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

사건번호:

95다42676

선고일자:

1996101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잡종재산인 국유지의 지목을 구거로 변경하고 관리청을 지정·등기하였다는 사정만으로 행정재산으로 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국가가 잡종재산인 국유지의 지목을 구거(溝渠)로 변경하고 이에 관하여‘국(國)’명의로 소유권보존등기를 경료하면서 관리청을 등기하였으나 실제 구거로 사용하지 않은 경우, 이것만으로는 국유재산법 제4조 제2항이 정한 바와 같이 공공용재산인 구거로 사용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보기 어려워 시효취득의 대상에서 제외되지 않는다.

참조조문

민법 제245조 제1항, 국유재산법 제4조 제2항, 제5조 제2항

참조판례

대법원 1995. 9. 5. 선고 93다44395 판결(공1995하, 3343), 대법원 1996. 1. 26. 선고 95다24654 판결(공1996상, 739), 대법원 1996. 3. 12. 선고 95다7369 판결(공1996상, 1238)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대한민국 【원심판결】 대구지법 1995. 8. 23. 선고 95나3143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판시 증거를 종합하여 포항시 남구 (주소 1 생략) 구거 205㎡(이하 이 사건 부동산이라 한다)에 관하여 1987. 3. 18. 피고 명의의 소유권보존등기가 경료되었는데, 원고의 아버지인 망 소외 1은 1964. 3. 9. 망 소외 2로부터 이 사건 부동산과 기타 토지 2필지를 합하여 매수한 후 이를 밭으로 경작하여 오다가 1978. 4. 22. 사망하고, 그 아들로서 단독 재산상속인인 원고가 소외 1의 위 점유를 승계하여 현재까지 점유, 경작하여 온 사실을 인정하고, 위 인정 사실에 의하면 위 소외 1과 원고가 이 사건 부동산을 소유의 의사로 평온, 공연하게 점유하여 왔다고 추정되므로,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위 소외 1의 점유개시일부터 20년이 경과한 1984. 3. 9. 원고의 점유취득시효가 완성되었다 할 것이라고 한 다음, 이에 대하여 피고는 이 사건 부동산은 국가가 1970. 2. 16. 지목을 '구거'로 변경하고, 1987. 3. 18. 소관청을 농수산부로 지정하여 공공용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한 공공용 재산이므로, 시효취득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항변함에 대하여 국가가 실제 이 사건 부동산을 구거로 사용한 일이 없는 것은 당사자 사이에 다툼이 없고, 그 판시 증거에 의하면 피고가 1969년경 포항시 남구 연일읍 오천동 784의 2와 같은 동 993의 1 등에 구거를 설치하고, 1970. 2. 16. 위 양 필지 및 그에서 멀리 떨어지지 아니한 이 사건 부동산 등의 지목을 구거로 변경하고, 1987. 3. 18.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국(國)'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하면서 관리청을 농수산부로 등기한 사실은 인정되나, 이것만으로는 피고가 1970. 2.경 또는 1987. 3.경에 국유재산법 제4조 제2항이 정한 바와 같이 이 사건 부동산을 공공용재산인 구거로 사용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 는 취지로 피고의 위 항변을 배척하고, 1984. 3. 9. 자 취득시효완성을 이유로 한 원고의 소유권이전등기청구를 인용하였다. 원심의 위 사실인정과 판단은 기록에 비추어 정당한 것으로 보이고, 거기에 채증법칙 위반으로 인한 사실오인의 위법이 없고, 또한 국유재산법 제5조 제2항 및 제30조의 법리를 오해한 위법도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석수(재판장) 정귀호 이돈희(주심)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국유지에 대한 20년 점유, 내 땅이 될 수 있을까?

국가 땅을 20년 이상 점유했다 하더라도, 그 기간 중에 국가로부터 땅을 빌려 쓰는 대부계약을 맺었다면 땅의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다.

#국유지#대부계약#취득시효#자주점유

민사판례

국유지라고 함부로 사용하면 안 돼요! 점유취득시효,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은 이후 제기된 소송에도 효력이 있으며, 취득시효 기간 동안 땅 주인이 바뀌지 않았다면, 점유 시작 시점을 어느 때로 잡든 상관없이 취득시효를 주장할 수 있다.

#국유지#취득시효#위헌#소급적용

민사판례

국유지 매수 후 20년 점유, 과연 내 땅이 될까?

국가 땅을 빌려 쓰던 사람에게서 그 땅을 사서 20년 이상 점유했더라도, 그 점유를 소유 의사를 가지고 한 '자주점유'로 보기 어렵다는 대법원 판결.

#국유지#대부#점유취득시효#자주점유

민사판례

20년 넘게 땅을 점유하면 내 땅이 될까? - 토지 취득시효 완성 사례 분석

20년 이상 국가 땅을 점유하면 소유권을 취득할 수 있는데, 점유 시작 시점을 자유롭게 정할 수 있고, 도중에 국가와 대부 계약을 맺었다고 해서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국유지#20년 점유#소유권 취득#점유 시작 시점 선택

민사판례

국가 땅이라고 함부로 가져가면 안 돼요! - 20년 넘게 도로로 쓴 땅의 주인은 누구?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오랫동안 땅을 점유하고 사용했다면, 그 땅의 원래 소유자가 따로 있더라도 국가가 시효취득을 통해 소유권을 얻을 수 있다. 다만, 국가가 처음부터 소유권 없이 불법으로 점유했음이 명확히 입증된다면 시효취득은 인정되지 않는다.

#국가#시효취득#자주점유 추정#점유

민사판례

20년 넘게 농사지은 땅, 내 땅 맞죠? - 점유취득시효와 토지 소유권 분쟁

일제강점기 토지조사 때 누군가에게 배정된 땅을 국가가 마음대로 국유지로 만들어 등기했더라도 국가 소유가 되는 것은 아니며, 오랫동안 해당 토지를 점유해온 사람은 국가를 상대로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토지조사#국유화#시효취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