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중개업법위반

사건번호:

93도773

선고일자:

199305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상가분양계약서가 부동산중개업법 제15조 제4호 소정의 “부동산의 분양 임대 등과 관련있는 증서”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상가 전부를 매도할 때 사용하려고 매각조건 등을 기재하여 인쇄해 놓은 양식에 매매대금과 지급기일 등 해당사항을 기재한 분양계약서는 상가의 매매계약서일 뿐 부동산중개업법 제15조 제4호 소정의 부동산 임대, 분양 등과 관련이 있는 증서라고 볼 수 없다.

참조조문

부동산중개업법 제15조 제4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변호사 박일흠 【원심판결】 서울형사지방법원 1993.2.17. 선고 92노156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공소사실 제1에 관하여 원심이 확정한 바와 같이 피고인이 공소외 장봉진으로부터 그가 공소외 성업공사와 가계약한 판시 상가 117개 중 1층 128호를 매수함에 있어서 위 장봉진이 위 상가 전부를 매도할 때 사용하려고 미리 매각조건 등을 기재하여 인쇄해 놓은 양식에 매매대금과 그 지급기일 등 해당 사항을 기재한 분양계약서를 교부받았다면 그 분양계약서는 위 상가의 매매계약서 일 뿐 부동산중개업법 제15조 제4호 소정의 부동산 임대, 분양 등과 관련이 있는 증서라고 볼 수 없다 할 것이므로 같은 취지의 원심판결은 정당하고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공소사실 제2에 관하여 원심판결은 판시와 같은 사실에 터잡아 피고인은 부동산중개업자이기는 하지만 판시 상가의 전매는 피고인이 중개인으로서가 아니라 매도인으로서 한 것이고 그 계약의 중개는 소외 이용규가 한 것이므로 이는 탈세의 목적으로 미등기부동산을 전매함으로써 부동산투기를 한 것임은 별론으로 하고 이를 들어 피고인이 부동산투기를 조장한 것이라고 할 수 없고 달리 이 부분 공소사실을 인정할 만한 증명이 없는때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는바 기록에 비추어 원심의 판단은 수긍이 되고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주장은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준(재판장) 윤관(주심) 김주한 천경송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상가 분양 계약 분쟁, 핵심 쟁점 정리!

상가 분양 계약에서 매매 목적물에 가처분이나 예고등기가 있는 경우, 매수인은 매도인이 깨끗한 등기를 제공할 때까지 잔금 지급을 거절할 수 있으며, 매도인이 등기 제공 의무 이행기일을 넘긴 경우 잔금 지급과 등기 이전은 동시이행 관계가 됩니다. 또한, 건설사가 특정인에게만 매도하는 계약은 약관으로 보지 않습니다.

#상가분양#잔금지급#소유권이전#동시이행

민사판례

분양 광고, 믿어도 될까? 상가 분양 계약과 광고의 관계

상가 분양 시 화려한 광고 내용이 계약서에 포함되지 않았다면, 광고는 단순히 고객을 끌기 위한 홍보일 뿐 계약 내용으로 볼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또한, 다소 과장된 광고라도 상거래 관행에 비춰 허용되는 범위라면 사기로 볼 수 없다는 내용입니다.

#상가 분양#광고 불일치#계약#과장광고

민사판례

부가가치세 포함 여부를 둘러싼 상가 분양대금 분쟁

건물 분양계약에서 계약서에 부가가치세 별도 부담 조항이 있더라도, 계약서 작성 당시의 상황과 거래 관행 등을 고려하여 총 분양대금에 부가가치세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분양계약#부가가치세#포함#거래관행

민사판례

상가 분양, 대리인이 매수인도 될 수 있을까?

상가 건물주가 분양업체에 건물을 매도하는 형식을 취했지만, 실질적으로는 분양을 위탁한 것이라면 분양업체는 매수인이면서 동시에 분양 대리인의 지위도 가진다. 따라서 분양업체가 건물주를 대리하여 체결한 분양계약은 건물주에게 효력이 있다.

#분양업체#대리인#매수인#분양계약

민사판례

계약서에 쓰여진 내용이 전부일까요? - 매매계약 분쟁 사례

민사재판에서 계약서에 기재된 내용과 실제 합의 내용이 다르다고 주장할 경우, 법원은 관련된 모든 증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다. 형사판결의 사실 인정이라 하더라도 민사재판의 다른 증거와 상충되는 경우 배척될 수 있으며, 계약서(처분문서)의 내용도 반증이 있다면 다른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

#매매계약서#실제합의#증거#자유심증주의

민사판례

상가 분양계약 분쟁, 허위·과장 광고와 계약 내용은 어디까지?

상가 분양 광고 내용과 실제 계약 내용이 달라 분양받은 사람들이 계약 취소를 요구했지만, 법원은 분양 광고가 기망행위에 해당하지 않고 계약 내용도 유효하다고 판결했습니다.

#상가#분양#계약#광고 불일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