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소득세등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3누4120

선고일자:

199312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구 소득세법(1990.12.31. 법률 제428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3조 제4항, 제45조 제1항 제1호, 같은법시행령(1990.12.31. 대통령령 제1319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70조 제4항 제2호 (다)목의 규정취지 및 같은 목 소정의 투기성이 없다는 점에 대한 입증책임

판결요지

구 소득세법(1990.12.31. 법률 제428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3조 제4항, 제45조 제1항 제1호, 같은법시행령(1990.12.31. 대통령령 제1319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70조 제4항 제2호 (다)목의 규정취지는 위 시행령 조항에서 열거하고 있는 투기거래의 유형에 해당되면 일단 투기거래에 해당된다고 추정되나 당해 부동산 거래에 있어서 취득·양도경위와 이용실태 및 보유기간 등 구체적 사정에 비추어 당해 거래가 지극히 정상적인 경제행위로서 투기성이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공정과세위원회의 자문을 거쳐 위 시행령 단서의 규정에 따라 실지거래가액의 적용에서 제외시키고 기준시가에 의한 과세원칙으로 돌아가 기준시가에 의하여 양도차익을 산정하여야 하고, 투기성이 없다는 점에 대한 입증책임은 납세자가 부담한다.

참조조문

구 소득세법 (1990.12.31. 법률 제428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3조 제4항, 제45조 제1항 제1호, 같은법시행령 (1990.12.31. 대통령령 제1319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70조 제4항 제2호 (다)목

참조판례

대법원 1992.7.14. 선고 92누619 판결(공1992,2449), 1993.3.23. 선고 92누7818 판결(공1993상,1314), 1993.5.11. 선고 92누14984 판결(공1993하,1740)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겸 피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겸 상고인】 효제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3.1.13. 선고 91구24566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각자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1. 원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구 소득세법(1990.12.31. 법률 제428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3조 제4항, 제45조 제1항 제1호에 의하면, 부동산의 양도차익을 계산함에 있어서 취득 및 양도가액은 원칙적으로 기준시가에 의하되,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우에는 실지거래가액에 의한다고 규정하고, 그 위임에 따라 제정된 구 소득세법시행령(1990.12.31. 대통령령 제1319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70조 제4항 제2호 (다)목에 의하면, 부동산을 취득한 후 1년 이내에 양도한 경우는 실지거래가액에 의하여 양도차익을 산정하고, 다만 부동산의 취득·양도경위와 이용실태 등에 비추어 투기성이 없는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제9항의 규정에 의한 공정과세위원회의 자문을 거쳐 실지거래가액의 적용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위 각 규정의 취지는 위 시행령 조항에서 열거하고 있는 투기거래의 유형에 해당되면 일단 투기거래에 해당된다고 추정되지만 당해 부동산의 거래에 있어서 취득·양도경위와 이용실태 및 보유기간 등 구체적인 사정에 비추어 당해 거래가 지극히 정상적인 경제행위로서 투기성이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공정과세위원회의 자문을 거쳐 위 시행령 단서의 규정에 따라 실지거래가액의 적용에서 제외시키고 기준시가에 의한 과세원칙으로 돌아가 기준시가에 의하여 양도차익을 산정하여야 하는 것으로 해석함이 상당하고( 당원 1992.7.14. 선고 92누619 판결; 당원 1993.5.14. 선고 92누17778 판결 등 참조), 투기성이 없다는 점에 대한 입증책임은 납세자인 원고가 부담한다고 할 것이다. 소론과 같이 원고가 1976.1.29. 소외인으로부터 이 사건 토지외 2필지를 매수하여 계약금 및 중도금만을 지급한 상태에서 위 매매에 관한 분쟁이 발생하자 위 소외인을 상대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의 소를 제기하여 1989.10.27. 원고승소로 확정되고, 그 판결에 따라 1989.11.28. 잔대금을 변제공탁한 뒤 1990.2.12.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받았으나 원심판시와 같이 그 대부분을 위 변제공탁일전에 양도하고 그 대금을 청산하였고, 나머지는 위 변제공탁일로부터 1990.2.13. 사이에 양도하고 그 대금을 청산하였기 때문에 이 사건 토지의 취득시기가 위 변제공탁일인 1989.11.28.이고, 그 양도시기는 1989.11.28.부터 1990.2.13. 사이로 되었다고 하더라도, 이는 위 시행령 규정 소정의 취득후 1년 이내에 양도한 경우에 해당하여 투기거래로 추정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고, 이 사건 기록에 의하여도 이 사건 토지거래가 특히 투기성이 없는 것이라고 인정할 만한 자료도 찾아 볼 수 없으므로 같은 취지에서 이 사건 토지거래에 대하여 실지거래가액에 의하여 양도차익을 계산한 것이 적법하다는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2. 피고소송수행자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이 사건 기록에 대조하여 볼 때, 원고가 소외 1로부터 2차례에 걸쳐 금 105,000,000원을 차용하고 이 사건 토지 중 2필지를 대물변제하였다는 원심의 사실인정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심리미진이나 채증법칙을 위반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각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준서(재판장) 김상원 윤영철(주심) 박만호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1년 안에 땅 팔았다고 무조건 투기꾼? 억울한 세금은 이렇게 피하세요!

1년 안에 부동산을 팔았을 때, 양도소득세 계산은 실제 거래가격으로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투기 목적이 없었다면 기준시가로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토지등급에 대한 이의가 있을 경우에는 정해진 불복 절차를 따라야 하며, 바로 세금 부과 처분에 대해 다툴 수 없다.

#부동산 양도#양도소득세#1년#기준시가

세무판례

1년 안에 부동산 팔았다면? 투기 목적 따지지 않고 실거래가로 세금 계산!

부동산을 산 뒤 1년 안에 팔았다면, 투기 목적이 있었는지 따지지 않고 실제 거래 가격으로 양도소득세를 계산한다.

#부동산#양도세#1년#실거래가

세무판례

부동산 1년 안에 팔았다면? 양도세 계산, 투기 목적 상관없이 실거래가로!

1년 안에 산 부동산을 다시 팔았을 때 양도소득세는 실제 거래된 가격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하며, 투기 목적이 있었는지는 따지지 않습니다.

#양도소득세#실거래가#1년이내양도#투기목적고려배제

세무판례

부동산 1년내 양도시 투기 목적 없어도 세금 부과 가능?

1년 이내에 부동산을 되팔았을 경우, 투기 목적이 없더라도 세금을 부과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관련 국세청 규정이 조세법률주의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부동산#양도세#1년#투기목적

세무판례

1년 안에 부동산 팔았다면? 실거래가로 세금 계산하세요!

1년 안에 부동산을 되팔았을 경우, 세금 신고 기간 내에 실거래가 증빙서류를 제출하지 못했더라도, 소송 중에라도 증빙자료를 제출하면 실거래가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할 수 있다.

#부동산#양도세#실거래가#기준시가

세무판례

부동산 투기거래에서 실거래가보다 기준시가가 유리하다면?

부동산을 투기 목적으로 단기간에 사고팔았더라도, 실제 거래가격으로 계산한 양도소득세가 기준시가로 계산한 것보다 적으면 기준시가를 적용하여 세금을 부과할 수 있다.

#부동산#단기매매#양도소득세#실거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