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확인

사건번호:

94다13480

선고일자:

199506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점유하는 도로의 경우에도 자주점유의 추정이 적용되는지 여부 나. 취득시효 완성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절차를 이행해 주어야할 지위에 있는 미등기 토지의 소유자가, 취득시효가 완성된 점유자인 국가를 상대로 소유권의 확인을 구할 법률상 이익이 있는지 여부

판결요지

가. 자주점유의 추정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점유하는 도로의 경우에도 적용되는 것이고, 그 도로 개설 당시 도로법이나 도시계획법 등 관계 법령에 규정된 절차에 따라 적법하게 점유권원을 취득하였는지 여부가 증명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이런 사실만으로 자주점유의 추정이 번복되어 그 점유권원의 성질상 타주점유라고 볼 수 없다. 나. 국가가 미등기 토지를 20년간 점유하여 취득시효가 완성된 경우, 그 미등기 토지의 소유자로서는 국가에게 이를 원인으로 하여 소유권이전등기절차를 이행하여 줄 의무를 부담하고 있는 관계로 국가에 대하여 그 소유권을 행사할 지위에 있다고 보기 어렵고, 또 그가 소유권확인판결을 받는다고 하여 이러한 지위에 변동이 생기는 것도 아니라고 할 것이므로, 이와 같은 사정하에서는 그 소유자가 굳이 국가를 상대로 토지에 대한 소유권의 확인을 구하는 것은 무용, 무의미하다고 볼 수밖에 없어 확인판결을 받을 법률상 이익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민법 제197조 제1항, 민사소송법 제228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91.6.28. 선고 89다카12176 판결(공1991,2012), 1992.6.9. 선고 92다8446 판결(공1992,2125), 1994.9.9. 선고 94다23951 판결(공1994하,2623) / 나. 대법원 1991.12.10. 선고 91다14420 판결(공1992,477)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대한민국 【원심판결】 부산지방법원 1994.1.27. 선고 93나1449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원고의 상고이유를 본다. 1. 자주점유의 추정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점유하는 도로의 경우에도 적용되는 것이고, 그 도로 개설 당시 도로법이나 도시계획법 등 관계법령에 규정된 절차에 따라 적법하게 점유권원을 취득하였는지 여부가 증명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이런 사실만으로 자주점유의 추정이 번복되어 그 점유권원의 성질상 타주점유라고 볼 수 없다는 것이 당원의 견해인바(당원 1991.6.28. 선고 89다카12176 판결 ; 1992.6.9. 선고 92다8446 판결 등 참조), 논지는 이와 상치되는 전제하에 원심판결에 심리미진이나 국민의 재산권보호를 규정한 헌법 제23조, 취득시효에 관한 법리오해가 있다는 것에 지나지 아니하여 받아들일 수 없다. 피고가 도로에 편입된 이 사건 토지와 인근의 토지에 대하여 보상금을 책정해 두었고 또 실제로 인근 토지의 소유자들에 대하여는 책정한 보상금을 지급함으로써 취득시효 완성의 이익을 포기하였다는 점은 원심까지 내세운 바가 없는 새로운 주장으로서, 이를 전제로 하여 원심판결에 심리미진이나 취득시효 등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는 소론은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기록상 그 주장과 같은 사실을 인정할 만한 자료를 찾아볼 수 없으므로, 이 점에 관한 논지도 이유 없다. 2. 확인의 소에 있어서는 권리보호요건으로서 확인의 이익이 있어야 하고, 그 확인의 이익은 원고의 권리 또는 법률상의 지위에 불안, 위험이 있어 이를 즉시 제거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고, 그 불안, 위험을 제거함에는 피고를 상대로 확인판결을 받는 것이 가장 유효 적절한 수단일 때에만 인정된다고 할 것이므로, 원고의 권리 또는 법률상의 지위에 불안, 위험이 현존하지 아니하거나 다른 특별한 사정의 존재로 말미암아 확인판결을 받는 것이 무용, 무의미하여 그 필요성이 없는 경우에는 확인의 이익이 있다고 할 수 없어 확인의 소는 허용되지 아니한다 할 것이다. 이 사건에서 원심이 적법하게 확정한 바와 같이 피고가 원고의 소유인 이 사건 토지를 1946.7.23.경부터 점유하기 시작하여 그로부터 20년이 경과한 1966.7.23. 취득시효가 완성되었다면 피고는 원고에게 이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의 이행을 청구할 수 있고 원고는 이에 응할 의무를 부담하고 있다 할 것이므로, 이러한 지위에 놓여 있는 원고로서는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 사건 토지에 관하여 피고를 상대로 소유권확인판결을 받을 필요성은 없다고 보아야 옳을 것이다. 미등기 토지에 관하여 소유권보존등기를 경료하기 위한 방편으로 일정한 요건 하에 국가를 상대로 한 소유권확인의 소를 허용하는 것은, 그와 같은 경우 현재 공부상 그 소유권확인의 소의 원고가 소유자로 등재되어 있지 못함으로 인하여 소유권 행사에 사실상 지장을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소유권이 부인당할 불안, 위험에 빠져 있어 이를 제거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할 것이나. 이 사건의 경우에 있어서 원고로서는 이 사건 토지에 관하여 어차피 피고 앞으로 취득시효 완성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절차를 이행해 주어야 할 입장에 놓여 있어 피고에 대한 관계에서는 그 소유권을 행사할 지위에 있다고 보기 어렵고 또 소유권확인판결을 받는다고 하여 이러한 지위에 변동이 생기는 것도 아니라고 할 것이므로, 이와 같은 사정 하에서 원고가 굳이 피고를 상대로 이 사건 토지에 대한 소유권의 확인을 구하는 것은 무용·무의미하다고 볼 수밖에 없어 확인판결을 받을 법률상이익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원고가 도로에 편입된 이 사건 토지에 관하여 피고로부터 그 보상금을 수령할 지위에 있다는 소론 주장은 이를 뒷받침할 만한 자료를 기록상 찾아 볼 수 없으므로 이를 전제로 하여 이 사건 소에 확인의 이익이 있다는 논지는 더 나아가 살펴 볼 필요 없이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원심이 이 사건 소는 확인의 이익이 없어 부적법하다고 판단하였음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이 지적하는 바와 같은 심리미진이나 확인의 이익 등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지창권(재판장) 천경송(주심) 안용득 신성택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국가 도로 부지에 대한 소유권 주장, 그 승산은?

