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수용재결처분취소

사건번호:

93누8108

선고일자:

199401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초과수용의 효과

판결요지

공용수용은 공익사업을 위하여 타인의 특정한 재산권을 법률의 힘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취득하는 것이므로 수용할 목적물의 범위는 원칙적으로 사업을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도에 그쳐야 하므로 그 한도를 넘는 부분은 수용대상이 아니므로 그 부분에 대한 수용은 위법하고, 초과수용된 부분이 적법한 수용대상과 불가분적 관계에 있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이의재결 전부를 취소할 수밖에 없다.

참조조문

토지수용법 제1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7.9.8. 선고 87누395 판결(공1987,1583)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겸 피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겸 상고인】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외 1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수룡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3.2.4. 선고 91구11515 판결 【주 문】 원고의 피고 중앙토지수용위원회에 대한 상고를 각하하고, 피고 김 제시에 대한 상고를 기각한다. 피고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상고인 각자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고의 상고이유에 대하여(상고이유서 제출기간 도과 후의 추가상고이유서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만 본다) 먼저 원고의 피고 중앙토지수용위원회에 대한 상고이유에 관하여 보건대, 상소는 자기에게 불이익한 재판에 대하여 자기에게 유리하게 취소변경을 구하는 불복절차이므로 전부승소판결에 대한 불복상고는 상고를 제기할 대상이나 이익이 전혀 없으므로 허용될 수 없다 할 것인바, 기록에 의하면 원고는 주위적 청구로서 피고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1991.4.22.자 수용대상토지와 물건에 관하여 한 이의재결의 취소를 청구하여 원심에서 전부 승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하여 그 판결이유의 부당함을 내세워 상고를 제기하였음이 분명하니, 원고의 이 부분 상고는 상고의 이익이 없는 부적법한 것이다. 다음 피고 김제시에 대한 상고이유에 관하여 보건대, 원심은 원고가 기업자인 피고 김제시에 대하여 수용대상토지와 물건에 대한 정당한 보상액인 금 51,292,240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의 지급을 구한데 대하여, 이 사건 이의재결이 적법한 것임을 전제로 다만 보상액의 증액을 구하는 원고의 피고 김제시에 대한 이 사건 소는 위 이의재결이 위법함을 청구원인으로 하는 같은 위원회에 대한 재결취소청구와는 양립할 수 없는 청구로서 병합될 수 없는 것이므로 부적법하다 하여 이를 각하하였는바,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옳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사실오인이나 병합청구에 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2. 피고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공용수용은 공익사업을 위하여 타인의 특정한 재산권을 법률의 힘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취득하는 것이므로 수용할 목적물의 범위는 원칙적으로 사업을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도에 그쳐야 하므로( 당원 1987.9.8. 선고 87누395 판결 참조), 그 한도를 넘는 부분은 수용대상이 아니므로 그 부분에 대한 수용은 위법하다 할 것이고, 초과수용된 부분이 적법한 수용대상과 불가분적 관계에 있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이의재결 전부를 취소할 수밖에 없다 할 것이다. 같은 취지의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할 수 없으므로 논지는 이유 없다. 3. 그러므로 원고의 피고 중앙토지수용위원회에 대한 상고는 그 상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할 필요 없이 이를 각하하고, 원고의 피고 김제시에 대한 상고는 이를 기각하며, 반면 피고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 각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주한(재판장) 배만운 김석수 정귀호(주심)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수용, 아무렇게나 할 수 없다!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수용은 공익성, 비례의 원칙, 사업시행자의 능력 등 엄격한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이를 어길 경우 수용권 남용으로 인정되어 수용이 불가능하다.

#공익사업#수용권 남용#공익성#비례의 원칙

일반행정판례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수용, 그 정당성은 누가 증명해야 할까?

국가가 공익사업을 위해 개인의 땅을 강제로 수용할 때는 그 필요성이 충분히 입증되어야 하고, 수용 범위도 최소한도에 그쳐야 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의정부북부역사 앞 토지 수용이 이러한 요건을 충족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의정부북부역사#토지수용#정당성#공익사업

일반행정판례

공공사업 위한 토지수용, 알아두면 쓸모있는 상식!

국가나 지자체 등이 공익사업을 위해 토지를 수용하기 전에 허락 없이 먼저 사용했더라도 수용 자체는 유효하며, 보상액이 적더라도 정해진 절차에 따라 평가되었다면 수용 자체는 무효가 되지 않는다는 판결입니다.

#수용#무단점용#보상액#적정성

일반행정판례

땅의 일부가 수용되면 남은 땅도 사 달라고 할 수 있을까? - 잔여지 수용청구권 이야기

이 판례는 토지 일부가 수용된 후 남은 땅(잔여지)에 대한 수용 청구권의 성격과, 대법원 상고 시 유의해야 할 점을 다룹니다. 잔여지 수용 청구권은 조건을 충족하면 별도의 절차 없이 수용 효과가 발생하는 '형성권'이며, 상고할 때는 원심 준비서면 내용을 그대로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법령 위반 등 구체적인 이유를 직접 밝혀야 합니다.

#잔여지 수용 청구권#형성권#상고이유 작성#법령 위반 명시

일반행정판례

토지수용 보상금, 제대로 받으려면? - 공법상 제한 고려는 금물!

토지수용 시 보상액을 산정할 때, 수용으로 인해 도로로 편입되는 등의 공법상 제한을 미리 고려하여 평가하는 것은 위법이며, 법원은 그러한 감정평가를 기반으로 심리할 필요 없이 새롭게 적정 보상액을 판단할 수 있다.

#토지수용#보상액#공법상 제한#도로편입

민사판례

내 땅 일부만 필요하다면서 왜 전부 사가는 거야? - 토지 수용과 착오에 의한 계약 취소

시에서 산업단지 개발을 위해 토지 일부만 필요했지만, 땅 주인에게는 이 사실을 숨기고 전체 토지를 사겠다고 제안했습니다. 땅 주인은 자신의 땅 전체가 필요한 줄 알고 착각해서 팔았다면, 이 계약은 취소될 수 있습니다.

#토지수용#잔여지매수#착오#계약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