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말소등

사건번호:

94다19792

선고일자:

199410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종중의 공동선조가 종중특정의 기준이 되는지 여부 나. 종중의 공동선조를 달리 주장하는 것이 임의적 당사자의 변경에 해당하여 허용될 수 없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가. 종중은 공동선조의 분묘수호와 제사 및 종중원 상호간의 친목 등을 목적으로 하는 자연발생적인 종족단체로서 특별한 조직행위를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며, 공동선조를 누구로 하느냐에 따라 종중 안에 무수한 소종중이 있을수 있으므로, 어느 종중을 특정하고 그 실체를 파악함에 있어서는 그 종중의 공동선조가 누구인가가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된다. 나. 원고가 원고 종중은 제1심에서는 갑을 공동선조로 하는 종중이라고 주장하다가 항소심에 이르러 갑의 후손인 을을 공동선조로 하는 종중이라고 주장하였다면 결과적으로 원고를 별개의 실체를 갖는 당사자로 임의로 변경하는 것으로서 허용될 수 없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가.나. 민법 제31조 / 나. 민사소송법 제48조 , 제227조

참조판례

가.나. 대법원 1972.9.12. 선고 72다1090 판결(집20③민5), 1992.4.24. 선고 91다18965 판결(공1992,1671) / 나. 1970.3.10. 선고 69다2161 판결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경주김씨 상촌공파 양평종친회 소송대리인 변호사 박정근 【피고, 피상고인】 김춘근 외 16인 피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정태규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4.3.17. 선고 92나812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종중은 공동선조의 분묘수호와 제사 및 종중원 상호간의 친목 등을 목적으로 하는 자연발생적인 종족단체로서 특별한 조직행위를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며, 공동선조를 누구로 하느냐에 따라 종중 안에 무수한 소종중이 있을 수 있으므로, 어느 종중을 특정하고 그 실체를 파악함에 있어서는 그 종중의 공동선조가 누구인가가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된다 할 것이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고는 제1심 변론에서, “원고 종중은 김알지를 시조로 하여 내려오다가 29대 인관을 중시조로 하여 계승하여 왔으며,그 뒤 상촌공을 중심으로 양평에 거주하던 종친들 간에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고유의미의 종중”이라고 주장하다가(1991.5.28.자 준비서면), 원심변론에서는, 원고 종중은 '상촌공'의 8세손인 '유홍'을 공동선조로 하는 종중이라고 주장하고 있는바, 원고가 이와 같이 원고 종중은 제1심에서는 '상촌공'을 공동선조로 하는 종중이라고 주장하다가 원심에 이르러 '상촌공'의 후손인 '유홍'을 공동선조로 하는 종중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원고를 별개의 실체를갖는 당사자로 임의로 변경하는 것으로서 허용될 수 없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원심의 이와 같은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변론의 일체성에 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나 종중이나 당사자능력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그리고, 원심이 '상촌공'을 공동선조로 하는 고유한 의미의 종중의 존재를 인정하지 아니한 조치 또한 기록에 비추어 볼 때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임수(재판장) 김석수 정귀호(주심) 이돈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종중? 그게 뭔데? - 공동선조가 중요해!

종중은 공동선조를 기준으로 식별되며, 공동선조가 다른 두 종중은 별개의 단체입니다. 따라서 단순히 종중의 명칭을 변경했다고 해서 기존 종중이 사라지고 새로운 종중이 생겨나는 것은 아닙니다.

#종중#식별기준#공동선조#명칭변경

민사판례

종중, 그 숨겨진 이야기: 성립, 실체, 소유권, 그리고 의사결정

이 판례는 종중의 정의, 소종중/지파종중을 구분하는 기준, 명의신탁된 종중 땅의 진짜 주인이 누구인지, 그리고 종중 회의에서 의사결정을 하는 방법에 대해 다룹니다.

#종중#성립#소종중#지파종중

민사판례

종중과 종중 유사단체, 그 차이는 무엇일까요?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종중원들로 구성된 단체도 '종중 유사단체'로서 소송 당사자가 될 수 있다. 소송 과정에서 주장 내용이 다소 변경되더라도, 처음부터 종중 유사단체임을 주장했다면 그 실체를 인정해야 한다.

#종중 유사단체#당사자 능력#소송#주장 변경

민사판례

종중, 그 복잡한 세계: 대표자 선출과 총회 결의, 제대로 알고 있나요?

이 판례는 종중의 실체를 확인하는 기준, 대표자를 뽑는 방법, 그리고 종중총회를 제대로 열고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다룹니다. 즉, 어떤 모임이 진짜 종중인지, 누가 대표인지, 회의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종중#특정 기준#대표자 선출#종중총회

민사판례

특정 지역 사람들만 모여 만든 모임, 진짜 종중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까?

특정 지역에 사는 후손들만으로 구성된 문중은 진정한 의미의 종중으로 보기 어려우므로, 소송 당사자로서의 자격을 인정받기 어렵다.

#문중#당사자능력#지역거주#종중

민사판례

종중 소송, 함부로 주장 바꾸면 안 돼요!

종중이 소송을 제기할 때, 소송 도중에 종중의 구성원 범위 등 종중의 실체에 관한 주장을 변경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법원은 처음 주장된 종중의 실체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종중#소송#실체 변경 불가#당사자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