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이득금반환

사건번호:

93다50147

선고일자:

199402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어음법 제79조 소정의 "받은 이익"과 그 한도에 관한 주장 입증책임

판결요지

어음채무자에게 어음법 제79조 소정의 "받은 이익"이 있음과 그 한도에 관하여는 어음소지인인 이득상환청구자가 이를 주장 입증하여야 한다.

참조조문

어음법 제79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춘천지방법원 1993.7.9. 선고 93나166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어음법상의 이득상환청구권을 규정한 어음법 제79조의 어음채무자의 "받은 이익"이라 하는 것은 어음채무자가 어음상의 권리의 소멸에 의하여 어음상의 채무를 면하는 것 자체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어음수수의 원인관계 등 실질관계(기본관계)에 있어서 현실로 받은 재산상의 이익을 말하는 것이고(당원 1993.7.13. 선고 93다10897 판결 참조), 어음채무자에게 그 "받은 이익"이 있음과 그 한도에 관하여는 어음소지인인 이득상환청구자가 이를 주장 입증하여야 할 것이다.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이 사건 어음의 발행인인 피고가 그 수수의 원인관계에서 그 어음행위로 얻은 이익이 있었음에 관하여 그 소지인인 원고의 아무런 주장 입증이 없고, 오히려 그 거시증거에 의하여 피고가 이 사건 어음으로 인하여 아무런 이익도 얻은 바 없다고 인정하여 원고의 이득상환청구를 배척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준서(재판장) 김상원 윤영철(주심) 박만호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어음 때문에 손해봤는데, 어디까지 보상받을 수 있을까?

어음을 받았는데, 어음이 부도나서 돈을 못 받았다면 어음 발행인에게 어느 정도까지 돈을 돌려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어음 금액 전체가 아니라, 어음 발행인이 실제로 얻은 이익만큼만 돌려받을 수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어음#부도#손해배상#이득상환

상담사례

친구에게 빌려준 돈, 약속어음 소멸시효 지났는데 받을 수 있을까요? 😥

약속어음 소멸시효가 지나도 이득상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지만, 이 권리는 어음 소지자가 아닌 소멸시효 완성 당시 어음 소지자에게 있으며, 질문자는 친구로부터 이 권리를 정식으로 양도받아야 행사할 수 있다.

#약속어음#소멸시효#이득상환청구권#양도

상담사례

어음 시효 지났는데 돈 받을 방법 없을까요? (이득반환청구권)

어음 시효 소멸 후 이득반환청구권 행사는 어려움. 원인채무(땅값)가 남아있어 발행인이 실제 이득을 봤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

#어음#시효소멸#이득반환청구권#배서

상담사례

약속어음 만기 지났는데 돈 못 받았어요!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약속어음 만기 후 돈을 받지 못했더라도, 발행인이 약속어음으로 이득을 봤다면 '이득상환청구권'을 통해 돈을 돌려받을 가능성이 있다. (단, 약속어음이 처음부터 유효했고, 약속어음으로 돈 받을 권리가 소멸되었으며, 다른 방법으로 돈을 받을 수 없고, 발행인이 실제로 이득을 봤어야 함.)

#약속어음#만기#이득상환청구권#부동산 거래

상담사례

내 통장 잔고도 없는데 어음이 결제됐다고?! 부당이득 반환 받을 수 있을까?

통장 잔고 부족으로 부도 처리되어야 할 어음이 은행 실수로 결제된 경우, 어음 소지인에게 부당이득 반환 청구가 가능하다.

#어음#부도#부당이득 반환 청구

민사판례

부도어음, 돌려받을 수 있을까? - 어음 부도와 부당이득 반환

발행인의 계좌에 돈이 없어 어음이 부도 처리되었음에도 은행의 실수로 부도 통보가 늦어져 어음 소지인이 돈을 받아 간 경우, 어음 소지인은 은행에 부당이득을 반환해야 한다.

#어음부도#부당이득#반환의무#부도통보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