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기)

사건번호:

93다12947

선고일자:

199312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수익자의 불법성이 급여자보다 현저히 큰 경우 급여자의 부당이득반환청구의 허부 나. 부동산의 명의수탁자가 그 부동산을 매도한 것이 반사회적 법률행위로서 무효인 경우 매도인인 명의수탁자의 불법성이 매수인의 불법성보다 크다고 하여 매수인의 매매대금반환청구를 인용한 사례

판결요지

가. 수익자의 불법성이 급여자의 그것보다 현저히 크고, 그에 비하면 급여자의 불법성은 미약한 경우에도 급여자의 반환청구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공평에 반하고 신의성실의 원칙에도 어긋난다고 할 것이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민법 제746조 본문의 적용이 배제되어 급여자의 반환청구는 허용된다고 해석함이 상당하다. 나. 부동산의 명의수탁자가 그 부동산을 매도한 것이 반사회적 법률행위로서 무효인 경우 매도인인 명의수탁자의 불법성이 매수인의 불법성보다 크다고하여 매수인의 매매대금반환청구를 인용한 사례.

참조조문

민법 제746조

참조판례

나. 대법원 1992.6.9. 선고 91다29842 판결(공1992,2114)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서울특별시 소송대리인 변호사 곽창욱 【피고, 상고인】 【환송판결】 대법원 1992. 6. 9. 선고 91다 29842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민법 제746조는 그 본문에서 불법의 원인으로 인하여 재산을 급여하거나 노무를 제공한 때에는 그 재산의 반환을 청구하지 못한다고 규정하면서 그 단서에서는 그 불법원인이 수익자에게만 있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어느 급여가 불법원인급여에 해당되고 급여자에게 불법원인이 있는 경우에는 수익자에게 불법원인이 있는지의 여부나 그 수익자의 불법원인의 정도 내지 불법성이 급여자의 그것보다 큰지의 여부를 막론하고 급여자는 그 불법원인급여의 반환을 청구할 수 없는 것이 원칙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수익자의 불법성이 급여자의 그것보다 현저히 크고, 그에 비하면 급여자의 불법성은 미약한 경우에도 급여자의 반환청구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공평에 반하고 신의성실의 원칙에도 어긋난다고 할 것이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민법 제746조 본문의 적용이 배제되어 급여자의 반환청구는 허용된다고 해석함이 상당하다 할 것이다. (2)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소외 전주이씨 익안대군 영가정파종중이 제1심 피고들(제1심 피고 중 제1심 피고 1은 환송 전 원심 계속 중 사망하여 그 상속인들이 소송을 수계하였다)에게 그 소유명의를 신탁하여 두었던 이 사건 토지를 원고가 제1심 피고들로부터 매수하기로 한 이 사건 매매계약은 원고가 명의수탁자인 제1심 피고들의 배신행위에 적극 가담하여 이루어진 반사회적인 법률행위로서 무효이고, 따라서 제1심 피고들이 원고로부터 수령한 이 사건 토지 매매대금은 아무런 법률상 원인 없이 수령한 이득이므로 피고들은 위 매매대금을 원고에게 반환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하고, 위 매매대금은 불법원인급여에 해당되어 그 반환을 청구할 수 없고, 또 위와 같은 사정 아래 지급된 위 금원의 반환을 구하는 것은 신의칙에 위배되어 허용될 수 없다는 취지의 피고들의 주장에 대하여는, 원고와 제1심 피고들 사이의 이 사건 토지에 관한 매매계약은 원고와 제1심 피고들이 상호 공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원고와 제1심 피고들에게 모두 불법성이 있었다고 할 것이나, 위 종중으로부터 명의신탁해지를 원인으로 이 사건 토지에 관하여 소유권이전등기청구의 소를 제기당하여 그 패소판결을 선고받은 바 있는 제1심 피고들로서는 원고측의 권유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에 절대로 응하지 말았어야 할 것이므로, 제1심 피고들의 위와 같은 불법성은 명의신탁된 토지임을 알면서 명의수탁자인 제1심 피고들을 권유하여 매매계약을 체결한 원고측의 불법성보다 더욱 크다고 할 것이고, 따라서 급여자인 원고측보다 더 큰 불법을 저지른 수령자측인 피고들이 위 매매대금의 지급이 불법원인급여임을 이유로 그 반환을 거절하는 것은 신의칙에 위반되어 허용될 수 없고, 그렇지 않다고 하면 원고로서는 실제 소유자인 위 종중으로부터 이 사건 토지를 추탈당한 데 반하여 그 대금은 반환받을 수 없게 되어 심히 부당한 결과가 된다고 판시하여 위 매매대금의 반환을 구하는 원고의 제2차 예비적 청구는 이유 있다고 하고 다만 원심공동피고 는 그 수령매매대금을 원고에게 반환하였다고 하여 그에 대한 청구만을 배척하였다. 기록에 의하면, 원심의 위와 같은 인정판단은 위와 같은 법리에 따른 것으로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위배나 불법원인급여에 대한 법리오해의 위법은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준서(재판장) 김상원 윤영철(주심) 박만호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불법적인 돈거래, 돌려받을 수 있을까?

불법적인 목적으로 돈을 건넨 사람은, 돈을 받은 사람이 그 불법적인 목적에 관여했더라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

#불법원인급여#손해배상청구#불법행위#부당이득

민사판례

명의신탁과 불법원인급여: 내 돈 돌려받을 수 있을까?

부동산실명법을 위반한 명의신탁 약정은 무효지만, 그 자체가 '불법원인급여'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므로 명의신탁자는 부동산을 돌려받을 수 있다.

#명의신탁#부동산실명법#불법원인급여#소유권반환

상담사례

뒷돈 줬다가 되돌려 받을 수 있을까요? - 부정청탁과 돈 반환 문제

부정한 청탁으로 건넨 돈은 돌려받을 수 없다. A 종중은 기초의원 B에게 뒷돈 1억 원을 주고 청탁했지만, 법적으로 돌려받거나 손해배상 청구도 할 수 없다.

#뒷돈#반환#부정청탁#민법 746조

민사판례

불법 도박으로 집 날렸나요? 돌려받을 수 있을지도 몰라요!

불법적인 이유로 돈이나 재산을 넘겼더라도, 받은 사람의 불법성이 넘긴 사람보다 훨씬 크다면, 넘긴 재산을 돌려받을 수 있다.

#불법도박#재산반환#불법성 비교#신의성실

민사판례

부동산 명의신탁, 돌려받을 수 있는 돈은 얼마일까?

부동산실명법 시행 이후의 명의신탁에서는 명의수탁자가 명의신탁자에게 돌려줘야 할 돈은 부동산 자체의 가격이 아니라, 명의신탁자가 실제로 투자한 매수자금이다.

#명의신탁#투자원금#부동산실명법#부당이득반환

민사판례

부동산 명의신탁, 돌려받을 수 있는 돈은 얼마일까?

부동산실명법 시행 이후의 명의신탁에서, 명의수탁자는 명의신탁자에게 부동산 매매대금뿐만 아니라 취득세 등의 취득비용도 돌려줘야 한다.

#명의신탁#부당이득#취득비용#매매대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