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임

사건번호:

92도1046

선고일자:

199210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부동산 매도인인 피고인이 당초계약의 내용에 없는 새로운 요구조건을 내세우는 매수인에게 계약을 이행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것이 무리가 아니라고 보이므로 계약이 적법히 해제되었는지 여부에 관계 없이 매매목적부동산에 관하여 제3자 앞으로 가등기를 경료한 피고인에게 배임의 범의가 없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부동산 매도인인 피고인이 당초계약의 내용에 없는 새로운 요구조건을 내세우는 매수인에게 계약을 이행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것이 무리가 아니라고 보이므로 계약이 적법히 해제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매매목적부동산에 관하여 제3자 앞으로 가등기를 경료한 피고인에게 배임의 범의가 없다고 본 사례.

참조조문

형법 제13조, 제355조 제2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원심판결】 제주지방법원 1992.4.3. 선고 91노144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제주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피고인 변호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판결이 유지한 1심판결은 피고인이 1988.4.15. 제주시 연동 소재 C 호텔에서 피해자 D와의 사이에 피고인 소유인 제주시 E 지상 시장건물의 지하실 1246.18평방미터에 대한 2분의 1 공유지분과 피고인이 대표이사로 있는 F주식회사 소유인 위 토지 및 위 시장건물 2층과 3층에 대한 2분의 1 공유지분 및 위 주식회사의 주식 4,500주를 대금 360,000,000원에 매도하기로 하면서 그 대금 중 200,000,000원은 같은 달 22. 지급받고 그와 동시에 위 각 공유지분에 관하여 이전등기를 마쳐 주며 잔금 160,000,000원은 같은 해 5. 11. 지급받기로 약정하였고, 같은 달 23. 위 시장건물 안에 있는 F 주식회사 사무실에서 위 피해자와 사이에 위와 같은 매매계약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만 위 잔금에서 위 시장건물의 임대보증금 100,000,000원을 공제하기로 재차 약정하여 같은 날 위 피해자로부터 위 200,000,000원을 지급받았으므로, 피고인으로서는 위 약정에 따라서 위 피해자에게 위 시장건물 지하실에 대한 2분의 1 공유지분에 관하여 이전등기를 마쳐 주어야 할 임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위배하여 같은 해 6.18. 제주시 소재 제주지방법원에서 피고인이 공소외 G에 대하여 부담하고 있던 20,000,000원의 차용금채무의 담보를 위하여 위 법원 접수 제28458호로 위 시장건물 지하실에 관하여 위 G 앞으로 소유권이전청구권 가등기를 마쳐 줌으로써 위 지하실 대금 상당의 재산상 이익을 취득하여 위 피해자에게 동액 상당의 손해를 가한 사실을 인정하고 피고인을 배임죄로 의율처단하였다. 2. 그러나 1, 2심이 채용한 증인 H의 증언과 수사기록 82면에 편철된 서면의 기재에 의하면 피해자 송정웅는 잔대금 지급기일이 5일이나 지난 1988.5.16.경 위 정기진를 통하여 피고인에게 피고인이 보성실업주식회사의 기존채무를 먼저 해결하지 않으면 잔대금을 지급할 수 없고 동업도 할 수 없다고 하면서 당초의 매매계약내용에 없었던 요구조건을 기재한 서면을 제시하였는데, 그 서면에는 1 내지 5항으로 요구조건을 기재하고 6항에서 “수락이 안될 경우 본인의 지분을 인수요망”이라고 기재되어 있었던 사실과 피고인은 위 송정웅의 위와 같은 요구조건을 수락할 수 없다 하여 거부한 사실이 인정되고, 한편 역시 1, 2심이 채용한 위 D의 1심증언에 의하면 피고인이 1988.5.25.경 위 송정웅에게 그 해 11.말까지 지급받은 일부 대금 및 손해금으로 240,000,000원을 돌려 주겠다고 통지한 사실이 인정되는바, 위 인정사실에 의하면 위 송정웅가 1988. 5. 16.자로 피고인에게 한 의사표시의 내용은 피고인이 위 송정웅의 요구조건을 수락하지 않을 때에는 당초의 계약이행(잔대금지급)을 거부하겠다는 의사를 명시한 것일 뿐 아니라 요구조건이 수락되지 않는 한 계약을 해제하겠다는 의사까지도 포함된 것으로 볼 여지가 있었으므로, 피고인으로서는 새로운 요구조건을 내세우는 위 송정웅에게 당초계약을 이행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보았을 것이고 또 피고인이 그 요구조건을 거부한 이상계약은 해제되어 이미 수령한 대금 및 손해금의 반환의무만이 남는 것으로 판단하였다고 하여도 무리가 아니라고 할 것이다. 그렇다면 피고와 위 송정웅사이의 계약이 적법히 해제된 여부는 별론으로 하고 그 후 피고인이 이 사건 가등기를 경료함에 있어서 배임의 범의가 있었다고 보기 어려울 것이므로, 원심으로서는 이 점에 관하여 좀더 세밀하게 검토해 보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 점을 간과한 채 피고인을 유죄로 판단한것은 증거가치의 판단을 그르치고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을 저지른 것으로서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 있다. 3.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하고 원심판결을 파기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석수(재판장) 이회창 배만운 최종영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땅 팔고 건물 철거 약속했는데, 갑자기 가등기? 배임죄일까?

땅과 그 위 건물을 함께 판매하면서 잔금을 받으면 건물을 철거해주기로 약속한 판매자가 잔금 수령 전에 제3자에게 건물에 대한 가등기를 설정해 준 경우, 판매자에게 배임죄가 성립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이 판결에서는 판매자에게 배임의 고의가 없었다고 판단하여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토지매매#건물철거#배임죄#가등기

형사판례

부동산 이중매매, 배임죄로 처벌될 수 있다!

부동산 매매계약에서 중도금까지 지급된 후 매도인이 다른 사람에게 이중매매를 하는 경우 배임죄가 성립한다. 매수인에게 가등기를 해주었다고 하더라도 배임죄 성립에는 영향이 없다.

#부동산#이중매매#배임죄#중도금

형사판례

사기죄와 배임죄, 어떤 죄가 적용될까? - 아파트 가등기 말소 사건 분석

아파트 소유자가 가등기권자를 속여 가등기를 말소하게 한 후 제3자에게 근저당권을 설정해준 경우, 사기죄는 성립하지만 배임죄는 성립하지 않는다.

#사기죄#배임죄#가등기#담보

상담사례

부동산 샀는데 잔금 안 내고 다른 데 돈 빌려줬다고 배임죄? 🤔

부동산 매매에서 매수인이 잔금을 안 내고 다른 곳에 담보로 제공했더라도 매도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신임관계가 아니므로 배임죄는 성립하지 않는다.

#부동산#매매잔금#배임죄#신임관계

형사판례

부동산 이중매매와 배임죄

이미 땅을 판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또 팔고 소유권 이전을 위한 가등기까지 해줬다면, 배임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이중매매#가등기#배임죄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계약 해제 시 가등기 말소 약정, 담보가등기일까?

매매계약을 해제하고 매매대금을 돌려주기로 하면서 가등기를 말소하기로 약속했다고 해서 그 가등기가 저당권과 같은 담보가등기로 바뀌는 것은 아닙니다.

#가등기#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매매계약 해제#담보가등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