국가가 오랫동안 도로로 사용해 온 땅에 대해, 국가가 해당 땅을 취득한 서류를 제출하지 못하더라도 국가의 소유라고 인정될 수 있다는 판결. 특히, 토지대장 등의 공적인 서류가 전쟁 등으로 소실된 경우, 국가가 해당 땅을 원래부터 소유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 국가 소유로 인정될 수 있다. 또한, 국가가 취득시효(일정 기간 점유하면 소유권을 취득하는 제도)를 통해 땅을 취득한 경우, 원래 소유자가 국가를 상대로 소유권 확인 소송을 제기할 실익이 없다.

#국가#도로#소유권#점유

민사판례

국가가 도로로 쓰고 있다고 내 땅이 아닌 건 아니에요!

지목이 도로이고, 실제로 도로로 사용되고 있더라도, 국가가 주변 토지를 수용하여 도로를 확장하고 포장했다는 사실만으로는 국가가 그 땅을 시효취득했다고 볼 수 없다.

#도로#시효취득#국가#점유

민사판례

국가 땅이라고 함부로 가져가면 안 돼요! - 20년 넘게 도로로 쓴 땅의 주인은 누구?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오랫동안 땅을 점유하고 사용했다면, 그 땅의 원래 소유자가 따로 있더라도 국가가 시효취득을 통해 소유권을 얻을 수 있다. 다만, 국가가 처음부터 소유권 없이 불법으로 점유했음이 명확히 입증된다면 시효취득은 인정되지 않는다.

#국가#시효취득#자주점유 추정#점유

민사판례

내 땅을 도로로 쓰고 있다고? 20년 넘게 사용하면 국가 땅이 된다? (아닙니다!)

국가가 정당한 절차 없이 사유지를 도로로 사용한 경우, 20년이 지났더라도 점유취득시효(20년간 점유하면 소유권을 취득하는 제도)를 주장할 수 없다.

#점유취득시효#국가#사유지#도로

민사판례

국가가 땅 주인이라고 주장하려면? - 도로 부지 취득시효 분쟁 사례

국가가 오랫동안 도로로 사용해온 땅에 대해 소유권을 주장할 때, 국가가 해당 땅을 어떻게 취득했는지 증명하지 못한다고 해서 바로 국가 소유가 아니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국가도 개인처럼 오랜 기간 점유하면 취득시효를 통해 소유권을 얻을 수 있습니다.

#취득시효#국가#도로#점유

민사판례

국가가 사유지를 도로로 사용할 때, 그냥 가져갈 수 있을까?

국가가 사유지를 도로로 사용하면서 정당한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면, 20년간 점유했다 하더라도 해당 토지를 시효취득했다고 볼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하지만, 징발재산을 매수한 경우에는 등기부상 소유자가 실제 소유자가 아니더라도 국가의 소유권 취득을 인정함.

#국가 토지점유#취득시효#자주점유#정당한 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