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

사건번호:

93다54064

선고일자:

199410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동업약정에 따라 토지를 공동매수한 경우, 공동매수인이 각자 자기 지분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를 할 수 있는지 여부

판결요지

동업약정에 따라 동업자 공동으로 토지를 매수하였다면 그 토지는 동업자들을 조합원으로 하는 동업체에서 토지를 매수한 것이므로 그 동업자들은 토지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준합유하는 관계에 있고, 합유재산에 관한 소는 이른바 고유필요적공동소송이라 할 것이므로 그 매매계약에 기하여 소유권이전등기의 이행을 구하는 소를 제기하려면 동업자들이 공동으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63조 , 민법 제272조 , 제273조 , 제278조

참조판례

대법원 1979.8.31. 선고 79다13 판결(공1979,12195)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김수정 소송대리인 변호사 민경식 【피고, 상고인】 유원건설주식회사 【피고보조참가인】 김종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박우동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3.9.23. 선고 92나67812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피고 및 피고보조참가인의 상고이유를 함께 판단한다. 1. 제1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채택증거에 의하여 원고와 피고보조참가인(이하, 참가인이라 한다)은 원고는 주로 자금을 투자하고 참가인은 부동산에 관한 정보제공 과 전매 등의 일처리를 도맡아 하기로 하여 이 사건 토지를 피고로부터 공동으로 매수하여 이를 전매하여 이익을 반분하기로 하는 약정을 하였고, 이에 따라 이 사건 토지를 공동매수한 사실을 인정하였는바, 기록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은 옳은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의 위법이 없다. 이 사건 토지는 참가인이 피고로부터 단독으로 매수한 것인데, 다만, 계약을 함에 있어 원고와 소외 김형도의 명의를 빌린 것 뿐이라는 소론 주장은 결국 원심의 전권사항인 사실인정을 헐뜯는 것에 귀착되어 받아들일 수 없다. 2. 제2점에 대하여, 사실관계가 원심이 확정한 바와 같다면, 이 사건 토지는 원고와 참가인을 조합원으로 하는 동업체에서 매수한 것이라고 할 것이고, 따라서 원고와 참가인은 이 사건 토지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준합유하는 관계에 있고, 합유재산에 관한 소는 이른바 고유필요적공동소송이라 할 것이므로, 위 매매계약에 기하여 소유권이전등기의 이행을 구하는 소를 제기하려면 원고와 참가인이 공동으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할 것이다. 따라서, 원고 한사람만에 의하여 제기된 이 사건 소는 이 점에서 부적법하다고 할 수밖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원심이 이 사건 토지의 1/2지분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의 이행을 구하는 원고의 청구를 인용한 것은 결국 필요적공동소송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것이라 할 것이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 있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임수(재판장) 김석수 정귀호(주심) 이돈희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내 땅인데 왜 내 마음대로 등기 못해요? 공동투자 주의보!

부동산 공동투자 시, 투자자들은 준합유 관계로 묶여 개별 지분 등기가 불가능하며, 소유권 이전 등 법적 절차는 공동으로 진행해야 하므로 사전 계약서 작성 등을 통해 권리 관계를 명확히 해야 한다.

#공동투자#등기#준합유#공동소유

민사판례

동업 부동산, 누구 소유일까?

여러 사람이 동업으로 부동산을 사서 각자의 지분대로 등기를 했더라도, 실제 소유권은 동업체 전체에 있다. 따라서 한 사람이 동업에서 탈퇴하며 자신의 지분을 다른 동업자에게 넘기는 것은 사해행위(채권자를 해하는 행위)가 아니다.

#동업#부동산#소유권#합유

민사판례

땅을 같이 샀는데, 나 혼자 남았어요! - 공동매수와 동업

여러 명이 함께 땅을 사는 경우, 단순히 지분을 나눠 갖는 공유 관계일 수도 있고, 공동 사업을 위한 동업 관계일 수도 있다. 이 판례는 특정 사례를 동업으로 판단하고, 동업 관계에서 일부 구성원이 탈퇴한 후 남은 사람의 권리와 계약 해제의 효력에 대해 다루고 있다.

#토지 공동매수#동업#공유#지분

민사판례

여러 명이 함께 부동산을 샀을 때, 누구 소유일까요?

여러 사람이 공동 사업을 위해 돈을 모아 부동산을 사서 한 사람 명의로 등기했더라도, 실제로는 소유권이 그 사람 단독이 아닌, 출자한 모든 사람에게 있다는 판결입니다. 이런 경우 명의신탁으로 봐서, 등기 명의와 상관없이 실제 출자자들의 소유권을 인정합니다.

#명의신탁#부동산#공동사업#동업조합

민사판례

여러 명이 함께 땅을 샀다면? 누구 소유일까?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땅을 매수했을 때, 그 관계가 단순한 공동 소유인지, 아니면 동업 관계인지에 따라 매도인의 의무와 매수인들의 권리가 달라진다. 이 사건에서는 땅을 사서 개발 후 되팔아 이익을 얻기로 한 당사자들을 동업으로 보고, 땅 전체를 동업체가 매수한 것으로 판단했다. 또한, 자신의 권리가 직접적으로 위협받지 않는 제3자에 대한 권리 부존재 확인 소송은 할 수 없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토지 공동매수#동업#확인의 소#확인의 이익

민사판례

땅 투자, 우리 사이는 그냥 공동구매? 아니면 동업?

여러 사람이 돈을 모아 땅을 산 뒤 이익을 나누기로 했다면, 그 관계가 단순한 공동 소 ownership인지, 사업 목적을 가진 조합인지에 따라 법적 효과가 달라진다는 내용입니다. 이 판례에서는 단순히 이익을 나누기로 한 것만으로는 조합이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부동산 공동매수#조합#공동소유#이익분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