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가치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2누17761

선고일자:

199307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납세고지서의 과세귀속연도를 잘못 기재하였으나 심사청구 직후 착오기재에 대한 정정통지를 함으로써 과세처분의 하자가 치유되었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납세고지서의 과세귀속연도를 잘못 기재하였으나 심사청구 직후 착오기재에 대한 정정통지를 함으로써 과세처분의 하자가 치유되었다고 본 사례.

참조조문

국세징수법 제9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성수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2.10.16. 선고 92구361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1991.4.1.경 세액의 산출근거란 중 과세귀속연도를 1991년으로 기재한 납세고지서를 원고에게 송달하였는데 원고가 1991.5.30.자로 심사청구를 한 이후 위 과세귀속연도의 기재가 착오임을 발견하고 그 해 6.1.경 원고에게 과세귀속연도를 1990년으로 정정한다고 통지한 사실, 그러나 피고가 이 사건 부과처분에 앞서 1991.3.6. 원고에게 1990년 귀속분 부가가치세결정전 조사내용을 통지하였고 이에 대하여 원고가 실지매출누락 금액은 금 49,702,570원에 불과하다는 취지로 해명한 사실을 각 적법하게 확정한 다음, 위 통지와 이에 대한 원고의 해명이 있음을 고려할 때 피고가 납세고지서의 산출근거란 중 과세귀속연도를 1991년으로 잘못 기재한 것만으로는 조세행정의 공정을 해하고 원고에게 이 사건 부과처분에 대한 불복여부의 결정과 불복신청에 지장을 주었다고 단정할 수 없고 또한 원고의 심사청구 직후 피고가 위 착오기재에 대한 정정통지를 행함으로써 위 과세처분의 하자는 치유되었다고 볼 수 있다고 판단하였는바, 기록에 대조하여 살펴볼 때 원심의 위 인정과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국세징수법 제9조 제1항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2.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거시증거에 의하여, 피고가 이 사건 부과처분의 근거로 삼은 과세자료는 원고의 경리직원인 소외인이 작성하여 원고의 사업장 내에 비치하는 장부로서 이는 매월말을 기준으로 하여 월별로 작성되었고 각각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합계잔액시산표, 상품재고명세서, 가지급금명세서, 인출금명세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기장방식과 체제상 실제의 거래내용을 기재한 장부인 것으로 보이는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고가 부가가치세법 제21조, 국세기본법 제16조 제1항의 각 규정에 따라 진실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원고의 장부를 근거로 하여 실지매출액과 매출누락금액을 적출한 것은 적법하고 더 나아가 원고가 거래처로부터 매입한 상황에 관하여 거래처의 장부를 조사하여 진실을 규명할 필요까지는 없다고 할 것이라고 판단하여, 원고의 거래처로부터 원고의 매입상황을 검토하여 원고의 매입누락을 확인한 다음 원고에게 매출누락이 있다고 인정하여야 할 것이라는 원고의 주장을 배척하였는 바, 기록에 대조하여 살펴볼 때 위 인정 판단은 이를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증거 없이 사실을 인정한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천경송(재판장) 윤관 김주한(주심)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세금 부과, 잘못된 부분만 고칠 수 있을까?

세금 부과 처분에 절차상 하자가 있더라도, 하자 있는 부분만 감액하는 경정처분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세금#감액경정처분#절차상하자#시정

세무판례

세금 고지서, 이름 잘못 쓰면 무효?! 납세의무자 표시의 중요성

세금 고지서에 세금을 내야 할 사람(납세의무자)을 잘못 적으면, 실제 납세의무가 없는 사람에게 세금을 부과한 것이 되어 위법합니다. 세무서가 나중에 "실수였고, 실제 납세의무자는 다른 곳이다"라고 주장해도 소용없습니다. 고지서에 적힌 그대로 판단합니다.

#납세고지서#납세의무자#오기#과세처분

세무판례

세금 고지서, 제대로 써야 효력 있어요! (부과근거, 세율 등 필수!)

세금 고지서에 세율, 적용 법조 등 필수 기재사항을 빠뜨리면, 세금 부과 자체가 위법이 될 수 있습니다. 납세자는 고지서만 보고도 어떤 이유로 얼마의 세금을 내야 하는지 알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세금고지서#필수기재사항#세율#적용법조

세무판례

세금 더 내라고 했는데, 원래 세금 부과 자체가 잘못된 거라면?

세금 부과 처분이 증액된 경우, 처음 부과된 세금과 증액된 세금에 대한 위법 사유가 동일하다면, 처음 부과된 세금에 대한 불복 절차만으로도 증액된 세금에 대한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며, 제소기간은 처음 소송을 제기한 날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증액경정처분#행정소송#제소기간#동일 위법사유

세무판례

세금 고지서, 이름만 같다고 다 되는 거 아닙니다!

납세고지서에 이름은 맞지만 주민등록번호와 주소가 틀리게 적혀있으면, 나중에 세무서에서 정정한다고 해도 세금 부과는 무효입니다.

#납세고지서#납세자 정보 오류#과세처분 무효#주민등록번호

세무판례

상속세 연부연납, 납세고지서 받았다면 꼼꼼히 확인하세요!

할부로 내기로 한 세금(연부연납)에 대한 납부 고지서는 단순히 납부 시기와 금액을 알려주는 안내문이 아니라, 법적인 효력을 가지는 징수 처분이므로, 이에 이의가 있을 경우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연부연납#세금#납부고지서#행정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