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초과이득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3누2469

선고일자:

199602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가압류, 가처분이나 소송계속중인 토지가 법령에 의하여 사용이 금지·제한된 토지인지 여부(소극) [2] 헌법재판소의 결정에서 위헌이라고 지적된 과세표준과 세율을 개정하고 과세표준 산정에 있어서의 기본공제를 신설한 토지초과이득세법 제11조의2, 제12조가 소급하여 적용될 수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1] 토지에 관하여 가압류 및 처분금지가처분이 되어 있다거나 증여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소송이 계속중이라는 사유는 토지초과이득세법 제8조 제3항 소정의 법령의 규정으로 인한 사용의 금지가 있은 경우 등에 해당하지 아니한다. [2] 헌법재판소는 1994. 7. 29. 92헌바49, 52(병합)사건에서 구 토지초과이득세법에 대하여 헌법에 합치되지 아니한다는 결정을 하였고, 이에 따라 국회는 1994. 12. 22. 법률 제4807호로 위 헌법불합치결정에서 위헌이라고 지적한 세율조항을 개정하고( 제12조), 과세표준을 계산할 때에 당해 과세기간의 토지초과이득에서 금 2,000,000원을 공제하도록 하는 기본공제 규정도 신설하였는바( 제11조의2), 위 개정조항은 당해사건과 마찬가지로 이 사건에도 소급하여 적용된다.

참조조문

[1] 토지초과이득세법 제8조 제3항/ [2] 토지초과이득세법 제11조의2, 제12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4. 3. 25. 선고 93누17591 판결(공1994상, 1367), 대법원 1996. 1. 23. 선고 95누2333 판결(공1996상, 688), 대법원 1996. 1. 26. 선고 93누17911 판결(공1996상, 814) /[2] 대법원 1995. 7. 28. 선고 94다20402 판결(공1995하, 2963), 대법원 1995. 10. 13. 선고 93누7051 판결(공1995하, 3818), 대법원 1995. 10. 13. 선고 93누11661 판결(공1995하, 3820), 대법원 1995. 11. 10. 선고 92누18122 판결(공1995하, 3945), 헌법재판소 1994. 7. 29. 선고 92헌바49, 52 결정(관보 제12792호 제36면)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강남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2. 12. 4. 선고 92구19363 판결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하여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유】 1. 상고이유를 본다. 가. 상고이유 제1점에 관한 판단 원심이, 토지에 관하여 가압류 및 처분금지가처분이 되어 있다거나 증여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소송이 계속중이라는 사유는 토지초과이득세법 제8조 제3항 소정의 법령의 규정으로 인한 사용의 금지가 있은 경우 등에 해당하지 아니한다 고 판단하였음은 옳고, 거기에 논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논지는 이유가 없다. 나. 상고이유 제2점에 관한 판단 논지는 원심에서 주장하지도 아니한 사실을 전제로 원심판결에 납세의무자에 대한 채증법칙을 위반한 위법이 있다고 비난하는 것에 지나지 아니하여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없다. 논지도 이유가 없다. 2. 다만 직권으로 살피건대, 헌법재판소는 1994. 7. 29. 92헌바49, 52(병합)사건에서 구 토지초과이득세법에 대하여 헌법에 합치되지 아니한다는 결정을 하였고, 이에 따라 국회는 1994. 12. 22. 법률 제4807호로 위 헌법불합치결정에서 위헌이라고 지적한 세율조항을 개정하고( 법 제12조), 과세표준을 계산할 때에 당해 과세기간의 토지초과이득에서 금 2,000,000원을 공제하도록 하는 기본공제 규정도 신설하였는바( 법 제11조의2), 위 개정조항은 당해사건과 마찬가지로 이 사건에도 소급하여 적용되는 것 이어서, 이 점에서 원심판결은 결과적으로 과세표준과 세율에 대한 법령의 적용을 그르쳐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으므로 파기를 면할 수 없다 할 것이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직권으로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정귀호(재판장) 김석수 이돈희 이임수(주심)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땅에 대한 세금, 토지초과이득세,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유휴토지, 공유토지 관련)

헌법 불합치 결정에 따른 토지초과이득세법 개정안 적용 범위, 토지 사용 제한 해제 시 유휴토지 제외 기간, 공유토지에 대한 토지초과이득세 기본공제 횟수에 대한 판결

#토지초과이득세#헌법불합치#법개정#소급적용

세무판례

토지초과이득세, 무허가 건축물, 그리고 기준시가: 땅값 상승에 따른 세금,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건축허가가 취소된 건물이라도 재산세 과세대장에 등록되어 있고 1989년 12월 31일 이전에 지어졌다면 토지초과이득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토지초과이득세#건축허가취소#무허가건물#재산세 과세대장

세무판례

토지초과이득세, 위헌 논란과 세율 개정의 소급 적용

헌법재판소가 토지초과이득세법 일부 조항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린 후 개정된 세율과 기본공제 조항은 이전 판결에도 소급 적용된다.

#토지초과이득세#헌법불합치#세율#기본공제

민사판례

헌법불합치 결정에 따른 토지초과이득세 환급

헌법에 맞지 않는 옛날 토지초과이득세법 때문에 미리 낸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을까요? 네,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새로운 법은 납세자에게 유리하면 과거 사건에도 적용되고, 위헌적인 부분이 삭제된 만큼 미리 낸 세금도 전액 환급받아야 합니다.

#토지초과이득세#위헌#세금환급#전액환급

세무판례

토지초과이득세, 쟁점은 무엇일까?

헌법불합치 결정 이후 개정된 토지초과이득세법의 소급적용, 임대 및 농지 여부 판단 오류, 주택 부속토지 산정 방법 등에 대한 판결

#토지초과이득세#헌법불합치#소급적용#임대토지

세무판례

땅값 오르면 세금 더 내야지? 당연한 거 아닌가요? (토지초과이득세)

헌법재판소 결정에 따라 토지초과이득세법이 개정되었을 때, 개정된 법률은 이전 사건에도 소급 적용된다. 특히, 토지 기준시가를 정하는 부분은 법 개정 전에도 같은 취지로 해석되었으므로, 개정 법률은 이를 명확히 한 것에 불과하다.

#헌법불합치#토지초과이득세법#개정#소급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