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93다37328
선고일자:
199311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타인의 권리매매에 있어서 매도인의 귀책사유로 이행불능이 된 경우 매도인의 손해배상책임
타인의 권리를 매매의 목적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 그 권리를 취득하여 매수인에게 이전하여야 할 매도인의 의무가 매도인의 귀책사유로 인하여 이행불능이 되었다면 매수인이 매도인의 담보책임에 관한 민법 제570조 단서의 규정에 의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 하더라도 채무불이행 일반의 규정(민법 제546조, 제390조)에 좇아서 계약을 해제하고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민법 제546조, 제390조, 제570조
대법원 1970.12.29. 선고 70다2449 판결(집18③민443)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부산고등법원 1993.6.25. 선고 92나1568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제1점에 대하여 원심이 취사한 증거를 기록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사실인정은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어긴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가 주장하는 바는 사실심인 원심의 전권사항을 다투는 것이어서, 이유가 없다. 제2점에 대하여 타인의 권리를 매매의 목적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 그 권리를 취득하여 매수인에게 이전하여야 할 매도인의 의무가 매도인의 귀책사유로 인하여 이행불능이 되었다면 매수인이 매도인의 담보책임에 관한 민법 제570조 단서의 규정에 의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 하더라도 채무불이행 일반의 규정( 민법 제546조, 제390조)에 쫓아서 계약을 해제하고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 당원 1970.12.29. 선고 70다2449 판결 참조). 이 사건 사실관계가 원심이 인정한 바와 같다면 피고의 소유권이전등기의무의 이행불능은 피고의 귀책사유로 인한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고, 그 이행불능이 피고의 귀책사유로 인한 것인 이상 피고로서는 민법 제546조, 제390조 소정의 이행불능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을 면할 수 없다고 할 것이므로 같은 취지의 원심판결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 사건에서의 이행불능은 원·피고들의 공동귀책사유에 기인한다는 것이나, 피고가 내심으로 원고들로부터 잔대금을 지급받아 제3자인 소외인에게 잔대금을 지급할 의사를 가지고 있었다 하더라도 위 소외인에 대한 잔대금지급의무는 근본적으로 피고에게 있는 것이므로 원고들이 매매의 목적이 된 이 사건 임야의 소유권이전등기가 불가능할 것을 염려하여 피고에 대한 잔대금의 지급을 미룬 사실을 들어 이행불능의 귀책사유가 원고들에게 있다고 할 수 없고, 설사 그 귀책사유가 원,피고들 모두에게 있다고 하더라도 피고의 귀책사유가 인정되는 이상 피고는 그로 인한 책임을 면할 수 없는 것이므로, 받아들일 수 없다. 논지도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석수(재판장) 배만운(주심) 정귀호
민사판례
내가 가지고 있지 않은, 즉 다른 사람 소유의 물건이라도 팔기로 하는 계약 자체는 유효하며, 판 사람은 그 물건을 구해서 사기로 한 사람에게 넘겨줘야 할 의무가 있다.
민사판례
땅 소유권 이전이 불가능해졌을 때 배상액은 소유권 이전이 불가능해진 시점의 시가를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판 사람이 그 땅을 다른 사람에게 더 비싸게 팔았더라도 그 가격이 배상 기준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상담사례
땅 잔금을 받기 전 소유권 이전 등기를 해줬다가 제3자에게 땅이 넘어가 소유권을 잃었으며, 이는 제3자 보호 원칙에 따라 법적으로 정당한 거래이므로 잔금 전 등기이전은 절대 해서는 안 된다.
형사판례
빚 보증으로 부동산 소유권을 넘겨줬는데, 채권자가 멋대로 팔아버리면 배임죄가 성립한다는 판례입니다. 빚을 다 갚지 않았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형사판례
부동산 매매계약 후 매수인이 잔금을 치르기 전에 소유권을 먼저 이전받고 해당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을 받았더라도, 매도인에게 잔금을 지급하기로 한 약속을 어기지 않았다면 배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계약이 해제된 후, 매수인이 매도인에게 돌려줘야 할 부동산을 제3자에게 팔아버려 돌려줄 수 없게 된 경우, 매도인은 그 부동산의 가치만큼 돈으로 보상받을 수 있다. 이때, 매도인이 보상받아야 할 금액을 정확히 주장·입증하지 못하더라도 법원은 적극적으로 나서서 해당 금액을 파악하고 판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