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인도등

사건번호:

95다15728

선고일자:

199703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임차인이 민법 제643조의 지상물 매수청구권을 행사한 경우, 임대인의 매수대금 지급 전까지의 부지 사용에 대한 임차인의 부당이득반환의무 성립 여부(적극)

판결요지

건물 기타 공작물의 소유를 목적으로 한 토지임대차에 있어서 임차인이 그 지상 건물 등에 대하여 민법 제643조 소정의 매수청구권을 행사한 후에 그 임대인인 토지의 소유자로부터 매수대금을 지급받을 때까지 그 지상 건물 등의 인도를 거부할 수 있지만, 지상 건물 등의 점유·사용을 통하여 그 부지를 계속하여 점유 사용하는 한 그로 인한 부당이득으로서 부지의 임료 상당액을 반환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

참조조문

민법 제643조 , 제741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2. 12. 24. 선고 92다22114 판결(공1993상, 593)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황귀연 외 3인 【피고,상고인】 주식회사 동남교통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희근)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5. 2. 22. 선고 94나31107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서울 마포구 성산동 527의 8 답 1,135㎡(이하 제1토지라 한다)는 원고 황인덕, 임생규, 임세규 앞으로, 같은 동 527의 16 답 841㎡(이하 제2토지라 한다)는 원고 황귀연, 임생규, 임세규 앞으로 공유지분 각 3분의 1씩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져 있는 사실, 피고는 이 사건 제1, 2토지와 피고 소유인 같은 동 527의 20 토지(이하 제3토지라 한다)상에 원심판결 첨부 별지목록 기재 3층 건물 1, 2, 3층, 지층 각 252㎡ 및 옥탑 30㎡, 간이정비고 97.5㎡(같은 목록 기재 단층정비소 14㎡, 천막지붕 단층정비소 142.5㎡를 포함한 위 건물 전체를 이 사건 건물이라 한다)를 건립하여 1991. 1. 23.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친 사실, 피고는 이 사건 건물과 주유시설 등 공작물을 소유하면서 버스주차장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이 사건 제1, 2토지를 1992. 6. 30. 원고들로부터 보증금 없이 연 임료 7,300,000원, 기간 1992. 7. 1.부터 1993. 6. 30.까지로 정하고 임차하여 이를 점유하고 있는 사실, 이 사건 건물 중 제1토지 상에 건축된 부분은 위 3층 건물 중 원심판결 첨부 별지(이하 별지라고만 한다) 제1 내지 제4 도면 표시 ㉮ 부분 지층 및 1, 2, 3층 각 50㎡이고, 제2토지 상에 건축된 부분은 위 간이정비고와 천막지붕 단층정비소 중 별지 제1도면 표시 ㉲ 부분 179㎡ 등으로서 그 나머지가 제3토지 상에 건립되어 있는 사실 및 이 사건 제1, 2토지에 대한 보증금이 없는 경우의 임료는 1993. 7. 1.부터 1994. 1. 31.까지는 합계 43,074,000원이고, 같은 해 1월경의 월임료는 6,093,000원인 사실을 인정하고, 원고들과 피고 사이의 임대차계약이 1993. 6. 30. 기간만료로 종료되었으므로, 피고는 원고들에게 원고들이 구하는 제1토지 중 별지 제1도면 표시 ㉮ 부분을, 제2토지 중 같은 도면표시 ㉲ 부분과 별지 제6도면 표시 ㉮ 부분을 각 제외한 나머지 제1, 2토지를 인도하고, 임대차계약 종료일 다음날부터 위 토지들을 사용함으로써 얻는 임료상당이득을 반환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채증법칙에 위배하였거나 임대차계약상 당사자 의사의 해석을 잘못한 위법 등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는 받아들일 수 없다. 2. 건물 기타 공작물의 소유를 목적으로 한 토지임대차에 있어서 임차인이 그 지상건물 등에 대하여 민법 제643조 소정의 매수청구권을 행사한 후에 그 임대인인 토지의 소유자로부터 매수대금을 지급받을 때까지 그 지상건물 등의 인도를 거부할 수 있다고 하여도, 지상건물 등의 점유·사용을 통하여 그 부지를 계속하여 점유·사용하는 한 그로 인한 부당이득으로서 부지의 임료 상당액을 반환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 고 할 것이다( 대법원 1992. 12. 24. 선고 92다22114 판결 참조). 같은 취지의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부당이득의 범위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도 받아들일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상고인인 피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준서(재판장) 박만호 김형선 이용훈(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건물 매수청구권 행사 후 부지 사용료는 얼마?

세입자가 건물 매수청구권을 행사했더라도 건물값을 받기 전까지는 땅 주인에게 땅 사용료(임료)를 내야 합니다. 특히 계약 당시 임료가 시세와 크게 달랐다면, 실제 시세를 반영하여 다시 계산한 땅 사용료를 내야 합니다.

#건물매수청구권#대지사용료#임료#시세

민사판례

건물 지으려고 땅 빌렸는데, 월세 밀려서 쫓겨나면 건물은 어떻게 되나요?

건물을 짓기 위해 땅을 빌렸는데, 세입자가 월세를 2번 이상 내지 않아 계약이 해지된 경우, 세입자는 그 건물을 살 권리가 없다.

#토지임대차#차임연체#계약해지#건물매수청구권

상담사례

건물 지었는데 땅 주인이 안 판다고요? 부당이득, 얼마나 내야 할까요?

토지 임대 종료 후 건물 매수 청구에도 불구하고 땅 주인이 거부하면, 건물 매수 대금을 받기 전까지라도 실제 임대료 수준의 토지 사용료(부당이득)를 지급해야 한다.

#토지임대#건물매수청구#부당이득#차임

민사판례

땅 주인과 세입자 사이의 건물과 땅에 대한 분쟁 이야기

타인 토지에 권한 없이 건물을 소유하면 토지 사용 이익에 대한 부당이득반환 의무가 있다. 임대차 종료 시 건물 양도/철거 약정은 임차인에게 불리하여 무효이며, 건물매수청구권 행사 시 건물 명도 및 소유권 이전과 대금 지급은 동시이행 관계이다.

#토지임대차#건물소유#부당이득반환#건물매수청구권

민사판례

땅 주인과 세입자 간의 분쟁, 건물 철거는 누구 책임?

땅을 빌려 건물을 지은 사람이 계약을 어겨 땅 주인이 계약을 해지한 경우, 건물을 땅 주인에게 팔라고 요구할 수 없다.

#임차인#계약위반#계약해지#지상물매수청구권

민사판례

건물 지은 세입자, 땅 주인이 나가라고 하면 어떻게 될까요?

기간을 정하지 않고 토지를 빌려 그 위에 건물을 지은 경우, 땅 주인이 임대차 계약을 해지하더라도 세입자는 건물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간약정없는 토지임대차#임대인 해지#임차인 건물매수청구권#건물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