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

사건번호:

95도1848

선고일자:

199510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항소심이 직권으로 피고인이 범행 당시 심신미약 상태에 있었다고 인정하여 제1심판결을 파기하여 피고인의 범죄사실을 모두 인정하면서 제1심판결보다 가벼운 형을 선고한 경우, 항소심 판결에 사실오인 및 양형부당의 점에 관한 판단유탈의 위법이 있는지 여부

판결요지

항소심이 제1심판결에 대한 피고인의 항소이유를 판단하기에 앞서 직권으로 피고인이 범행 당시 심신미약 상태에 있었다고 인정하여 제1심판결을 파기하여 피고인에 대한 범죄사실을 모두 인정하면서 제1심판결보다 가벼운 형을 선고하였다면, 제1심판결에 대한 피고인의 항소이유 중 사실오인의 점은 배척되었고, 양형부당의 점은 받아들여졌으므로, 항소심 판결에 판단유탈의 위법이 없다.

참조조문

형사소송법 제364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호인변호사 이병후 【원심판결】 대구지방법원 1995.7.21. 선고 95노56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 후 구금일수 중 20일을 본형에 산입한다. 【이 유】 피고인 및 변호인의 상고이유를 함께 판단한다. 1.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피고인에 대한 이 사건 범죄사실을 모두 유죄로 인정하면서 이 사건 범행당시 심신미약 상태에 있었다고 본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지적한 바와 같은 채증법칙을 위배하였거나, 정당방위나 심신상실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그 밖에 단순한 사실오인 및 양형부당의 점은 원심과 같은 형을 선고한 이 사건에 있어서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한다. 상고이유 중 이 점을 지적하는 부분은 모두 이유 없다. 2.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제1심판결에 대한 피고인의 항소이유를 판단하기에 앞서 직권으로 피고인이 이 사건 범행당시 심신미약 상태에 있었다고 인정하여 제1심판결을 파기하여 피고인에 대한 범죄사실을 모두 인정하면서 그 형은 제1심판결보다 가벼운 형을 선고하고 있음이 분명하다. 그렇다면 제1심판결에 대한 피고인의 항소이유 중 사실오인의 점은 배척되었고, 양형부당의 점은 받아들여졌음이 분명하므로, 원심판결에 판단유탈의 위법이 없다. 상고이유 중 이 점을 지적하는 부분도 이유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 후 구금일수 중 20일을 원심판결의 본형에 산입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준서(재판장) 박만호 김형선 이용훈(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심신미약 주장, 판결에서 꼭 다뤄야 할까요? - 판단유탈에 대한 대법원 판결 이야기

피고인이 충동조절장애로 인한 심신미약 상태에서 범행을 저질렀다고 주장했는데, 법원이 이 주장에 대해 판단하지 않은 것은 잘못이라는 판결입니다.

#충동조절장애#심신미약#판단누락#위법

형사판례

항소심이 직권으로 판결을 바꿔도 양형부당 주장은 판단된 걸로 봐야 할까?

피고인이 형량이 부당하다고 항소했는데, 항소심 법원이 항소이유와 상관없는 다른 이유로 1심 판결을 뒤집고 새롭게 판결하면서 형량 부당 주장에 대해 따로 판단하지 않았더라도 문제없다는 판결입니다.

#항소심#양형부당#항소이유 외 사유#판결 파기

형사판례

정신질환 의심되는 피고인, 재판부가 심신미약 여부 제대로 확인했어야 한다!

피고인이 정신질환으로 치료받은 기록과 정신질환자라는 주장이 있었는데도, 1심 법원이 심신미약 여부를 제대로 조사하지 않아 대법원에서 판결이 파기되어 다시 재판하게 된 사례.

#심신미약#심리미진#정신질환#형감경

형사판례

항소이유 철회는 명백해야 효력이 있다!

피고인이 항소이유서에 여러 항소이유를 적었는데, 법정에서 판사의 질문에 일부 이유만 언급했더라도 나머지 이유를 포기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특히, 판사의 질문이 불명확해서 피고인이 착각했을 가능성이 있다면 더욱 그렇습니다.

#항소이유 철회#석명권#사실오인#양형부당

형사판례

충동조절장애, 범죄를 저지르면 감형될까?

단순한 충동조절장애는 심신미약으로 인정되지 않지만, 정신병 수준으로 심각한 경우에는 심신미약으로 인정될 수 있다.

#충동조절장애#심신미약#형법#감경

형사판례

항소심에서 양형부당만 다툴 수 있을까요?

항소할 때 형량이 너무 무겁거나 가볍다는 이유(양형부당)만 제기했더라도, 항소심 재판에서 사실관계가 틀렸다거나 법을 잘못 적용했다는 등 다른 주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새로운 주장이 판결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 법원은 양형부당에 대해서만 판단합니다.

#항소#양형부당#추가 주장#사실오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