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수용재결처분취소등

사건번호:

94누1807

선고일자:

199412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수용대상토지가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손실보상금 산정에적용될 지가변동율

판결요지

수용대상토지에 대한 손실보상액을 산정함에 있어서 적용되어야 하는 구 토지수용법(1991.12.31. 법률 제448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6조 제2항에 따라 지가변동율을 참작함에 있어서, 수용대상토지가 도시계획구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용도지역별 지가변동율에 의하여 보상금을 산정하는 것이 더 타당하나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지목에 따라 지가변동율이 영향을 받으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지목별 지가변동율을 적용하는 것이 상당하다.

참조조문

구 토지수용법 (1991.12.31. 법률 제448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6조 제2항

참조판례

대법원 1992.9.25. 선고 92누7962 판결(공1992,3025), 1993.8.27. 선고 93누7068 판결(공1993하,2650)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외 1인 피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조용락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3.12.17. 선고 92구37569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제1점에 대하여 수용대상토지에 대한 손실보상액을 산정함에 있어서 적용되어야 하는 구토지수용법(1991.12.31. 법률 제448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6조 제2항에 따라 지가변동율을 참작함에 있어서, 수용대상토지가 도시계획구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용도지역별 지가변동율에 의하여 보상금을 산정하는 것이 더 타당하나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지목에 따라 지가변동율이 영향을 받으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지목별 지가변동율을 적용하는 것이 상당하다고 할 것인바(당원 1993.8.27.선고 93누7068 판결 참조),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이 사건 수용대상토지가 도시계획법상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음에도 지가변동율을 참작함에 있어 용도지역별 지가변동율을 적용한 이의재결의 기초가 된 감정평가는 위법하다 하여 이를 배척하고, 지목별 지가변동율을 적용한 원심감정인의 감정평가를 채택하여 손실보상금을 산정한 조치는 옳고, 거기에 소론이 지적하는 바와 같은 개발제한구역 내 토지의 손실보상금 산정에 적용될 지가변동율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제2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보면, 원심감정인이 이 사건 수용대상토지와 표준지와의 개별요인을 비교함에 있어 그 비교항목으로 획지조건, 환경조건, 행정적 조건, 기타조건 외에 가로조건과 접근조건을 분리하여 평가한 결과 전체적으로 이 사건 토지가 표준지에 비하여 65% 우세의 비교치를 준 것은 옳은 것으로 수긍이 되고, 거기에 소론이 지적하는 사실오인 내지 개별요인의 비교항목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논지도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임수(재판장) 김석수 정귀호(주심) 이돈희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도시계획구역 내 토지보상, 어떻게 계산될까?

도시계획구역 안에 있는 땅을 정부가 수용할 때 보상금을 어떻게 계산하는지, 그리고 부동산 가격 정보 중 '호가'를 보상금 계산에 어떤 경우에 반영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토지수용보상금#용도지역별 지가변동률#호가 참작 기준#정상적인 호가

일반행정판례

토지 수용 보상금 계산, 주변 땅값 변동률은 어떻게 반영될까?

토지수용 보상액을 계산할 때 기준이 되는 "인근토지의 지가변동률"은 원칙적으로 수용토지가 속한 지역의 변동률을 사용하지만, 만약 해당 지역의 지가가 개발사업 때문에 올랐다면 주변 지역의 변동률을 사용해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토지수용#보상액#지가변동률#개발사업

일반행정판례

개발제한구역 토지보상, 기준은 무엇일까?

개발제한구역 내 토지 수용 시 보상금 산정에는 지목별 지가변동률을 적용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비슷한 다른 토지를 기준으로 삼아 보상액을 정할 때, 기준 토지와 수용 토지 사이에 약간의 차이가 있어도 기준 토지 선정 자체는 문제없다는 판단도 포함.

#개발제한구역#토지보상#지목별 지가변동률#표준지

일반행정판례

개발제한구역 토지보상, 어떻게 이루어질까?

개발제한구역 내 토지 수용 시 보상금을 계산할 때, '이용상황별 지가변동률'을 적용해야 하며, 감정평가 실무기준이나 토지보상평가지침은 법원을 구속하지 않는다는 판결.

#개발제한구역#토지보상금#지가변동률#감정평가

일반행정판례

개발제한구역 내 토지 수용 보상, 어떻게 계산될까요?

개발제한구역 내 토지가 수용될 경우, 보상액은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된 상태를 기준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개발제한구역 밖 토지의 거래가격을 기준으로 삼거나, 개발제한이 없는 것처럼 평가해서는 안 됩니다. 또한, 개발제한구역 내 토지라도 표준지로 선정될 수 있습니다.

#개발제한구역#토지수용#보상액#표준지

일반행정판례

토지수용 보상금, 땅의 '지목'보다 '용도지역'이 중요할 수 있다!

도시계획구역 안에 있는 땅을 수용할 때 보상금을 계산할 땐, 단순히 땅의 지목(대지, 전, 답 등)만 볼 게 아니라, 그 땅이 속한 용도지역(주거지역, 상업지역, 녹지지역 등)을 기준으로 한 지가변동률을 적용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토지수용#보상금#용도지역#지가변동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