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고무효확인등

사건번호:

96다10027

선고일자:

199610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사실심 변론종결 당시 정년이 지난 경우, 해고무효확인소송의 확인의 이익 유무(소극)

판결요지

근로자에 대한 면직처분이 실질상 해고에 해당한다고 하여 그 무효임의 확인을 구함과 아울러 근로를 제공할 수 있었던 기간 동안의 임금을 청구하고 있는 경우, 해고무효확인의 소는 회사와의 사이에 이루어진 근로계약상의 지위 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임이 명백하므로, 사실심 변론종결 당시 이미 회사의 인사규정에 의한 당연해직사유인 정년을 지났다면 근로자로서의 지위를 회복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었으므로 해고무효확인의 소는 확인의 이익이 없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228조, 근로기준법 제27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4. 6. 12. 선고 82다카139 판결(공1984, 1266), 대법원 1995. 4. 11. 선고 94다4011 판결(공1995상, 1826), 대법원 1995. 12. 5. 선고 95누12347 판결(공1996상, 265)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주식회사 경향신문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삼흥종합법률사무소 담당변호사 신성철)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6. 1. 26. 선고 94나43476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1. 기록에 의하면, 원고 박종수, 장정랑는 피고의 위 원고들에 대한 이 사건 면직처분이 실질상 해고에 해당한다고 하여 그 무효임의 확인을 구함과 아울러 근로를 제공할 수 있었던 기간 동안의 임금을 청구하고 있으므로, 위 원고들의 이 사건 해고무효확인의 소는 피고와의 사이에 이루어진 근로계약상의 지위의 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임이 명백한바, 원심이 적법하게 확정한 바와 같이, 위 원고들은 원심 변론종결 당시 이미 피고의 인사규정에 의한 당연해직사유인 정년을 지났다면 위 원고들이 피고의 근로자로서의 지위를 회복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었다고 할 것이므로, 위 원고들의 이 사건 해고무효확인의 소는 그 확인의 이익이 없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취지의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대법원 1995. 4. 11. 선고 94다4011 판결 참조), 거기에 확인의 이익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관계 증거와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고들이 피고에게 각 사직서를 제출하기에 이른 경위와 그 사직서에 의한 면직처리의 과정에 관한 원심의 사실인정은 모두 수긍이 가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위반함으로써 사실을 잘못 인정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으며, 원고 2는 3개월분의 퇴직위로금을 수령하였을 뿐임에도 원심이 이를 6개월분으로 인정한 잘못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는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사유가 되지 못한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천경송(재판장) 안용득 신성택(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부당해고 판결 후 정년퇴직? 임금은 어떻게 될까?

해고무효 소송에서 복직 시까지 임금 지급 판결을 받았더라도, 판결 확정 *전*에 정년퇴직이 발생했다면, 판결 확정 *후* 기간에 대한 임금 지급은 거부할 수 있다.

#정년퇴직#변론종결#임금 지급 거부#해고무효 소송

민사판례

정년 지난 해고 근로자, 복직 판결 받아도 임금 못 받을 수 있다?

부당해고로 복직 판결을 받았더라도 정년이 지났다면 회사는 정년 이후의 임금을 지급할 의무가 없다.

#정년퇴직#복직판결#임금 지급#정년

민사판례

퇴직금, 정년, 그리고 회사 규칙 변경 - 알아두면 쓸모있는 노동법 이야기

농지개량조합 직원들이 퇴직금 지급 기준 인상과 정년 단축에 대한 부당함을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으나, 법원은 퇴직금 인상 약정은 효력이 없고 정년 단축은 사회통념상 합리성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다만, 일부 원고의 경우 정년이 이미 지나 해고무효확인 소송의 이익이 없어 소가 각하되었습니다. 또한 정년 단축의 합리성 판단에 있어 원심의 오류가 인정되어 일부 파기환송되었습니다.

#농지개량조합#퇴직금#정년#소송

상담사례

정년 지났는데 회사에서 갑자기 해고한다고요? 잠깐!

정년 이후 회사 동의 하에 계속 근무하는 경우, 회사는 정년 연장과 마찬가지로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할 수 없다.

#정년#해고#정당한 이유#근로계약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면직처분 무효확인 소송, 언제까지 할 수 있을까? 헌법재판소 위헌 결정의 효력은?

정년퇴직한 공무원은 면직처분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할 실익이 없으며,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은 위헌결정 이후 제소된 사건에도 효력이 있다.

#면직처분 무효확인#확인의 이익#헌법재판소#위헌결정 효력

민사판례

부당해고와 퇴직금 수령: 2년 후 소송해도 괜찮을까?

회사 외부에서 주말에 노조 간부 교육을 했다는 이유로 해고된 노조 위원장이 해고 무효 소송에서 승소했습니다. 회사는 교육 때문에 회사 분위기가 어수선해지고 명예가 실추됐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해고 후 퇴직금을 받았더라도, 해고에 동의한 것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주말#노조#간부 교육#해고 무효