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부금

사건번호:

92다54272

선고일자:

199306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어음사고신고와 함께 어음금 상당 금원을 별단예금으로 예치한 경우 어음소지인이 정당한 권리자가 아니라고 판명되기 전에 은행이 어음발행인에게 이를 반환하거나 별단예금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하여 상계한 조치의 적부(소극)

판결요지

약속어음의 채무자가 지급은행에 사고신고와 함께 어음금의 지급정지를 의뢰하면서 어음금액에 해당하는 금원을 별단예금으로 예치한 경우 그 별단예금은 어음채무자가 지급은행에 하는 예금의 일종이기는 하지만 일반의 예금채권과는 달리 부도제재회피를 위한 사고신고의 남용을 방지함과 아울러 어음소지인의 어음상의 권리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당해 어음채권의 지급을 담보하려는 데 그 제도의 취지가 있는 것이므로 예치받은 은행으로서는 어음소지인이 정당한 권리자임이 판명된 경우에는 그에게 이를 지급하는 것이 원칙이고, 어음소지인이 정당한 권리자가 아니라고 판명되기도 전에 이를 함부로 어음발행인에게 반환하거나 그에 대한 반대채권과 상계하는 것은 사고신고담보금을 별단예금으로 예치하게 한 목적이나 취지에도 어긋난다 할 것이어서 이와 같은 별단예금채권을 압류한 당해 어음채권자에 대한 관계에 있어서 그 예금을 수동채권으로 하는 은행의 상계는 상계에 관한 권리를 남용하는 것이 되어 그 효력을 인정할 수 없다.

참조조문

민법 제492조, 제702조, 제2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9.1.31. 선고 87다카800 판결(공1989,337), 1992.10.27. 선고 92다25540 판결(공1992,3282)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주식회사 한미은행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재후 외 1인 【원심판결】 서울민사지방법원 1992. 10. 27. 선고 92나2208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피고소송대리인들의 상고이유를 본다. 약속어음의 채무자가 어음의 분실, 도난 등을 이유로 지급은행에 사고신고와 함께 그 어음금의 지급정지를 의뢰하면서 그 어음금액에 해당하는 금원을 별단예금으로 예치한 경우, 그 별단예금은 어음채무자가 지급은행에 하는 예금의 일종이기는 하지만 이는 일반의 예금채권과는 달리 부도제재회피를 위한 사고신고의 남용을 방지함과 아울러 어음소지인의 어음상의 권리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당해 어음채권의 지급을 담보하려는 데 그 제도의 취지가 있는 것이므로 이를 예치받은 은행으로서는 어음소지인이 정당한 권리자임이 판명된 경우에는 그에게 이를 지급하는 것이 원칙이고, 어음소지인이 정당한 권리자가 아니라고 판명되기도 전에 이를 함부로 어음발행인에게 반환하거나 그에 대한 반대채권과 상계하는 것은 사고신고담보금을 별단에금으로 예치하게 한 목적이나 취지에도 어긋난다 할 것이어서 이와 같은 별단예금채권을 압류한 당해 어음채권자에 대한 관계에 있어서 그 예금을 수동채권으로 하는 은행의 상계는 상계에 관한 권리를 남용하는 것이 되어 그 효력을 인정할 수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당원 1989.1.31. 선고 87다카800 판결; 1992.10.27. 선고 92다25540 판결 각 참조). 따라서 사실관계가 원심이 적법하게 확정한 바와 같다면 원고가 최종소지인으로서 지급기일에 지급을 위한 제시를 한 바 있는 이 사건 어음의 발행인인 소외 대일산기주식회사가 지급은행인 피고 은행에 사고계를 제출하여 지급정지를 의뢰하면서 어음부도의 제재를 면하기 위하여 사고신고담보금으로 예치한 별단예금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하고 위 소외 회사에 대한 피고 은행의 대출금채권을 자동채권으로 한 피고 은행의 상계권행사는, 위 어음금채권에 기하여 위 별단예금채권에 대한 압류 및 전부명령을 받은 이 사건 어음의 소지인인 원고에 대한 관계에 있어서는 권리남용에 해당하여 그 효력이 없다 할 것이므로 같은 취지의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상계 및 권리남용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주한(재판장) 윤관 김용준 천경송(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사고신고담보금, 은행 마음대로 못 써요!

어음 분실 시 발행인이 은행에 예치한 별단예금은 어음 소지인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므로, 은행은 함부로 발행인에게 돌려주거나 다른 채권과 상계할 수 없다. 특히, 은행의 잘못으로 소지인이 권리 행사에 어려움을 겪었다면 더욱 그렇다.

#어음분실#별단예금#상계금지#소지인보호

민사판례

부도난 어음, 은행 마음대로 돈 처리하면 안 돼요!

어음 발행인이 부도를 막기 위해 은행에 예치한 '사고신고담보금'은 어음 소지인(돈 받을 사람)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므로, 은행은 함부로 발행인에게 돌려주거나 다른 채권과 상계 처리할 수 없습니다. 어음 소지인이 정당한 권리자로 확인되면 그에게 지급해야 합니다.

#어음#부도#사고신고담보금#상계

민사판례

부도어음 사고신고담보금, 누구에게 돌아갈까요?

어음 사고신고 후 예치된 담보금은 어음 소지인이 정당한 권리자로 확인되면 소지인에게 돌려줘야 하며, 은행이 임의로 발행인과 상계처리하는 것은 권리남용이다.

#사고신고담보금#반환#은행#상계권

상담사례

어음 부도났는데, 내 돈은 어디에? 이자는? 😰

어음 발행인이 사고신고담보금을 은행에 예치했다 하더라도, 어음 소지인에게 원금, 이자,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면제되는 것은 아니다.

#어음부도#사고신고담보금#이자#지연손해금

상담사례

부도난 어음, 사고신고담보금 받을 수 있을까?

어음 부도 시, 발행인이 예치한 사고신고담보금은 수취인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므로 은행은 임의로 처리할 수 없고, 수취인이 소송에서 승소하면 담보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

#어음부도#사고신고담보금#권리보호#은행상계불가

민사판례

부도어음 사고신고, 은행은 누구에게 돈을 돌려줘야 할까?

어음 발행인이 부도를 막기 위해 은행에 예치한 사고신고담보금은 어음 소지인이 정당한 권리자임이 확인되면 은행은 소지인에게 언제든지 반환해야 합니다. 어음교환소 규약에 따른 6개월 기간 제한은 은행이 발행인에게 반환해도 문제없다는 것이지, 소지인의 권리를 소멸시키는 것은 아닙니다.

#사고신고담보금#어음#소지인#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