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세등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5누13647

선고일자:

199606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시행령과 이에 따른 시행규칙의 적용시기가 다를 경우 시행령이 적용되는 경우에만 시행규칙의 적용이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지급이자 중 손금불산입할 금액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는 구 법인세법시행령(1990. 12. 31. 대통령령 제1319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3조의2 제2항 단서규정은 1989. 12. 30. 개정된 시행령(대통령령 제12878호)에서 신설되었고 이 개정 시행령 부칙 제1조, 제2조는 이 영은 1990. 1. 1.부터 시행하되 그 시행 후 최초로 개시하는 사업연도분부터 적용한다고 하였으나, 1990. 4. 4. 재무부령 제1818호로 개정된 같은법시행규칙은 제18조 제1항 각 호를 신설하고 개정 전의 시행규칙 제18조 제5항 제1호를 제18조 제7항으로 개정하면서 부칙 제1조, 제2조에서 이 규칙은 공포한 날(1990. 4. 4.)로부터 시행하되 그 시행 후 최초로 종료하는 사업연도분부터 적용한다고 하여 위 개정된 시행령과 적용시기를 달리 규정하였는바, 위 시행규칙 제18조 제1항은 위 시행령 제43조의2 제2항 후단의 신설에 따라 신설되었고 시행규칙 제18조 제7항은 제1항이 시행됨을 전제로 한 규정이므로 결국 위 시행규칙 제18조 제1항과 제7항은 위 시행령이 적용되는 경우라야만 그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위 시행규칙 시행 후 최초로 종료하는 사업연도분에 대한 과세를 함에 있어서도 위 시행령 시행 후 최초로 개시하는 사업연도에 해당하지 아니한다면 위 시행령이 적용되지 않을 것이므로 위 시행규칙도 적용될 수 없다.

참조조문

구 법인세법(1990. 12. 31. 법률 제428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8조의3 제1항 제3호 , 구 법인세법시행령(1990. 12. 31. 대통령령 제1319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3조의2 제2항 , 제5항, 부칙(1989. 12. 30.) 제1조 , 제2조 , 구 법인세법시행규칙(1990. 10. 22. 재무부령 제183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8조 제1항 , 제7항, 부칙(1990. 4. 4.) 제1조 , 제2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6. 7. 9. 선고 95누13067 판결(같은 취지)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강원산업 주식회사 【피고,상고인】 광화문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5. 8. 17. 선고 93구30855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지급이자 중 손금불산입할 금액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는 법인세법시행령(1990. 12. 31. 대통령령 제1319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3조의2 제2항 단서규정은 1989. 12. 30. 개정된 시행령(대통령령 제12878호)에서 신설되었고 이 개정 시행령 부칙 제1조, 제2조는 이 영은 1990. 1. 1.부터 시행하되 그 시행 후 최초로 개시하는 사업연도분부터 적용한다고 하였으나, 1990. 4. 4. 재무부령 제1818호로 개정된 같은법시행규칙은 제18조 제1항 각 호를 신설하고 개정 전의 시행규칙 제18조 제5항 제1호를 제18조 제7항으로 개정하면서 부칙 제1조, 제2조에서 이 규칙은 공포한 날(1990. 4. 4.)로부터 시행하되 그 시행 후 최초로 종료하는 사업연도분부터 적용한다고 하여 위 개정된 시행령과 적용시기를 달리 규정하였는바, 위 시행규칙 제18조 제1항은 위 시행령 제43조의2 제2항 후단의 신설에 따라 신설되었고 시행규칙 제18조 제7항은 제1항이 시행됨을 전제로 한 규정이므로 결국 위 시행규칙 제18조 제1항과 제7항은 위 시행령이 적용되는 경우라야만 그 적용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위 시행규칙 시행 후 최초로 종료하는 사업연도분에 대한 과세를 함에 있어서도 위 시행령 시행 후 최초로 개시하는 사업연도에 해당하지 아니한다면 위 시행령이 적용되지 않을 것이므로 위 시행규칙도 적용될 수 없다. 따라서 과세기간이 1989. 7. 1.부터 1990. 6. 30.인 원고의 1989년 사업연도분법인세를 부과함에 있어 1990. 1. 1. 이후 최초로 개시하는 사업연도분부터 적용되는 위 시행령 규정은 적용되지 아니하므로 비록 1990. 4. 4. 이후 최초로 종료하는 사업연도에는 해당된다 하여도 위 개정 시행규칙 규정 또한 적용될 수 없다. 같은 취지에서 개정 전의 시행규칙 제18조 제5항 제1호의 규정을 적용하여 이 사건 부동산이 비업무용 부동산인지 여부를 판정한 원심의 판단은 그 결론에 있어 정당하고,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돈희(재판장) 김석수(주심) 정귀호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법인세 계산, 생각보다 복잡하네? - 사업연도 중 세법 개정, 임대료 제한, 시행령과 시행규칙

법인세는 사업연도 종료 시점의 법률을 적용하고, 정부의 임대료 관리지침은 법적 제한으로 보지 않으며, 시행령과 시행규칙의 적용 시점이 다를 경우 시행령이 적용될 때만 시행규칙도 적용된다는 판결.

#법인세 적용시점#임대료 제한#시행령 시행규칙 적용시점 불일치

세무판례

법인세 계산, 생각보다 복잡하네?! - 사업연도 중 세법 개정, 전기오류수정손익, 선납금이자

회사가 지자체에 택지대금을 선납하고 그 이자를 받기로 한 경우, 이자수익은 실제로 받기로 정해진 날이 속한 사업연도에 회사 소득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또한, 사업연도 중 세법이 바뀌더라도, 그 사업연도가 끝나는 시점의 세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선납금 이자#익금산입 시기#세법 개정#사업연도

세무판례

법인세와 근로소득세, 따로따로 불복해야 할까? 그리고 세금 부과 취소 소송, 얼마나 취소될까?

회사 소득에 대한 법인세와 직원 급여에 대한 소득세는 별개의 세금이므로, 법인세 불복 절차를 거쳤다고 해서 소득세 불복 절차를 생략할 수 없다. 또한, 세금 부과처분이 잘못되었더라도 전체가 아니라 잘못된 부분만 취소해야 한다.

#법인세#소득세#별개 과세처분#불복절차

세무판례

법인세와 주민세, 별개로 다툴 수 있을까?

법인세 납부에 대한 이의제기와는 별도로, 법인세 계산 자체가 잘못되었다면 법인세를 기준으로 계산되는 법인세할 주민세 납부에 대해서도 따로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법인세할 주민세#불복#법인세#별개

세무판례

비영리법인의 고정자산 처분과 세금, 그리고 가산세에 대한 이야기

비영리법인이 3년 미만 사용한 고정자산을 처분하여 얻은 수익은 과세 대상이며, 법령을 잘못 이해한 것은 가산세 면제 사유가 되지 않는다는 판결.

#비영리법인#고정자산 처분이익#법인세#가산세

세무판례

법인세와 비업무용 부동산 관련 판결 해설

이 판례는 법인세와 특별부가세가 별개의 과세처분인지, 건설자금이자를 언제까지 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는지, 비업무용 부동산 판정 시 취득 시점은 언제인지, 그리고 법령에 의한 토지 사용 제한이 비업무용 부동산에서 제외되는 사유인지를 다룹니다.

#법인세#특별부가세#건설자금이자#비업무용 부동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