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정신성의약품관리법위반

사건번호:

95도1794

선고일자:

199602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소변검사 결과와 압수된 약물은 마약사범의 각 투약행위에 대한 보강증거가 될 수 없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소변검사 결과는 1995. 1. 17.자 투약행위로 인한 것일 뿐 그 이전의 4회에 걸친 투약행위와는 무관하고, 압수된 약물도 이전의 투약행위에 사용되고 남은 것이 아니므로, 위 소변검사 결과와 압수된 약물은 결국 피고인이 투약습성이 있다는 점에 관한 정황증거에 불과하다 할 것인바, 피고인의 습벽을 범죄구성요건으로 하며 포괄1죄인 상습범에 있어서도 이를 구성하는 각 행위에 관하여 개별적으로 보강증거를 요구하고 있는 점에 비추어 보면 투약습성에 관한 정황증거만으로 향정신성의약품관리법위반죄의 객관적 구성요건인 각 투약행위가 있었다는 점에 관한 보강증거로 삼을 수는 없다고 본 사례.

참조조문

형사소송법 제310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3. 7. 26. 선고 83도1448, 83감도266 판결(공1983, 1385)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검사 【원심판결】 대전지법 1995. 7. 7. 선고 95노432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이 사건 공소사실은 피고인이 1994. 6.중순, 같은 해 7.중순, 같은 해 10.중순, 같은 해 11. 20., 1995. 1. 17.에 각 메스암페타민 0.03g을 각 투약하고, 1995. 1. 18. 메스암페타민 9.04g을 매수하였다는 것인바, 원심은 위 각 공소사실 중 1994. 6.중순, 같은 해 7.중순, 같은 해 10.중순, 같은 해 11. 20.의 각 메스암페타민 투약행위에 대하여는 피고인의 자백 이외에는 위 자백을 보강할만한 증거가 없다 하여 무죄를 선고하였다. 논지는 피고인이 검거된 1995. 1. 18.에 채취한 피고인의 소변에서 메스암페타민 양성반응이 나왔다는 내용의 감정회보의뢰서의 기재와 피고인으로부터 검거 당시 압수된 메스암페타민 7.94g(압수당시는 9.04g이었으나 성분감정에 1.1g을 사용하여 7.94g이 남은 것임)의 현존사실은 1995. 1. 17.의 투약행위 및 1995. 1. 18.의 매매행위에 대한 직접증거인 동시에 이전의 4회에 걸친 투약행위에 대하여도 간접증거 또는 정황증거로서 자백의 보강증거가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살피건대 위 소변검사 결과는 1995. 1. 17.자 투약행위로 인한 것일 뿐 그 이전의 4회에 걸친 투약행위와는 무관하고, 압수된 약물도 이전의 투약행위에 사용되고 남은 것이 아니므로, 위 소변검사결과와 압수된 약물은 결국 피고인이 투약습성이 있다는 점에 관한 정황증거에 불과하다 할 것인바, 피고인의 습벽을 범죄구성요건으로 하며 포괄1죄인 상습범에 있어서도 이를 구성하는 각 행위에 관하여 개별적으로 보강증거를 요구하고 있는 점( 당원 1983. 7. 26. 선고 83도1448, 83감도266 판결 참조)에 비추어 보면 경합범인 이 사건 각 범죄행위를 인정함에 있어서 투약습성에 관한 정황증거만으로 범죄의 객관적 구성요건인 각 투약행위가 있었다는 점에 관한 보강증거로 삼을 수는 없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같은 취지로 한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보강증거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석수(재판장) 정귀호 이돈희(주심)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소변검사, 두 번의 마약 투약 자백을 뒷받침할 수 있을까?

마약 투약 혐의를 자백한 피고인의 소변에서 마약 성분이 검출되었다면, 이는 자백 이전의 투약 행위에 대한 보강증거로 인정될 수 있다.

#소변검사#마약#보강증거#자백

형사판례

마약 투약 혐의, 공소사실 특정은 어디까지?

소변검사에서 마약 양성 반응이 나왔지만, 투약 시기와 장소가 다소 불명확하게 기재된 공소장에 대해 대법원이 "피고인의 방어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범죄의 특성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정도로 특정된 것"이라며 원심의 공소기각 판결을 파기환송한 사례.

#마약#투약#공소사실#특정

형사판례

대마 흡연 자백, 소변검사 결과는 보강증거가 될 수 있을까?

피고인이 대마를 흡연했다고 자백했지만, 소변 검사에서 대마 성분이 검출된 것이 자백의 보강증거로 인정될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소변에서 대마 성분이 검출되는 기간에 대한 충분한 심리 없이 보강증거로 인정하지 않은 원심 판결을 파기했습니다.

#대마#자백#보강증거#소변검사

형사판례

마약 투약 혐의 수사, 압수수색 영장 범위는 어디까지?

과거 마약 투약 혐의로 발부받은 압수수색영장으로 새로운 마약 투약 혐의를 입증할 수 있는가? 대법원은 마약 범죄의 특성상 과거 혐의와 새로운 혐의 사이에 관련성이 인정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압수수색영장#마약투약#혐의#증거

형사판례

소변, 머리카락에서 마약 성분 나왔다고 무조건 유죄? 증거 채취 과정 중요해!

소변과 머리카락에서 마약 성분이 검출되었다 하더라도, 증거물 채취 및 분석 과정의 신뢰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유죄 증거로 사용될 수 없다.

#마약#증거#신뢰성#채취

형사판례

마약 투약 및 보관 혐의 무죄 판결 사례 분석

피고인이 마약(메스암페타민)에 취한 상태로 발견되었지만, 자의로 투약했거나 보관했다는 증거가 부족하여 무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마약#투약#보관#무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