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

사건번호:

94다42402

선고일자:

199412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소재지 관서의 증명을 얻지 아니한 채 체결된 농지의 매매계약을 원인으로 하여 현재의 이행의 소로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의 이행을 구하는 경우, 증명을 얻어야 하는 시기 나. 농지매매증명 발급을 조건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의 적부

판결요지

가. 농지개혁법 제19조 제2항 소정의 소재지 관서의 증명이 농지매매의 효력발생요건이라는 취지가 매매로 인한 소유권이전의 효과를 발생할 수 없다는 것일 뿐 농지매매 당사자 사이에 채권계약으로서의 효력까지 발생하지 못한다는 것은 아니라고 할지라도, 소재지 관서의 증명을 얻지 아니한 채 체결된 농지의 매매계약을 원인으로 하여 매수인이 매도인을 상대로 현재의 이행의 소로 무조건의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의 이행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사실심의 변론이 종결될 때까지는 소재지 관서의 증명을 얻어야만 인용될 수 있는 것이다. 나. ‘가'항과 같은 매수인은, 그 필요가 있는 한, 장래 이행의 소로 농지매매증명이 발급되는 것을 조건으로 미리 농지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의 이행을 청구할 수는 있는 것이다.

참조조문

가.나. 농지개혁법 제19조 제2항 / 나. 민사소송법 제229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92.5.12. 선고 91다33872 판결(공1992,1837), 1992.10.27. 선고 92다28921 판결(공1992,3287), 1993.10.8. 선고 93다30747 판결(공1993,3051) / 나. 대법원 1994.7.29. 선고 94다9986 판결(공1994하,2236)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부산지방법원 1994.7.15. 선고 93나1072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농지개혁법 제19조 제2항 소정의 소재지관서의 증명이 농지매매의 효력발생요건이라는 취지가 매매로 인한 소유권이전의 효과를 발생할 수 없다는 것일 뿐 농지매매 당사자 사이에 채권계약으로서의 효력까지 발생하지 못한다는 것은 아니라고 할지라도, 소재지 관서의 증명을 얻지 아니한 채 체결된 농지의 매매계약을 원인으로 하여 매수인이 매도인을 상대로 현재의 이행의 소로 무조건의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의 이행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사실심의 변론이 종결될 때까지는 소재지 관서의 증명을 얻어야만 인용될 수 있는 것이고(당원 1992.10.27. 선고 92다28921 판결; 1992.5.12. 선고 91다33872 판결; 1991.8.13. 선고 91다10992 판결 등 참조) 다만 위와 같은 매수인은, 그 필요가 있는 한, 장래 이행의 소로 농지매매증명이 발급되는 것을 조건으로 미리 농지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의 이행을 청구할 수는 있는 것이다(당원 1994.7.29. 선고 94다9986 판결 참조). 그런데 이 사건 기록에 의하면, 원고는 1985. 6. 22. 매매를 원인으로 하여 농지인 이 사건 토지에 관하여 현재의 이행의 소로 무조건의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의 이행을 구하고 있는 것이며, 장래 이행의 소로 소재지관서의 증명이 발급되는 것을 조건으로 위 매매를 원인으로 하는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의 이행을 구하고 있는 것이 아니므로, 원심 변론종결시까지 소재지 관서의 증명이 발급되었다는 입증이 없는 한 원고의 이 사건 청구는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소재지 관서의 증명이 없음을 이유로 원고의 이 사건 청구를 배척한 원심의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훈(재판장) 박만호 박준서(주심) 김형선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농지 매매할 때 꼭 필요한 '그것'! 없으면 소유권 이전 못 받아요!

농지를 팔고 살 때 필요한 관청 증명은 등기할 때까지 받으면 되지만, 소송에서는 변론 종결 전까지 받아야 합니다. 또한, 상대방이 뒤늦게 증명이 없다는 점을 지적해도,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 없다면 받아들여집니다.

#농지#매매#관청 증명#소송

민사판례

농지 매매와 소유권 이전, 꼭 알아야 할 중요 포인트!

농지를 사고팔 때는 관할 관공서의 증명이 필요하며, 한 번 농지였던 땅이 다른 용도로 쓰이다가 다시 농지가 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농지 매매#소재지 관서 증명#농지개혁법

민사판례

농지 매매와 토지거래허가에 관한 중요 판결 해설

농지를 매매할 때 필요한 관청의 증명은 소송 중에도 받을 수 있지만, 변론이 끝나기 전까지는 받아야 합니다. 또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기 *전*에 매매계약을 했다면, 이후 등기를 할 때 허가를 받을 필요는 없습니다.

#농지매매#토지거래허가#관청증명#소송

민사판례

농지 매매와 관청 증명: 꼭 계약할 때 필요할까?

농지를 사고팔 때 필요한 소재지 관서의 증명은 소유권 이전 등기의 효력 발생 요건이지만, 매매 계약 자체는 유효합니다. 소유권 이전 등기를 청구하려면 재판의 사실심 변론 종결 시까지 증명을 받아야 하며, 상대방이 재판 늦게 이 증명이 없다는 점을 주장해도 문제없습니다.

#농지#매매#소재지 관서 증명#소유권 이전 등기

민사판례

농지 매매대금 완납 후 과실과 농지매매증명에 관하여

농지를 사고 돈을 다 냈다면 땅을 넘겨받기 전이라도 그 이후에 생기는 과실(예: 농작물)은 구매자의 것입니다. 또한, 농지 매매 시 관공서 증명은 매매 자체의 필수 조건은 아니며, 소유권 이전 등기가 끝났다면 증명이 있었다고 추정되어 증명이 없었다는 것을 주장하는 쪽이 입증해야 합니다.

#농지매매#과실수취권#농지매매증명#입증책임

민사판례

농지취득자격증명 없어도 농지 매매계약은 유효할까?

농지취득자격증명은 농지 소유권 이전 등기 시 필요한 서류일 뿐, 매매계약 자체의 효력 요건은 아닙니다. 즉, 농지취득자격증명이 없더라도 농지 매매계약 자체는 유효할 수 있습니다.

#농지취득자격증명#매매계약 효력#등기#토지거래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