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명도

사건번호:

92다12827

선고일자:

199207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강제경매에 의하여 경락된 주택의 임차인이 당해 경매절차에서 권리신고를 하여 소액보증금의 우선변제를 받는 절차를 취하지 아니한 경우 경락인에게 그 임대차로써 대항할 수 없다거나 임차보증금반환채권을 포기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의 규정에 의하면 임대차는 그 등기가 없는 경우에도 임차인이 주택의 인도와 주민등록 또는 전입신고를 마친 때에는 대항력이 발생하고 이 경우에 임차주택의 양수인은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한 것으로 보도록 되어 있는바, 위 임차주택의 양도에는 강제경매에 의한 경락의 경우도 포함되는 것이므로, 임차인이 당해 경매절차에서 권리신고를 하여 소액보증금의 우선변제를 받는 절차를 취하지 아니하였다고 하여 임차주택의 경락인에게 그 임대차로써 대항할 수 없다거나 임차보증금반환채권을 포기한 것으로 볼 수는 없다.

참조조문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8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6.7.22. 선고 86다카466,467,468,469 판결(공1986,1104), 1987.2.10. 선고 86다카2076 판결(공1987,426)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겸 피상고인】 【피고, 피상고인겸 상고인】 【원심판결】 대구지방법원 1992.2.21. 선고 91나5370 판결 【주 문】 각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상고인 각자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1. 원고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이 원고가 이 사건 건물을 경락받아 그 대금을 납부하여 소유권을 취득한 사실을 인정함에 있어 그 경락대금이 얼마인지를 판단하지 않았다고 하여도 이는 주요사실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판결결론에 영향이 있는 판단유탈이라고 볼 수 없다. 이 점 논지는 이유 없다. 또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의 규정에 의하면 임대차는 그 등기가 없는 경우에도 임차인이 주택의 인도와 주민등록 또는 전입신고를 마친 때에는 대항력이 발생하고 이 경우에 임차주택의 양수인은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한 것으로 보도록 되어 있는바, 위 임차주택의 양도에는 강제경매에 의한 경락의 경우도 포함되는 것이므로, 임차인이 당해 경매절차에서 권리신고를 하여 소액보증금의 우선변제를 받는 절차를 취하지 아니하였다고 하여 임차주택의 경락인에게그 임대차로서 대항할 수 없다거나 임차보증금반환채권을 포기한 것으로 볼 수는 없는 것이다. 같은 취지로 판단한 원심판결은 정당하고 소론과 같이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임차인의 대항력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으니 이점 논지도 이유 없다. 2. 피고들의 상고이유를 본다. 기록에 의하여 원심이 취사한 증거관계를 살펴보면 피고 1의 임차보증금이 3,000,000원이고 피고 2의 임차보증금이 6,000,000원이라고 인정한 원심판단에 수긍이 가고 거기에 소론과 같이 채증법칙을 위반한 증거취사로 사실을 오인한 위법이 없으므로 논지는 이유 없다. 3. 그러므로 원고와 피고들의 각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만운(재판장) 이회창 김석수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내 전세집이 경매에 넘어갔어요! 😱 임대차 계약은 어떻게 되나요?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로 대항력을 갖춘 임차인, 특히 최우선변제권보다 앞선 대항력이라면 경매 진행 시에도 계약 해지 없이 배당요구를 통해 보증금을 돌려받고, 새 집주인에게 계약을 주장하여 계속 거주할 수 있다.

#전세#경매#대항력#배당요구

상담사례

경매 넘어간 우리 집, 나가야 하나요? 😰 배당요구와 대항력, 꼭 알아두세요!

세입자가 경매 과정에서 보증금 배당요구를 하면 임대차 계약 종료를 전제로 한 것으로 간주되어 나중에 낙찰자에게 대항력을 행사할 수 없다.

#경매#세입자#배당요구#대항력

민사판례

경매로 집이 넘어갈 때 세입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

전세나 월세로 살던 집이 경매로 넘어가면, 세입자(임차인)는 계약을 해지하고 보증금을 우선적으로 돌려받을 권리(우선변제권)가 있습니다. 경매 과정에서 배당을 요구하는 것 자체가 계약 해지 의사를 밝힌 것으로 인정됩니다.

#임차주택 경매#임차인#계약해지권#우선변제권

민사판례

경매로 집 샀는데, 세입자가 안 나간다고?

경매에서 세입자가 배당받을 것으로 예상되어 낙찰자가 보증금 부담 없이 낙찰받았는데, 세입자가 배당을 못 받게 되더라도 낙찰자에게 대항력을 주장하여 집을 비워주지 않겠다고 할 수는 없다.

#경매#낙찰자#임차인#배당

민사판례

전세보증금 못 돌려받았을 때, 집 팔려도 계속 살 수 있을까?

세입자가 전세금을 다 돌려받지 못했더라도, 집주인이 바뀌어도 계속 살 수 있다. 은행이 세입자의 보증금반환채권을 사들여 경매에서 일부만 배당받았더라도 마찬가지다.

#전세보증금#일부배당#대항력 유지#세입자 거주권

상담사례

경매 낙찰받았는데, 세입자가 안 나가요?! 대항력 주장? 안될 수도 있습니다!

세입자가 근저당권자에게 무상거주확인서를 써주고 경매에서 보증금을 못 받았다면, 낙찰자에게 대항력 주장은 신의칙 위반으로 어렵다.

#경매#세입자#대항력#무상거주확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