. 이후로도 1년 이상의 치료를 요한다는 취지의 기재가 있고, 검사작성의 피고인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를 보면 피고인은 정신이상으로 국립정신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았는데 기억력이 약하고 언제 가출하였는지 숙식을 어떻게 해결하는지도 잘 모른다는 취지의 기재가 있는바, 이에 의하면 피고인은 이 사건 범행 당시 심신미약의 상태에 있었다고 의심이 갈 뿐만 아니라 피고인이 제출한 항소이유서를 보면 피고인은 정신질환자라는 취지의 기재가 있으므로 원심으로서는 피고인의 심신장애 여부를 밝혀 보았어야 함에도 이에 이르지 아니한 것은 그에 관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함으로써 판결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할 것이다.

참조조문

형법 제10조 제2항 , 형사소송법 제323조 제2항

참조판례

대법원 1983.7.26. 선고 83도1239 판결(공1983,1375) , 1984.2.14. 선고 84도2785 판결(공1984,474) , 1989.9.26. 선고 89도583 판결(공1989,1621)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서울형사지방법원 1991.10.1. 선고 91노4744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형사지방법원 본원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은 피고인이 이 사건 범행 당시 심신장애의 상태에 있지 아니하였다는 전제아래 피고인에게 유죄의 선고를 하였다. 그러나 의사 박광식 작성의 소견서를 보면 피고인은 1989. 1. 13.부터 같은 해 8. 8.까지 정신이상으로 국립정신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았고 1991. 5. 13. 이후로도 1년 이상의 치료를 요한다는 취지의 기재가 있고(수사기록 30정), 검사 작성의 피고인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를 보면 피고인은 정신이상으로 국립정신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았는데 기억력이 약하고 언제 가출하였는지 숙식을 어떻게 해결하는지도 잘 모른다는 취지의 기재가 있는 바(수사기록 39정, 40정), 이에 의하면 피고인은 이 사건 범행 당시 심신미약의 상태에 있었다고 의심이 갈 뿐만 아니라 피고인이 제출한 항소이유서를 보면 피고인은 정신질환자라는 취지의 기재가 있으므로 원심으로서는 피고인의 심신장애여부를 밝혀 보았어야 함에도 이에 이르지 아니한 것은 그에 관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함으로써 판결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준(재판장) 최재호 윤관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정신분열증 범죄, 심신미약만 고려하면 안될 수도 있다?

정신분열증으로 심신미약을 인정받은 피고인이 양형부당만을 항소이유로 주장했더라도, 법원은 심신상실 가능성을 고려하여 적극적으로 심리해야 한다.

#정신분열증#심신상실#심리의무#법원

형사판례

정신질환과 심신미약, 그 미묘한 경계

정신분열증과 같은 정신질환 병력이 있는 사람이 범죄를 저질렀을 때, 겉으로 보기에 정상적인 판단을 하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정신질환으로 인해 범행 충동을 억제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면 심신미약을 인정할 수 있다는 판례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과거 정신분열증 치료를 받았던 피고인의 성범죄에 대해 법원이 심신미약 여부를 제대로 판단하지 않았다며, 다시 심리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정신분열증#성범죄#심신미약#형법 제10조

형사판례

심신미약 주장, 제대로 살펴봤어야죠! - 강간살인 사건 파기 환송

피고인이 지적장애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는데도, 1심과 2심 법원이 이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판결을 내렸다는 이유로 대법원이 판결을 파기하고 다시 재판하라고 돌려보냈습니다.

#심신장애#지적장애#심신미약#재판

형사판례

정신질환과 심신미약, 어떻게 판단할까요?

단순히 정신적 장애가 있다고 해서 심신미약이 인정되는 것은 아니며, 범행 당시 사물변별능력과 행위통제능력이 얼마나 감소되었는지가 중요하다. 법원은 전문가 감정 없이도 여러 정황 증거를 통해 심신미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심신미약#정신장애#사물변별능력#행위통제능력

형사판례

정신질환과 심신미약, 그 미묘한 경계

정신분열증과 같은 정신질환을 가진 사람이 범행 당시 겉으로는 정상처럼 보여도, 정신질환 때문에 범행 충동을 억제하지 못했다면 심신미약으로 볼 수 있다는 판례입니다.

#정신분열증#심신미약#범행 충동 억제#형 감경

형사판례

정신질환 의심되는 피고인, 국선변호인 없이 재판받으면 무효!

정신질환이 의심되는 피고인은 제대로 된 변호를 받기 어려우므로, 법원은 반드시 국선변호인을 선정해줘야 합니다. 이 판례에서는 항소심에서 정신질환 의심 피고인에게 국선변호인을 선정해주지 않아 재판이 무효가 된 사례를 다룹니다.

#정신질환 의심 피고인#국선변호인 선정#항소심 무효#방어권 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